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

 1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1
 2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2
 3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3
 4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4
 5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5
 6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6
 7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7
 8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8
 9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9
 10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10
 11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11
 12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12
 13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13
 14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14
 15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15
 16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16
 17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장소마케팅] 장소마케팅 전략을 통한 [낙성대길 1.6 Km] 공간활성화 방안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문제제기
1.2. 연구 대상- 관악구 봉천 7동(낙성대길 1.6 Km)지역

2. 장소마케팅의 의미와 목적
2.1. 장소마케팅의 역사적 의미
2.2. 연구의 목적

3. 장소마케팅 전략의 수립
3.1 개념도
3.2 장소판촉의 추진전략

4. 결론 및 과제
본문내용
1.1. 문제제기

모든 사회적 관계는 공간적 표현을 갖게 마련이다. 특정공간의 점유는 그 자체가 한 사람 혹은 집단의 사회적 위신(prestige)을 대변해주기도 한다. 한국사회와 같이 전통적으로 공간에 대한 의미부여가 정교하게 발달하고, 땅의 협소함으로 인해 그것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한 사회일수록, 특정 공간은 어떤 형식으로든 그 이면에 존재하는 권력과 위계를 반영하게 된다. 쉬운 예로 아무개라는 사람이 수도 서울에 산다는 것, 그것도 강북이 아닌 강남에 산다는 사실은 은연중에 그가 권력과 자본에 대해 맺고 있는 일정한 관계에 대해 말해준다. 그렇다면 이번 연구의 대상지역인 '낙성대길 1.6 ㎞'는 과연 어떠한 사회적 의미를 표현하고 있는가?
낙성대가 위치하고 있는 관악구는, 60년대 서울의 급속한 인구증가 추세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제반 도시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신도시 개발의 일환으로 강남이 개발되고 행정구역이 확장되면서 만들어졌다. 하지만 강남의 중심지들의 빠른 성장과 달리 관악구는 비교적 저개발된 체로, 강남의 변두리 지역으로 남아있다. 특히 봉천동 일대는 도시 빈민들이 집단으로 이주해오면서 서울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지우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낙성대길 1.6 ㎞' 지역에 해당하는 봉천 7동 역시 상대적으로 저개발 된 체로 남아 있다. 문제는 과거 봉천동 일대의 부정적 이미지가 너무 강하게 고착된 탓인지, 이 지역이 실제의 모습에 비해 그 이미지가 매우 나쁘다는 점이다.
사실, 낙성대 길을 한번이라도 걸어 본 사람은 누구나, 관악산 자락에 둘러싸인 이
참고문헌
· Ashworth·Voogd, 1994, "Marketing and place promotion", Place promotion, edited by Gold and Ward, JOHN WILEY & SONS.
· Basset, K. 1993, "Urban cultural strategies and urban regeneration", Environment and planing A, volume 25-2.
· Friavel Holcomb, 1994, "City Make-over", Place promotion.
· Kearns, G. and Charles Gray, 1993, Selling Place: The City as Cultural Capital, Past and Present, Pergamom Press.
· Paddison, Ronal, 1993, "City Marketing, Image Reconstruction and Urban Regeneration", Urban Studies, Vol.2, No.2.
· 계기석·천연숙, 2001, 「지방화시대의 도시정체성 확립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 부르디외, 1995, 『구별짓기: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새물결.
· 유재윤·진영효·김형국, 2000, "도시문화산업의 육성방안 - 도시마케팅 접근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 이무용, 1997, "도시개발의 문화전략과 장소마케팅", 「공간과 사회」통권 8호.
· 조권중, 2002, "서울시민의 계층의식과 도시사회 정책",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파트리트 보네위츠, 2000, 『부르디외 사회학 입문』, 동문선.
· 하비, 1994,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