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문헌연구] 『영양력증』 연구 - 권주가를 중심으로

 1  [한국문학문헌연구] 『영양력증』 연구 - 권주가를 중심으로-1
 2  [한국문학문헌연구] 『영양력증』 연구 - 권주가를 중심으로-2
 3  [한국문학문헌연구] 『영양력증』 연구 - 권주가를 중심으로-3
 4  [한국문학문헌연구] 『영양력증』 연구 - 권주가를 중심으로-4
 5  [한국문학문헌연구] 『영양력증』 연구 - 권주가를 중심으로-5
 6  [한국문학문헌연구] 『영양력증』 연구 - 권주가를 중심으로-6
 7  [한국문학문헌연구] 『영양력증』 연구 - 권주가를 중심으로-7
 8  [한국문학문헌연구] 『영양력증』 연구 - 권주가를 중심으로-8
 9  [한국문학문헌연구] 『영양력증』 연구 - 권주가를 중심으로-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학문헌연구] 『영양력증』 연구 - 권주가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영양력증』 연구
- 를 중심으로 -
- 목 차 -
1. 서론
2. 『영양력증』의 서지적 고찰
2.1. 『영양력증』의 체재
2.2. 『영양력증』의 간행과 소장 경위
3. 에 대하여
3.1. 초기 연구의 보완점
3.2. 노계시가에서 가 차지하는 의의
4. 결론
1. 서론
『永陽歷贈』은 庚午(1690년)本 『蘆溪歌集』으로, 경오년(1690년) 한음 이덕형의 증손인 이윤문(1646~1717)이 永川(永陽) 군수로 재직할 당시 자신의 증조부인 한음과 관련된 노계의 詩歌를 판각한 목판본 가집이다. 이는 알려진 순조 31년(1831)의 『노계집』원간보다 141년 앞선 것이어서 『永陽歷贈』의 발견은 노계 시가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임이 분명하다.
『永陽歷贈』은 2004년 구미시 인동에 있는 장대림의 10대 孫 장화진의 집에서 발견되어 2005년 11월 7일 ‘장형수 장형수는 『永陽歷贈』의 발견자 장화진의 아들이다.
소장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369호’로 지정되었다. 발표자도 2009년 12월 11일 구미 인동 장화진씨를 방문하여 『永陽歷贈』원본을 살펴보았는데, 책의 표지에 ‘『永陽歷贈』’이라는 제목이 세로로 쓰여있고 표지의 우측 하단에 ‘六宜堂’이라 하여 元 소장자도 밝혀져 있음을 확인 하고 여러 가지 서지적 조사를 한 바 있다.
『永陽歷贈』은 발견되지 얼마 되지 않은 탓에 그리 많은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주로 김석배 김석배는 “題簽『永陽歷贈』은 가집의 명칭으로 삼기에는 적절치 않으므로 『庚午本 蘆溪歌集』(약칭『蘆溪歌集』)으로 부르기로 한다(같은 책, 8쪽)”고 밝혔다.(김석배, 『경오본 노계가집』, 구미문화원, 2006.)
와 김창규 김창규, 『蘆溪詩評釋』, 박이정, 2008.
를 중심으로 원전에 대한 문헌 체재와 평석 등의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永陽歷贈』에서 처음 발견된 · 두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한음과 관련된 노계가집을 인동 장씨 집안에서 소장하게 된 정확한 경위, 책의 뒷장에 덧붙여 놓은 발문의 국문본이 누구의 필사인지, 또 기존의 알려진 , 등의 작품에 대해서도 『永陽歷贈』본과 노계의 다른 가집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원문을 정확히 밝히는 등의 많은 연구 과제가 남아 있다.
본 발표문은 직접 확인하고 실사한 『永陽歷贈』의 문헌 체재와 간행 경위를 밝히고, 現 소장자의 말과 그동안의 연구를 토대로 박노계의 가집이 인동 장씨 가문에서 소장하게 된 경위를 알아보기로 한다. 이어『永陽歷贈』에서 처음 발견되어 노계시가 연구의 새로운 자료가 된 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에서 보완할 점을 알아보고, 辭에 담긴 의미를 고찰하여 이 작품이 갖는 의의 도출에 조그만 보탬이 되고자 한다.
2. 『永陽歷贈』의 서지적 고찰
2.1. 『永陽歷贈』의 체재
『永陽歷贈』은 14장 28면의 목판본으로 책의 크기는 세로 31.3cm, 가로 21.7cm이고 五針綴裝法을 사용하였으며, 표지의 왼쪽 상단에 세로로『永陽歷贈』이라는 권제와 우측 하단에 ‘六宜堂/륙의당’이라고 소장자(張大臨)의 호가 쓰여 있다. 표지는 주황색 菱花文樣이고, 특히 표지의 뒷면에 ‘康熙 23(1684)년 12월에 영천 군수가 발행한 문건’이 배접 종이로 사용되어 있어 『永陽歷贈』이 1690년 영천에서 印刊되었다는 사실의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 四周雙邊 有界이며 半葉匡廓은 세로 24.2cm, 가로 17.4cm 크기로 10행이며 1행은 20字이다. 上下內向有紋(二葉)黑魚尾이며 版心題가 沙提曲 · 陋巷詞 · 相思曲 · 勸酒歌 · 短歌와 張次 1~14로 표기되어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