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

 1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1
 2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2
 3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3
 4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4
 5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5
 6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6
 7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7
 8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8
 9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9
 10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10
 11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11
 12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12
 13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13
 14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14
 15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15
 16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16
 17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17
 18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18
 19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19
 20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조직론] 생태공동체 조직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序 論
1. 연구 조직의 선정


2. 문제 제기와 연구 방법


3. 연구의 진행 방향

Ⅱ. 本 論
1. 공동체란 무엇인가?
(1) 공동체의 개념

(2) 공동체의 형성 요인과 배경

(3) 공동체의 흐름과 외국의 사례

(4) 한국 생태 공동체의 특징과 환경적 배경

2. 지리산 두레 공동체 마을에 대한 사례 연구
(1) 두레 공동체의 현황

(2) 두레 공동체에 대한 조직론적 분석

3. 변산 생태 공동체에 대한 사례 연구
(1) 변산 생태 공동체의 현황

(2) 변산 생태 공동체에 대한 조직론적 분석

Ⅲ. 結 論
1. 두 사례의 비교와 평가


2. 생태 공동체 조직의 방향과 미래
본문내용
I. 序 論

1. 연구 조직의 선정
"풀과 대화해 본 사람은, 그 풀을 밟지 못 합니다" http://www.ohmynews.com 오마이뉴스 2003. 9. 26

제5회 생명아카데미는 “생명의 그물망과 자기 삶의 반성”이라는 주제로 의 저자인 황대권씨를 초청, 지난 24일 영남대학교에서 강연을 마련했다.… 현재, ‘생태 공동체 연구모임’의 대표를 맡고 있기도 한 그는 생태적인 삶에 대한 중요성을 역설했다.“인간은 100년도 안 되는 기간 동안 자연을 모조리 파괴시키고 있습니다. 이대로 간다면 자연은 물론이거니와 인간조차 몰락해 버리고 맙니다”…“인간이 자연을 착취하는 이유는 나와 자연이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생태적인 삶이란 이런 삶의 태도에서 벗어나 자연과 내가 하나로 이어져 있음을 깨닫는 것이기도 하지요." 유럽의 선진국들에서는 이미 자연 속으로 돌아가 전통적인‘마을’을 형성하고 공동체를 구성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황대권씨는“이기주의나 지나친 개인주의 또한 이러한 자연친화적인 생태 공동체 삶속에서 해결될 수 있다”고 충고했다. … “풀과 대화를 해 본 사람이라면 잡풀 하나라도 함부로 밟지 못합니다. 세상을 사는 것도 마찬가지지요. 생명이 있는 것, 하물며 생명이 없는 것 하나에까지 의미를 부여하고 소중함을 알게 된다면 삶 자체가 이미 생태적인 삶, 자연친화적인 삶이 될 것입니다.”…

현대 사회는 흔히 개인주의 사회, 혹은 공동체와 공동체 의식이 파괴되고 사라져가고 있는 시대라고 한다. 이러한 판단에는 근대 자본주의 사회가 공동체가 가질 수 있는 인간의 행복을 박탈한다는 생각과 현대 사회의 다양한 문제와 모순을 공동체의 복원이라는 방법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의도가 깔려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공동체와 현대 사회, 특히 근대 자본주의 사회를 대립적인 구도로 파악하고 있는 인식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인식은 비단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구성원뿐만 아니라 시민혁명과 산업혁명의 결과로 도래된 근대 사회가 시작되었을 때부터 이미 많은 학자와 사회 사상가들에게도 마찬가지였다. Karl Marx는 산업혁명이 시작되고 자본주의 사회가 진행되기 시작하면서 인간은 그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고독해지며 많은 문제점들이 파생되어 인간성을 파괴하고 행복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고 지적하면서 자본주의는 이러한 내재적인 모순 때문에 폭력적인 혁명을 통해서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주의, 그리고 공산주의로 필연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였다. 자본주의 비판의 정점에 있다고 할 수 있는 Marx뿐만 아니라 많은 사회학자와 사회 사상가들은 공동체가 근대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을 해결할 수 있는 해결 방안으로서 공통적으로 공동체의 추구와 복원을 직간접적으로
참고문헌
신용하, 「공동체이론」, 문학과지성사, 1985

Rosabeth Moss Kanter, 「共同體란 무엇인가」,심설당, 1983

Oliver Popenoe, 「세계의 공동체마을들」, 정신세계사, 1993

김인수, 「거시조직이론 : 조직설계를 중심으로」, 무역경영사, 1999

김백준, 「마을공동체의 생태친화적 재구성과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2000
최협, 「공동체의 현실과 전망」, 선인, 2001

김수중, 「공동체란 무엇인가」, 이학사, 2002

W. R. Scott, 「Organizations : rational, natural, and open systems」, Prentice Hall, 1998

두레마을요람, 2003


참고 Web Site

두레공동체운동본부 www.doorae.or.kr
(주)도서출판 보리 www.boribook.com
공동체네트워크 www.hc21.or.kr
오마이뉴스 www.ohmynews.co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