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의 공간미 - 정의 종류 풍경 구조

 1  한옥의 공간미 - 정의 종류 풍경 구조-1
 2  한옥의 공간미 - 정의 종류 풍경 구조-2
 3  한옥의 공간미 - 정의 종류 풍경 구조-3
 4  한옥의 공간미 - 정의 종류 풍경 구조-4
 5  한옥의 공간미 - 정의 종류 풍경 구조-5
 6  한옥의 공간미 - 정의 종류 풍경 구조-6
 7  한옥의 공간미 - 정의 종류 풍경 구조-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옥의 공간미 - 정의 종류 풍경 구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옥의 공간미
1. 목차
-한옥의 정의
-한옥의 종류
-한옥과 풍경 (하늘, 빛, 바람, 소리, 산, 물)
-한옥의 구조 (내부구조 - 창 부엌, 외부구조 - 난방, 마루)
-어처구니
2. 한옥의 정의: 일반적으로 한옥은 서양식 건물인 양옥에 반하여 사용하는 용어이다. 한옥이란 단어가 사용된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융희 2년(1907년) 4월23일에 작성된 가사에 관한 조복문서에 수록된 한옥이라는 용어의 사용례가 현재까지 발견된 문서상의 한옥 중 가장 이른 사례로 추정된다. 현재 한옥은 신한옥(주요구조부가 한국 고유의 목구조 방식으로 건축된 건축물로서, 건축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현대적 기술 및 재료를 사용한 건축물) 개량한옥 전통도시한옥(건축물과 한식기와를 사용한 지붕과 목조기둥을 심벽으로 한 목구조의 전통양식을 유지하고 있는 건축물과 대분 담장 등을 총체적으로 칭함) 등으로 불리는데 한옥이라는 용어로 한국의 고유 전통가옥을 총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건축법에서 한옥은 그 쓰임이 사찰이든지 살림집이든지 용도에 않고 전통구법과 자연 재료를 사용하여 건축한 모든 전통 양식이 반영된 건축물을 아우른다.
한옥이란 기둥 및 보가 목구조 방식이고 한식지붕들로 된 구조로서 한식기와 볏집 목재 흙 등 자연재료로 마감된 우리나라 전통 양식이 반영된 건축물 및 그 부속건축물을 말한다.
[건축법 시행령] 제2조 제16호
3. 한옥의 종류: 흔히 접하는 한옥은 기와집이 많아 기와집만을 한옥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한옥에는 5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기와집, 초가집, 너와집, 굴피집, 돌기와집
-기와집: 기와집은 기와로 지붕을 이은 집입니다. 기와는 지붕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진흙으로 빚어 불에 구운 도기입니다. 보통은 찰흙으로 만든 검은색 기와를 주로 사용하지만 신분이 높은 사람이 거주하는 집은 푸른 유약을 발라 만든 청기와로 지붕을 이기도 하였습니다.
기와는 상당히 비쌌기 때문에 일반 농민들이 짓고 살기에는 어려웠고 당시 양반들만 살 수 있었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일반 서민들은 초가집에, 양반들은 기와집에 사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그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또한 기와집은 조선시대 유교의 영향을 받아 남자와 여자가 생활하는 공간이 철저히 구분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