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

 1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1
 2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2
 3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3
 4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4
 5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5
 6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6
 7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7
 8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8
 9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9
 10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10
 11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11
 12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12
 13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13
 14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14
 15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15
 16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16
 17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 시대별 문학 특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부1장
1. 상고시대문학
2. 삼국시대의 문학
3. 통일신라의 문학
4,고려의 문학
5. 조선 전기의 문학 (임진왜란 전)
6. 조선 후기의 문학 (임진왜란 후)
제2부1장
1. 문학의 개념
2. 한국문학에 나타난 죽음의식
2부2-1장
1. 우리 시문학의 전통
2. 개화기 시가의 성격
3. 1920년대 초반 시문학의 양상
4. 1920년대 후반 시문학의 양상
5. 1930년대 초기시와 시문학파
6. 1930년대 중반의 모더니즘시
7. 1930년대 말~해방 직전의 시문학
2부 3-1장
2. 1910년대 소설
3. 1920년대의 소설(단편위주의 소설 문학)
4. 1930년대 소설
5. 1940년대 소설
6. 1950년대 소설
7. 1960년대 소설
8. 1970년대 소설
3부1장
언어에 대한 이해
본문내용
1부1장
1. 상고시대문학
① 현존 최고(最古) 기록 역사서 문헌에 나타난 우리에 관한, 현존하는 최고의 기록은 중국 진나라 진수가 편찬한 「삼국지」의 「위지 동이전」이다.
② 제천의식의 가사 내용은 알 수 없으나 대체로 개인적 서정보다는 집단적 서사를 노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三國遺事」의 駕洛國記條 건국신화 속의 「龜旨歌」와 그 부대설화가 이를 증명해 준다. (우리 시가사상 기록상의 최초작품)
③ 신화 ― 신화란 제식이 말의 형태를 취한 것이다. (J. G. Frazer) 신화가 구비문학의 한 분야임이 분명하다면 제식의 언어적 표현이 문학임은 분명하다. 따라서 단군신화, 박혁거세, 고주몽, 김수로왕 신화는 모두 훌륭한 우리의 문학 유산이다.
④ 무가 ― 구비문학 중

2. 삼국시대의 문학
(1) 구비문학의 정착
① 한자 보급 ― 기원전 2세기경에 수입된 한자는 6~7세기경에 널리 보급되었고, 문자 사용이 본격화되어 그동안 구전되어 오던 구비문학들이 문자로 정착되기 시작하였다.
② 불교 전래
③ 국사의 기록화 ― 고구려의 「留記」, 백제의 「書記」, 신라의 「國史」
(2) 서정문학의 발달
① 고구려 ―「黃鳥歌」: 서정시로서 시가문학사상 기록상의 효시
② 고조선 ―「公無渡河歌」: 부부애를 바탕으로 한 설화와 함께 전한다. 생성시기는 고조선이나 문자정착은 삼국시대 이후로 보인다.
③ 백제 ―「정읍사」: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궁중악으로 널리 불렸다. 현존하는 백제의 유일한 노래로 문학성이 뛰어나다.
④ 신라 ―「도솔가」: 최초의 향가로 노래명만 전해진다.
(3) 서사문학
① 고구려
㉠ 대륙적인 씩씩한 기상을 가지고 고도의 중국 문화를 수입, 이를 소화하면서 웅대한 서사문학을 창조했다.
㉡ 동명왕의 건국신화, 온달설화, 낙랑공주와 호동왕자설화, 미천왕설화 등
② 백제 : 의 근원설화인 도미
(6) 언어와 사고
① 우리는 실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고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통해 인식한다.
② 실제 프리즘을 통해 나타나는 색은 수 십, 수 백 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두 세 가지로 분류할 수도 있으나, 우리의 언어에 있는 색깔로만 인식?분류한다(언어의 상대성이론)
③ 언어가 없이 사고가 절대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④ 언어의 문법적 차이가 그들의 세계관이나 인생관 혹은 사고능력에 크게 차이는 없다.
(7) 결론
언어 일반의 특질, 보편소에 대해 관심이 부족하다. 언어의 본질을 밝히기 위해 개별언어의 출발의 기점이 되는 청사진, 즉 언어의 보편소를 밝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