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

 1  [고전문학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1
 2  [고전문학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2
 3  [고전문학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3
 4  [고전문학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4
 5  [고전문학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5
 6  [고전문학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6
 7  [고전문학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7
 8  [고전문학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8
 9  [고전문학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9
 10  [고전문학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10
 11  [고전문학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11
 12  [고전문학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序)

2.본(本)

2-1. 사대부 문학의 성격과 비판정신
2-2. 김시습의 저항적인 삶과 시세계
2-3. 시대에 동화 될 수 없었던 지식인_ 김시습
2-4. 백호의 주체적인 사고와 낭만적 시세계
2-5. 문제제기

3.결(結)
본문내용
1. 서(序)

조선 전기는 새로운 왕조가 열려 새로운 기운이 약동하는 시기였다. 개혁의 주체들은 성리학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이상을 펼치고자 했고, 사림이라는 새로운 세력 또한 지방에서 힘을 키우며 청운의 꿈을 키웠다. 과거 여말의 퇴색적, 향락적 분위기는 새로운 기운에 사라지는 듯하였으나, 끝없이 청렴할 것만 같았던 신흥 사대부들도 권력에 젖어 점차 귀족적 경향을 띠게 된다. 이러한 경향은 문학에도 반영되어 그들이 보편적으로 향유했던 한문학은 점점 유미적 퇴영적 색조를 띠었다. 이러한 시기에 지방의 사림들은 이제는 훈구세력이 되어버린 신흥 사대부들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문풍을 일으킨다. 민족문학사 강좌 상에서는 사림 또한 봉선지배층(지주층)으로서 자신들의 생활터전을 미화시키고 자신들의 정치 ․ 윤리적 이념(道理)에 따라 개인적 정감(情)을 이성(性)과 규범(禮敎)에 속박시키며 유형화시킨다 하여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이러한 고답적 경향을 탈피하고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는 방외인 문학에 초점을 맞추어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한다. 본 논고는 이러한 필자의 견해에 일부 동의하지만 조선전기의 문학이 방외인 문학에 그치지 않고 여타의 장르에도 나타나는 것을 보여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을 보충하고자 한다. 또한 애매하게 쓰이고 있는 사대부란 용어에 대해 다시 정의하고 방외인 문학의 의미를 좀 더 구체화하려 한다.

2.본(本)

2-1. 사대부 문학의 성격과 비판정신

1) 본문 내용 요약

필자는 고려 말 권문세족에 대립해 있던 지방의 중소지주 출신 사대부들이 농민층의 개혁적 요구를 수렴하고 성리학의 이념을 확립하면서 새로운 정치 ․ 문화의 담당자로 부상하였다고 설명하며 조선 전기 사회의 기본 성격을 이들의 정치적 승리로 성립한 '사대부사회'로 규정하고 있다. 필자는 "문학사에서 조선 전기는 '사대부시대'로 일컬어도 좋으리만큼 이들 양반 ․ 사대부층의 문학이 융성 발달한 시대이다. 이들의 문학의식을 지배하며 이들에게 보편적으로 향유되던 문학은 아직도 한문학이었으며, 이들의 문예적 소양과 습성도 한문학을 통해 기본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전제하며 사대부 문학의 총체적 양상을 한문학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사대부들이 추구하던 문학세계의 일반적 성격을 서술하고 이들이 이루어낸 문예적 성과 중 우리 문학사의 진전을 가져온 가장 의미 있는 부분이 어떤 것인가를 서술하고 있다.
참고문헌
※ 참고문헌

길진숙,『조선전기 시가예술론의 형성과 전개』, 소담출판사, 2002
강원대학교인문과학 연구소편,『梅月堂- 그 文學과 思想』, 1988
국어국문학회편, 『고소설 연구1』, 태학사, 1997
김명환, 『한국대표고전소설』, 빛샘, 1997
민족문학사연구소 편, 『민족문학사 강좌 상』, 창작과 비평사, 2006
심경호,『김시습평전』, 돌베게, 2003
윤주필『한국의 방외인문학』, 집문당, 199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 중세후기문학』, 지식산업사. 2004
한국고소설학회. 『한국고소설의 자료와 해석』, 아세아문화사. 2003
황패강 외, 『조선시대의 작가1』, 집문당, 200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