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환기관(소화기계)

 1  소환기관(소화기계)-1
 2  소환기관(소화기계)-2
 3  소환기관(소화기계)-3
 4  소환기관(소화기계)-4
 5  소환기관(소화기계)-5
 6  소환기관(소화기계)-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소환기관(소화기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소화기관(소화기계)

I. 입

II. 식도

III. 위

IV. 췌장

V. 간과 담낭

VI. 소장

VII. 대장

*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화기관(소화기계)

섭취한 음식물로부터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nutrients), 물. 전해질(electrolyte)을 흡수하는 소화기계의 기능은 크게 4 가지로 구분한다. 음식물을 입에서부터 항문으로 운반하기 위한 운동(motility), 섭취한 음식물을 소화하기 위한 소화액 분비(secretion), 소화 효소에 의한 음식물의 소화 (digestion), 소화된 음식물로부터 필요한 영양분의 흡수 (absorption)가 있다. 소화기계를 구성하는 장기는 입 -> 인두 -> 식도 -> 위 -> 소장 -> 대장 -> 항문으로 되어 있다. 이외에 소화기계의 부속기관으로서 침샘, 췌장, 간과 담낭이 있다.
소화기계는 다양한 수용기 즉 화학 수용기 (chemoreceptor), 삼투 수용기(osmoreceptor), 기계 수용기(mechanoreceptor)들이 존재하는데 이들에 의한 소화기계의 운동과 분비 과정은 복잡한 과정으로 조절된다. 먼저 소화기계를 구성하는 평활근 자체의 조절(autonomous smooth muscle function)이 있으며, 소화기계에는 장간 신경계(enteric nervous system)가 존재하는데 일명 작은 뇌 (small brain)로서 뇌에서 발견된 모든 신경전달물질이 장간 신경계에 존재한다. 또한 외인성 조절로서 자율신경 계가 조절하며, 다양한 위장관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5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6
성인의 건강관리 / 임완지 저, 광림북하우스, 2016
웰니스 건강관리 / 조현철 박상규 저, 라이프사이언스, 2014
하고 싶은 말
레포트 작성에 참고가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