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화 명사화 정의 명사화 범주 명사화 분류 어휘적 명사화 통사적 명사화 명

 1  명사화 명사화 정의 명사화 범주 명사화 분류 어휘적 명사화 통사적 명사화 명-1
 2  명사화 명사화 정의 명사화 범주 명사화 분류 어휘적 명사화 통사적 명사화 명-2
 3  명사화 명사화 정의 명사화 범주 명사화 분류 어휘적 명사화 통사적 명사화 명-3
 4  명사화 명사화 정의 명사화 범주 명사화 분류 어휘적 명사화 통사적 명사화 명-4
 5  명사화 명사화 정의 명사화 범주 명사화 분류 어휘적 명사화 통사적 명사화 명-5
 6  명사화 명사화 정의 명사화 범주 명사화 분류 어휘적 명사화 통사적 명사화 명-6
 7  명사화 명사화 정의 명사화 범주 명사화 분류 어휘적 명사화 통사적 명사화 명-7
 8  명사화 명사화 정의 명사화 범주 명사화 분류 어휘적 명사화 통사적 명사화 명-8
 9  명사화 명사화 정의 명사화 범주 명사화 분류 어휘적 명사화 통사적 명사화 명-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명사화 명사화 정의 명사화 범주 명사화 분류 어휘적 명사화 통사적 명사화 명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명사화名詞化
目次
1.명사화의 정의와 범주, 분류
1.1 명사화의 정의
1.2 명사화의 범주, 분류
1.2-1 범주 설정에 있어서의 보문, 관계절과의 구분
1.2-2 분류: 어휘적 명사화, 통사적 명사화
2.어휘적 명사화와 통사적 명사화
2.1 어휘적 명사화
2.1-1 어휘적 명사화란?
2.1-2 전성념사
2.2통사적 명사화
2.2-1 ‘-음’,‘-기’
2.2-2 ‘-아/어, -게, -지, -고…’-역사적 기원에 의한 확대진전 해석
3.명사화 어미 ‘-음’, ‘-기’의 특성
3.1 직관, 역사성에 기반한 시선
3.2 역사성의 관점에서 본 ‘-음’, ‘-기’의 특성
3.3 그 밖의 ‘-음’, ‘-기’의 특성을 뒷받침해주는 예들
3.3-1 서술어와의 호응관계
3.3-2 격형의 생략
3.3-3 수식어와의 호응
4.명사화 기제 ‘-것’
4.1 -것구조와 -음구조
4.2 -것구조와 -기구조
4.3 -것의 보문명사로서의 의미
4.4 -것과 -음, -기의 상호 대치 경향
5.영어의 명사화
5.1영어의 명사화
5.2명사의 차수 개념
5.3국어에의 적용
1.명사화의 정의와 범주, 분류
1.1명사화의 정의
국어에서 문장의 구성요소들이 그 문법 기능을 변화시키는 과정은 그들 요소의 마지막 어미 부분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명사화는 대개 용언에 명사화 기제를 접미接尾하여 나타난다.
그렇다면 ‘명사화’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김민수(83)는 명사화를 “용언이나 용언류가 체언처럼 형태를 취한 것”으로 정의하였고, 심재기(82)는 “명사화는 명사가 아닌 것으로부터 명사형이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이익섭·임홍빈(83)은 “명사화란 기저의 한 문장이 보다 큰 문장 속에서 명사 혹은 명사구와 동일한 통사적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문법적 절차”라고 정의하였다. 이 중 앞의 두 정의는 명사화를 형태론적 측면에서 규정하고 있는데 비해 세 번째의 인용은 통사론적인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명사화가 되는 어휘는 1)형태적인 변화를 갖지만, 종종 그와 같이 2)명사화 형태로 바뀜으로써 그가 이끄는 구절을 명사절로 만들어 내포문 역할을 하게 하는 통사적 기능을 해 내기도 한다.
1)그는 인물 그림을 하나 샀다.
2)그는 인물(을) 그리기를 좋아한다.
1)에서는 ‘그리다’라는 동사가 명사형이 되어 단순히 명사 역할을 하는 것에 그치지만, 2)에서는 ‘그리다’의 명사형이 명사절을 이끌어 문장 내에서 내포문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가 다루어야 할 명사화는, 전용轉用되어 체언의 역할을 해내는 모든 문장요소이므로 1)의 유형과 2)의 유형 두 가지가 모두 여기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명사화의 정의에는 이 둘이 모두 포괄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명사화를 ‘명사가 아닌 문법 법주로 하여금 명사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문법적 변화’라고 정의하도록 한다.
1.2명사화의 범주, 분류
1.2-1명사화 범주 설정에 있어서의 보문, 관계절과의 구분
명사화의 범주를 설정함에 있어서, 특히 명사화 용법 중에서 ‘통사적 명사화’(1.1에서의 예시2))와 그 쓰임이 유사한 보문절, 관계절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여야 한다. 영어에서의 명사화를 보더라도 명사화와 보문화는 종종 혼동되어 그 영역을 서로 침범해오곤 했다. 국어에서도 명사화와 보문화는 개념이나 범주가 논문마다 서로 혼동되는 일이 잦았다. 대표적인 명사화 어미인 {-음, -기, -아/어}도 대부분의 논문에서 보문화소로 취급되곤 했다. 이것이 명사화 어미로서 올바로 정리된 것은 이익섭·임홍빈(83)에 이르러서이다. 보문명사가 있는가의 여부로 보문화와 명사화를 구분한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