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

 1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1
 2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2
 3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3
 4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4
 5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5
 6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6
 7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7
 8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8
 9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9
 10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10
 11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11
 12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12
 13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13
 14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14
 15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15
 16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16
 17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17
 18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18
 19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19
 20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과학적 탐구방법
2. 개념도
3. Vee도
4. 드라이버의 대체적 개념틀 모형
5. 통합적 탐구과정
6. 과학적 탐구활동
7. 기본적 탐구과정
8. TTTI모형
9. 발생학습모형
10. 순환학습모형
11. 개념변화모형
12. Gagne와 Briggs의 처방적 교수이론
13. 스키너의 강화이론
14. 과학적 사고의 종류
15. 교육목표
16. 탐구적 학습지도
17. 시범실험
18. 강의법
19. 질문법
20. STS수업
본문내용
1. 과학적 탐구방법
과학적 탐구의 과정과 그 방법이 과학교육 현장에서 중요시된 배경은 학문중심 과학교육 사상의 등장과 더불어 과학 및 기술의 획기적인 발달에 있었다. 1950~60년대의 과학교육 현장에서는 과학교육의 목적으로 과학지식의 이해와 아울러 과학적 탐구력의 배양도 중요시되었다. 여기서, 탐구란 지식의 정립을 위한 지적 노력과 그것에 수반되는 활동이자 자연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학습까지도 포함한다. 탐구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방법과 수단에 따라 달라진다. 어떤 탐구는 비교적 빨리 끝나는 반면, 어떤 주제는 장기간의 탐구시간을 요구한다.
과학적 탐구방법은 방법론적 견해에 따라 의미가 다르게 정의된다. 지식을 구성하거나 그 타당성 또는 진위를 검증하는 방법을 탐구로 정의한다면, 귀납법, 연역법, 가설-연역법 등 논리적 추리에 바탕을 둔 과학적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탐구를 과학지식이 형성되거나 변하고 그에 따라 과학이 발달하는 방법으로 정의한다면, 반증법, 패러다임의 변화, 연구프로그램의 변화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논리적 추리에 바탕을 둔 과학적 방법으로 과학적 탐구방법을 분류할 경우, 귀납법, 연역법, 가설-연역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귀납법은 자연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실체와의 대응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검증하는 방법으로 누가적 모형에 의해 설명되는 과학적 탐구방법이다. 이러한 귀납적 탐구방법은 새로운 과학지식의 발견에 효과적이다. 반면, 연역법은 이성주의에 바탕을 둔 과학적 탐구방법으로 지식의 출처는 절대적 진리와 이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즉, 진리의 진위는 다른 지식과의 정합적인 관계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이러한 연역법은 새로운 과학지식을 생성할 수 없다는 구조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귀납법과 연역법 이외에도 귀추법, 유추법과 같은 과학적 탐구방법이 있다. 먼저, 귀추법이란 특수한 사실을 관찰하고 원인을 도출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A지점에서 초염기성암을 발견하였을 경우, 맨틀은 초염기성암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A점에서는 맨틀로부터 마그마가 분출되었을 것이라고 가설을 세울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이 귀추법을 이용한 예이다. 이렇게 귀추적 방식에서 전제들은 단지 결론의 타당성을 부분적으로 지지할 뿐이므로, 논리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내용을 넘어서 결론을 도출한다는 불완전성을 지니고 있다. 반면, 유추법은 귀납적 방법의 한 유형으로 선행지식을 바탕으로 주어진 정보와 자료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즉, 몇 가지 대상의 유사성을 근거로 비슷한 속성을 비교하는 추리로써 잘 알고 있는 사물이나 현상의 특성에 근거하여 잘 알지 못하는 사물이나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화성에 물이 있는 것으로 보아 생물체가 있을지도 모른다.’가 유추법을 이용한 예이다.
하고 싶은 말
이 자료는 과학교육론 정리자료입니다. 과학관련하여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