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

 1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1
 2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2
 3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3
 4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4
 5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5
 6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6
 7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7
 8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8
 9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9
 10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10
 11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11
 12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12
 13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13
 14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14
 15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15
 16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16
 17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17
 18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18
 19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19
 20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매체언어교육론] 같은 사건이나 사회 현상을 다룬 보도의 `재현(representation)`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대선 관련 보도에 나타난 ‘재현’ 방식의 차이
2.1. 분석 제재 및 분석 방법
2.2. BBK사건에 대한 언론의 보도 분석
2.2.1. BBK관련 기사 보도 빈도수 조사
2.2.2. 표제어 및 내용분석
2.2.3. 사설 분석
2.2.4. 분석 결과
2.3. 이회창 후보 출마에 대한 언론의 보도 분석
2.2.1. 이회창 후보 출마 기사 보도 빈도수 조사
2.2.2. 표제어 및 내용분석
2.2.3. 사설 분석
2.2.4. 분석 결과
3. 교수-학습 지도안 구현
4. 미디어 텍스트와 비판적 리터러시
4.1. 국어교육에서의‘비판적 읽기’
4.2. 매체교육에서의‘비판적 리터러시’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현대 사회에서 미디어가 갖는 힘은 매우 절대적인 것이다. 특히 전통적인 미디어교육에서 그 대상으로 삼았던 대중 매체는 그것을 소비하고 수용하는 사회 구성원에게 매우 큰 파급력과 영향력을 행사한다. ‘중재하는 수단, 도구 혹은 매개체’로서 미디어 자체가 갖는 본질은, 미디어는 세상을 보는 투명한 창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각기 다르게 재현한 것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또 미디어에서 투영되는 이미지들은 우리가 직접 보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미디어는 그 이미지들이 우리에게 간접적으로 전달되어 소통되는 경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즉 우리가 세상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하기보다는 세상을 보는 선택적인 관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중재’의 성격을 갖고 있다. Buckingham. D, 기선정․김아미 옮김(2003/2004), 『미디어교육』, JNBook, p17.
미디어의 그 같은 특성이 가장 첨예하게 나타나는 것이 대중 매체의 사회 현상 보도라고 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일어나는 특정한 사건이나 사회 현상은 신문 혹은 텔레비전, 인터넷과 같은 매체를 매개로 하여 기사, 뉴스 등의 형태로 우리에게 전달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인 ‘보도’의 가장 큰 주체, 즉 생산자는 각 언론사이다. 미디어를 통해 정보가 유통되는 과정을 ‘생산자-미디어-수용자’라는 단순한 구조로 생각한다면, 특정한 사건이 중요한지 중요하지 않은지가 그 생산자에 의해 선택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일어났는지 일어나지 않았는지의 여부까지 결정할 수 있다는 말이 된다. 기술의 발전에 따른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다양한 미디어가 등장함에 따라 대중이 더 이상 ‘우매한 집단’의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스스로 정보를 창출·가공하고 유통시킬 수 있는 능력을 서서히 갖추게 된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도 일반 대중으로서의 개인이 지닌 매체라는 것은 그 범위와 능력이 협소하다. 즉 주로 개인의 웹 사이트나 블로그가 대부분이고, 조금 더 집단화된다 해도 시민단체의 웹 사이트나 그를 기반으로 한 소규모 언론의 형태에 지나지 않아 거대 언론사가 소유한 자본과 생산수단에 비한다면 시·공간적 제한도 매우 크고, 정보에 대한 접근성도 현저히 낮으며, 유통시킬 능력이나 파급력도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일반 대중이 자신이 속한 사회 전체와, ‘수용자’의 형태로나마 소통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가장 절대적이고 안이하며 매력적인 수단이 대중매체라는 것은 여전히 유효한 관점이다.
참고문헌
Buckingham. D, 기선정&김아미 옮김(2003/2004), 『미디어교육』, JNBook.
김은성, 「비판적 읽기의 개념과 성격」『국어교육연구』제 15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5.
김정자, 「국어교육에서 미디어 교육의 수용 - 미디어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국어교육학연구』제15집, 국어교육학회. 2002.
김혜정, 「비판적 언어인식에 대한 연구」,『국어교육연구』15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5.
우한용 외, 『신문의 언어문화와 미디어 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정현선, 「성찰적 문화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국어교육학연구』제 14집, 국어교육학회, 2002.
정현선,「기호와 소통으로서의 언어관에 따른 매체언어교육의 목표에 대한 고찰」,『국어교육연구』제 19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7.

[참고자료]

1. 민주언론시민연합 2007 대선민언련모니터단 모니터 결과
2. ‘박정의의 미디어 비평 - 이회창 출마 집중포화… '의견'만 내세운 언론’ [한국일보] 2007-11-19 30판 33면
3. ‘이회창 변수'에 3신 3색의 ’ ‘백병규의 미디어워치 - 박근혜에 당권 넘기라는 의 대선 계산법’ [오마이뉴스] 2007.11.09 (금)
4. ‘조·중·동, 反 이회창, 親 이명박’ 노골화 [기자협회보] 대선미디어연대 모니터본부 신문팀 11.5(월) ~ 11.10(토) 주간모니터 보고서 2007년 11월 14일
5. 창 출마를 보는 언론들의 냉담한 시각
[대선보도 읽기] '1강-2중-다약' 혹은 '이회창-이명박-정동영' 3자 구도 예상 [미디어오늘]
2007년 11월 07일

[참고사이트]

http://www.kinds.or.kr
http://www.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