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수 - 박남수 시에 나타난 새의 의미

 1  박남수 - 박남수 시에 나타난 새의 의미-1
 2  박남수 - 박남수 시에 나타난 새의 의미-2
 3  박남수 - 박남수 시에 나타난 새의 의미-3
 4  박남수 - 박남수 시에 나타난 새의 의미-4
 5  박남수 - 박남수 시에 나타난 새의 의미-5
 6  박남수 - 박남수 시에 나타난 새의 의미-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박남수 - 박남수 시에 나타난 새의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박남수
1. 박남수의 생애
박남수는 1918년 5월 3일 평양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평양 숭인 상업을 거쳐 일본 동경 중앙 대학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유학 시절 제1회 지의 추천을 받은 김종한, 이용악 등과 사귀게 되면서, 그들의 권유로 지에 투고하였는데, 1939년 "심야","마을","밤길", "거리" 등이 정지용에 의해 추천되어 지를 통해 정식으로 문학활동을 시작한다. 1940년에 이들을 모아 첫시집『초롱불』(1940)을 일본에서 간행한다. 그 후 일본이 제2차 대전에 참전하던 12월 앞당겨진 졸업을 하고 동경을 떠나 고국에 돌아오지만 이미 일본의 문화말살정책으로 , 등이 폐간되어 문단과 교섭 없이 지내게 된다.
그는 1945년 해방이 되면서 전남포에서 조선 식산은행에 입사하여 이듬해에는 한국식산은행 평양지점장까지 되나, 어수선한 사회현실에 안주하지 못하고 1948년 사임한다. 그 후에도 박남수가 활동한 문학외적인 환경은 줄곧 불안하게 전개된다. 남북으로 갈라진 이 땅위에 첨예하게 대립된 이데올로기의 반목과 투쟁이 반복되는 상황에서 드디어 1950년 동족의 비극인 625가 발발하게 된다. 이러한 역사의 질곡 속에서 박남수는 1951년 14 후퇴 때 국군을 따라 처자만 데리고 겨우 월남하게 된다. 박남수는 전쟁의 체험에서 생명력의 근원과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로운 절대 순수, 그리고 역사나 현실을 초월하고자 하는 자유 정신의 영원성에로 시적 관심을 확대시킨다. 그 뒤 피난지 부산에서 『주간문학예술』을 주재하면서 1952년 『문예』 5,6 합병호에 전쟁의 참혹상을 고발한 시 『원죄의 거리』 와 『신사조』 창간호에 평론 「문학인의 반성과 각오」를 발표하면서 문학활동을 다시 시작하게 된다. 1954 년에는 『문학예술』지 편집위원으로, 1957년에는 박목월, 조지훈, 장만영, 유치환 등과 더불어 한국 시인 협회를 창립하고 「갈매기 素描」, 「다섯 편의 소네트」 등으로 제5회 아세아 문학상을 받는 등, 활발한 문학 활동을 한다. (공백기-18년)
1958년에는 그의 두 번째 시집 『갈매기 素描』를, 1964년에는 『신의 쓰레기』, 1970년에는 『새의 暗葬』을 발간하는 등 지속적인 문학 활동에도 불구하고 월남한 그에게는 정신적, 경제적 안정이 찾아오지 않고, 1975년 미국 플로리다로 이민을 가게 된다. (공백기-11년)
이민후, 1981년 다시 10여년의 공백을 깨고, 다섯 번째 시집 『사슴의 冠』을 간행한다. 1982년 그의 선시집이 지식산업사에서 발간되나, 또다시 문학공백기(공백기-11년))를 가져오다가, 1990년부터 국내 문예지에 시를 발표하기 시작한다. 그 뒤에도 활발한 창작 활동을 하는데, 1991년 선시집 『어딘지 모르는 숲의 기억』 이 먼저 간행되고 이어 1992년에는 고독한 삶의 유일한 동반자였던 아내의 갑작스런 죽음을 애도한 추도문 형식의 『그리고 그 以後』가 발간된다. 이 책으로 공초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던 그는 1994년 76세의 일기로 세상을 마감하였다.
▶ 박남수의 작품 세계는 활동 시기상 경계가 분명히 드러난다.
첫시집 『초롱불』(1940) 출간 → 약 18년 공백기 : 네 번째 시집 『새의 암장』(1970)→ 도미하여 약 11년의 공백기 : 1981『사슴의 관』→ 또다시 10여 년 후부터 작고 시까지 작품활동을 지속하게 된다.
⇒이러한 시 창작 상의 명백한 공백기는 곧바로 시적 경향의 변모 양상과 일치하는 면모를 보인다.
2. 박남수의 시세계
1. 초기: 감각의 환기와 이미지의 창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