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지도론] 규방가사의 유형적 특징과 전승과정

 1  [고전시가지도론] 규방가사의 유형적 특징과 전승과정-1
 2  [고전시가지도론] 규방가사의 유형적 특징과 전승과정-2
 3  [고전시가지도론] 규방가사의 유형적 특징과 전승과정-3
 4  [고전시가지도론] 규방가사의 유형적 특징과 전승과정-4
 5  [고전시가지도론] 규방가사의 유형적 특징과 전승과정-5
 6  [고전시가지도론] 규방가사의 유형적 특징과 전승과정-6
 7  [고전시가지도론] 규방가사의 유형적 특징과 전승과정-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지도론] 규방가사의 유형적 특징과 전승과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규방가사의
유형적 특징과 전승과정
Ⅰ. 들어가며
Ⅱ. 규방가사의 유형적 특징
Ⅲ. 규방가사의 전승과정
Ⅳ. 나가며
목 차
Ⅰ. 들어가며
규방가사(閨房歌辭)는 우리 가사문학 양식의 하나로서 내방가사(內房歌辭) 또는 여성가사(女性歌辭)라고도 한다. 조선 영조 무렵에 형성되어 부녀자들에 의해서 향유되어 오던 가사들을 일컫는데, 처음에는 영남지방 사대부가 부녀자들의 전유물이었으나 조선조 말엽에는 서민 부녀자들도 이를 향유했다. 규방가사는 대개 여성이 지은 것이지만, 아버지가 시집가는 딸에게 를 지어주거나 남편이 죽은 아내를 그리워하는 작품을 짓는 등 남성이 지은 것도 있다. 남성이 지었다고 하더라도 이 작품들은 모두 부녀자들의 안방에서만 향유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규방가사로 본다.
Ⅱ. 규방가사의 유형적 특징
규방가사의 유형은 논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뉜다. 규방가사의 내용에 대해서 이재수(1976)는 교훈류(敎訓類), 송축류(頌祝類), 탄식류(歎息類), 풍류류(風流類) 등 네 가지로 나누었고, 이종숙은 창작의 모티브를 생활적인 모티브와 감상적인 모티브로 크게 나눈 뒤 생활적인 모티브로 혼인(婚姻), 회혼례(回婚禮), 회갑(回甲), 근친(覲親), 화전(花煎)놀이, 승경유람(勝景遊覽) 등을, 감상적인 모티브로는 연모(戀慕), 회고(回古), 우국(憂國) 등을 들고, 주제는 교훈적인 것과 자탄적인 것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권영철(1980)은 규방가사 창작의 모티브를 교훈, 자탄(自歎), 풍류, 자과(自誇), 송경(頌慶), 애도, 노동, 상고(尙古), 개세(慨世), 문답(問答), 풍자, 종교 등 12가지로 나누기도 했다.
이러한 규방가사를 종합해서 체계적으로 분류해보면 크게 여성교훈적(女性敎訓的)인 가사와 생활체험적(生活體驗的)인 가사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여성교훈적인 가사는 다시 계녀류(誡女類)와 도덕류(道德類)로, 생활체험적인 가사는 탄식류(歎息類), 송축류(頌祝類), 풍류류(風流類)로 나누어진다. 김광순 외(2003), 《국문학개론》, 새문사, p202
1. 여성교훈적인 가사
(1) 계녀류
여성 교훈적 가사는 주로 계녀류 가사에 속한다. 계녀류 가사는 계녀서에서 유래한 것으로, 산문으로 서술하던 혼인한 여성의 도리를 알기 쉽고 외기 좋도록 가사로 옮긴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학(小學), 주자가훈(朱子家訓) 등 유교적 규범서의 내용을 전달하는 유형과 자신의 구체적인 체험을 통해 훈계하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계녀류 가사의 대부분은 전자의 유형인데, 이 유형의 대표 작품인 중 일부를 잠깐 살펴보자.
(전략)
백년이 순식이니 순식간 사친사를
일시인들 잊을소냐 은공이 뜻을 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