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한삼성을 미치게 하는가

 1  누가 한삼성을 미치게 하는가-1
 2  누가 한삼성을 미치게 하는가-2
 3  누가 한삼성을 미치게 하는가-3
 4  누가 한삼성을 미치게 하는가-4
 5  누가 한삼성을 미치게 하는가-5
 6  누가 한삼성을 미치게 하는가-6
 7  누가 한삼성을 미치게 하는가-7
 8  누가 한삼성을 미치게 하는가-8
 9  누가 한삼성을 미치게 하는가-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누가 한삼성을 미치게 하는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누가 한삼성을 미치게 하는가

1. 편견의 정의와 유형들
1.1. 각 분야에서 바라본 편견의 정의
1.2. 편견의 유형들 소개
2. 편견유발요인 토대로 소설 ‘환자 한삼성’의 주인공이 미친 요인 분석
2.1. 고정관념: 한삼성의 여성상
2.2. 귀인: 어머니의 경우를 여성 모두에게 적용
2.3. 문화와 동조: 한국 사회 전체의 경향성
2.4. 사회경제적 대립: 부유한 둘째형
2.5. 욕구불만과 공격의 정당화: 한삼성의 변명들
2.6. 권위주의적 성격: 한삼성 아내의 수동성
3. 민담 가 결정적 계기된 이유
3.1. 민담이란 무엇인가
3.2. 이 함의하는 개별, 구체적인 상황들 vs 한삼성의 편견
3.3. 이상적인 부모상, 여자상과 어긋나는 민담들 분석 (심청전, 장화홍련전 예정)
4. 한삼성이 주변에 끼친 영향과 편견의 사회적 효과 비교
4.1. 편견 표현 행위의 단계와 한삼성의 이상 행동 교차 비교
4.2. 경제적 관점
4.3. 자기방어의 일환
4.4. 사회 유지 측면
5. 한삼성 치료하기
1. 편견의 정의와 유형들
1.1. 각 분야에서 바라본 편견의 정의
소설 ‘환자 한삼성에 나타난 한삼성의 편견 양태를 살펴보고 이를 치료할 대안을 모색하기에 앞서 편견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편견(prejudice)은 ‘이전의 결정과 경험에 근거하여 내려지는 판단’이라는 라틴어 praejudiciium에 어원을 두고 있다. 즉 편견이란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실제 경험하기 이전에 근거 없이 갖게 되는 호의 또는 비호의의 느낌을 말한다.
편견은 크게 보면 태도의 하위항목에 해당하는데, 태도는 특정 대상이나 생각에 대해 인지, 감정, 행동적 요소들을 갖는 지속적 경향성을 뜻한다. 그중에서도 태도의 감정적 요소에 해당하는 것이 편견인데, 이것은 대상에 대한 좋거나 싫은 정서들, 특히 대상에 대한 평가적 측면과 관련된다. 태도의 인지적 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고정관념이며, 태도의 행동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차별이다. 고정관념과 편견, 차별대우는 언제나 함께 붙어 다닌다.
ㄱ. 심리학 이론이 말하는 편견
심리학자들은 편견을 가지기 쉬운 성격특성으로 권위주의와 폐쇄성을 제시한다. 아도르노 등에 의하면 권위주의적 성격유형을 가진 사람은 약소집단에 대해서 편견을 갖는 성향이 강하다. 이들은 내집단 중심주의 성향이 강해 내집단을 우수하다고 여기지만 외집단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지녀 배타적이고 고정관념, 강한 적대감과 거부감을 나타낸다. 또한 힘과 완력을 신봉하고, 권위에 대한 복종과 공격성을 지지하며, 파괴적, 냉소적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학자 로키츠(Rokeach)는 폐쇄 심리적 성격은 상대를 접근하는 방식에 있어서 권위적이며, 자신과 상반된 신념을 수용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ㄴ. 사회학 이론에서 말하는 편견
사회학자에게 편견은 문화적, 사회적 환경 안에서 다양한 사회화의 방식을 통해 후천적으로 학습되는 행동이다. 에를리히(Ehrlich)에 의하면 학습된 행동의 범주 내에 3가지 하위차원인 인지적, 감정적, 의지적 및 행동적 차원의 요소가 편견을 만들어낸다. 우선 사람은 인지의 편의를 위해 이미 사회 안에 존재하는 신념체계에 근거해 비슷한 특징을 가진 대상들을 하나로 묶어 파악, 기억하려고 한다. 또한 대상에 대한 지식이 적을수록, 감정적 반응은 더욱 개인이 속한 집단의 특성에 영향을 받아 대상에 부정적인 감정을 갖게 된다. 마지막으로 그가 속한 집단에서 그 대상의 부정적 및 긍정적 특징에 대해 어느 정도로 학습 받았느냐에 따라 편견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인 사회적 거리감이 결정된다.
콕(Kok)은 편견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있어야 편견이 행동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브라운(Bruin) 역시 대중적인 승인이 없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편견을 숨기는 경향이 있지만,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거나 요구될 때는 편견이 없는 태도를 취했던 사람들까지도 거기에 순응해 다른 사람들과 함께 행동하게 된다고 보았다.
ㄷ. 심리사회적 입장에서 바라본 편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