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

 1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1
 2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2
 3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3
 4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4
 5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5
 6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6
 7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7
 8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8
 9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9
 10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10
 11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11
 12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12
 13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13
 14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14
 15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15
 16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16
 17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17
 18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18
 19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19
 20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브랜드경영] 도시 브랜드 자산 강화를 위한 제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Prologue
1. ‘현대판 봉이 김선달 등장.’ ‘봉이 김선달식 사고.’
(1) 왜 김선달은 봉이가 되었는가?
(2) 봉이 김선달의 대동강 물 비즈니스

2. 현대판 “봉이 김선달“
(1) 사례 1. 화성과 달의 땅을 판매 합니다?
(2) 사례 2. 나무에서 나오는 물? 고로쇠 물..
(3) 사례 3. 이산화탄소 배출권을 사세요.

3. 무형가치를 유형화하는 힘: 브랜드
(1) 브랜드
(2) 브랜드 자산의 의미
(3) 브랜드 자산 구축에 있어 IMC의 역할

4. 성공적인 도시 브랜드 사례
(1) 뉴욕
(2) 싱가포르
(3) 홍콩
(4) 도쿄

4. 경영학적 관점에서의 브랜드 서울
(1) Basic Product
(2) Emotional Product
(3) Valuable Product
(4) City Identity의 부재

5. 브랜드 서울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한 제언
(1) 서울의 고객(Customer) 분석
(2)고객 중심의 브랜드 전략
(3) ‘Hi’와 ‘High’로 표현하고자 했던 Identity를 모두 살리려면
(4) GATEWAY: 브랜드의 상징적 의미 확보
(5) Gateway Between Seoulites : Amenity
(7)Gateway Between Exteriors : Interlinking
(8)집중해야할 커뮤니케이션 채널
본문내용
1. ‘현대판 봉이 김선달 등장.’ ‘봉이 김선달식 사고.’

요즘 들어 기사의 헤드라인으로 참 많이 등장하는 어구 중 하나이다. 우리는 엄청나게 혁신적인 사고로 이윤을 챙기거나, 기존에 인지되지 않았던 가치를 이용하여 돈을 버는 사례에 위의 어구를 사용한다. 봉이 김선달은 과연 어떤 인물이며, 그의 설화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봉이 김선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편, 봉이김선달 설화 (2004.5.14) (http://www.seelotus.com/gojeon/gojeon/seol-hwa/bong-2-kim-seon-dal.htm)
, 그는 분명 가상의 인물이기는 하나, 조선후기 당시 서민들이 지니고 있었던 기발한 아이디어와 기지를 보여준다. 보통 ‘봉이 김선달’ 하면 우리는 반사적으로 그가 대동강 강물을 판 이야기를 떠올리곤 한다. 그러나 그의 설화는 그가 ‘봉이’라는 별칭을 갖게 된 설화부터 엉터리 생일잔치 설화까지 다양하다.
봉이 김선달은 조선 후기의 풍자적인 인물로서, 그의 설화는 개성 이북의 서도지방에 전해지던 건달이야기가 구전되다가 여러 야담집을 통하여 정착된 이야기이다. 이 설화는 1906년 '황성신문'에 연재된 한문현토소설인 '신단공안'의 네 번째 이야기 '인홍변서봉 낭사승면관'으로서 처음으로 문헌 정착되었는데, 이는 그 이전인 19세기에 이 이야기가 널리 유포되고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그림 : 봉이 김선달의 설화를 담은 책의 표지 - 봉이 김선달은조선 후기의 변화하는 사회상과, 당시 우리 민족의 재치와 기지를 보여주는 인물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대체적인 내용은 평양출신의 재사 김선달이 자신의 경륜을 펼치기 위하여 서울에 왔다가 서북인 차별정책과 낮은 문벌 때문에 뜻을 얻지 못하여 울분을 참다가 박차고 일어나 세상을 휘젓고 다니며 권세 있는 양반, 부유한 상인, 위선적인 종교인들을 기지로 골탕 먹이는 여러 일화들로 이루어져 있다. 구전설화는 방학중, 정만서, 정수동 등의 인물전설과 중복되는 일화가 상당수 있어 이들과 비슷한 성격의 인물로 보고 있는데 비하여, 여러 일화를 꿰어 하나의 전으로 꾸민 한문현토소설은 다소 성격이 다르다. 구전설화에서는 본명이 나타나 있지 않지만 소설에서는 김인홍이라는 본명과 낭사라는 자호를 소개하며, 그의 건달행각이 당대의 정치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풍자에서 비롯된 것임을 강조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