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흡연 [거리 흡연 의미, 남성 흡연 문화 폭력성, 여성 거리 흡연 시위 정치성]

 1  여성 흡연 [거리 흡연 의미, 남성 흡연 문화 폭력성, 여성 거리 흡연 시위 정치성]-1
 2  여성 흡연 [거리 흡연 의미, 남성 흡연 문화 폭력성, 여성 거리 흡연 시위 정치성]-2
 3  여성 흡연 [거리 흡연 의미, 남성 흡연 문화 폭력성, 여성 거리 흡연 시위 정치성]-3
 4  여성 흡연 [거리 흡연 의미, 남성 흡연 문화 폭력성, 여성 거리 흡연 시위 정치성]-4
 5  여성 흡연 [거리 흡연 의미, 남성 흡연 문화 폭력성, 여성 거리 흡연 시위 정치성]-5
 6  여성 흡연 [거리 흡연 의미, 남성 흡연 문화 폭력성, 여성 거리 흡연 시위 정치성]-6
 7  여성 흡연 [거리 흡연 의미, 남성 흡연 문화 폭력성, 여성 거리 흡연 시위 정치성]-7
 8  여성 흡연 [거리 흡연 의미, 남성 흡연 문화 폭력성, 여성 거리 흡연 시위 정치성]-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여성 흡연 [거리 흡연 의미, 남성 흡연 문화 폭력성, 여성 거리 흡연 시위 정치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목 차
I. 서론
II. 여성 흡연에 대한 서구 논의
- ‘Smoke Screen- Womens smoking and Social Control’ 을 중심으로 -
III. 거리 흡연의 의미
1. 남성 흡연 문화의 폭력성
2. 여성 거리 흡연 시위의 정치성
IV. 여성 흡연에 대한 담론 분석
- PC통신 토론을 중심으로 -
1. 모성과 모더니티
2. 젊은 여성과 소비
3. 보이지 않는 규율과 감시의 시선
4. 우리 전통과 서구
V. 여성을 살리면서 여성 흡연 죽이기
II. 여성 흡연에 대한 서구의 논의
- ‘Smoke Screen- Womens smoking and Social Control‘ 을 중심으로 -
이 책은 여성 흡연과 정체감, 여성 흡연에 대한 사회적 반응을 다루는 책이다. 작가는 여성흡연이 담배산업의 정치적, 경제적인 역학관계, 담배에 관한 사회적인 규제와 규범의 문제 등의 사안이 얽혀있고 따라서 여성 흡연의 의미는 매우 복잡할 수밖에 없다고 언급하면서 우선적으로 여성들 그들 자신에게 어떤 의미인지 묻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그녀는 이 책에서 여성흡연의 문화적인 그리고 사회경제적인 맥락 안에서 여성 흡연을 분석하고 있으며 흡연하고 있는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그들의 이야기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1800년대부터 1920년대 초까지 북미에서는 페미니스트들이나 몇몇의 여성단체들은 담배에 대한 저항운동을 벌여 나갔는데 담배가 남성들을 도덕적으로 타락시키고 건강에 해롭다는 이유를 들었다. 이때 당시 담배 피는 여성은 반역적이고 주변적인 매춘의 상징과 동일시되었다. 1920년대 들어 처음으로 여성을 겨냥한 담배광고가 시작되었는데 이는 1차세계대전 당시 여성이 남성의 노동시장에 진출하여 임금노동의 경험을 하기 시작했고 여성들이 남성적 행위라는 여겨지는 영역에 처음으로 진입하게 되는 맥락에서 비롯되었다. 증가하는 여성자유, 담배에 반대하는 그룹, 담배시장의 압력들이 서로 갈등관계에 놓여 있다가 1920년 초의 담배회사의 승리가 한 몫을 하였다. 이때 담배 피는 여성은 남성적인 요소와 남성적인 행위를 차용함으로써 담배를 주도했던 남성성의 영역과 문화적인 상징에 도전하기 시작했고 이와 동시에 페미니즘의 산업화가 진행되었다. 아이러니 하게도 한편으로는 이때 당시 여성들을 다시 집으로 돌려보내기 위하여 모성과 가정영역의 강조로 어머니와 가정을 돌보는 사람으로서의 여성은 절대로 담배를 피어서는 안될 것을 함께 이미지화하고 있었다. 1930년대에 이르러 ‘unisex trend라는 패션에서 여성과 남성 이미지를 과감하게 깨면서 새로운 옷문화를 창조하였고 여성들의 흡연은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이를 부추기는 또 다른 이미지는 여성흡연을 문화적으로 다른 것보다 우월하고 소비와 풍요, 욕망과 여유로움을 상징하는 무언가로 해석되기 시작한 것이다.
1940, 50년대에는 담배는 여성이 남성을 유혹하기 위하여 매력적인 존재로 여기게 하는 에로틱한 이미지를 연출하는 도구로 이용되었다. 이는 이성애주의적인 여성이미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계급적 특권을 이미지화시켰다. 저자는 여성들의 상징이 남성에 의해 소비되는 존재(매춘부)에서 남자 같은 존재(레즈비언, 남자 같은 아이) 그리고 다시 남성을 유혹할 수 있는 존재(매혹적인 이성애주의자)로 변화해왔음을 지적하고 이를 젠더관계와 여성에 대한 권력과 지배 안에서의 역사적인 차이의 변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한다. 그 이후 1970년대까지 여성 흡연은 중산층 계급의 여유로움과 휴식을 의미하면서 담배시장에서 여성이 아주 중요한 수요자로 등장했다. 여성이 실제적인 직업인으로서 등장한다기 보다는 여유와 쾌락 그리고 자기 만족을 자기만의 담배, 시간과 방식을 통하여 구현할 만할 가치가 있는 존재로서 나타난다.
80년대부터 최근까지 담배는 여성에게 날씬하고 마른 어떤 이미지와 함께 체중조절을 위한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성애적인 이미지의 권력과 이성애주의자 여성의 매혹적인 모습을 더해주기 위한 방법으로서 담배는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어린 소녀들에게 큰 유혹으로 다가오고 더 많은 여성들을 담배시장으로 내몰고 있다. 또한 이제는 이성애주의자뿐만 아니라 동성애주의자, 흑인들까지 주요 담배의 소비 층으로 겨냥하면서 광고들을 제작하고 있다.
다음 장에서 저자가 주요하게 다루는 부분은 여성에게 흡연의 의미가 무엇인지 직접 여성들의 목소리를 담은 부분이다. 다섯 가지 분류로 나누고 있는데 첫째는 사회적 관계를 조직하는 것인데 여성들은 아이들과 파트너들 혹은 직장동료들을 포함해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거나 동등화시키거나 거리를 두거나 긴장을 완화하거나 혹은 관계를 끝맺는데 있어서 흡연을 이용하고 있는 측면이다. 둘째는 이미지는 만드는 측면인데 독립적이거나 다름을 느끼는 스타일의 구성 혹은 수용적인 태도 가끔은 날씬함을 유지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셋째는 감정을 조절하는 측면인데 부정적인 감정을 누르거나 감소시키는데 혹은 어떤 감정을 마비시키고 아주 가끔은 긍정적인 감정을 수용하기 위해서이다. 넷째는 의존성의 측면인데 예측이나 조절성 혹은 지지의 근거로서 담배를 이용하고 있다. 다섯째는 정체성에 관한 부분인데 죄의식, 긴장, 모순 그리고 자기학대의 이유로서 담배를 근거 삼고 있다.
저자는 여성 흡연의 문제가 그들의 경험이나 맥락에서 제기되지 못함으로써 제대로 문제화되지 못했다고 지적하면서 흡연이 개인적인 행위임과 동시에 심각한 의학적이고 경제적인 문제를 수반하는 사회적인 행위임을 강조한다. 또한 여성과 소녀들의 흡연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들이 오히려 실제적인 여성 흡연의 정확한 통계수치와 자료를 만들지 못하게 하고 그들에 대한 대책 또한 마련하지 못하게 한다고 설명한다. 여성들의 흡연이 남성들을 압도하고 있지만 그들의 문제만큼 심각하게 제기되지 못하는 것은 여성 흡연의 의미가 여성해방이나 자유, 소비시장에서의 상품화 등 사회 문화적인 여러 맥락들과 함께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며 페미니스트 그룹은 그 동안 이러한 문제를 간과한 채 침묵해왔다고 비판하다. 따라서 여성 흡연에 대한 문화적인 압력, 여성이 흡연을 함으로써 과연 누가 이익을 획득하고 있는지, 여성건강에 담배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여성 중심적인 흡연 금지와 금연프로그램에 접근하려고 노력한다. 기존의 의학적이고 건강의 모델로서 담배에 대한 조절이나 규제가 아닌 다른 식의 문제제기가 있어야 함을 피력하고 있는 것이다.
III. 거리 흡연의 의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