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 [국어문법론] 국어문법론

 1  [국어문법] [국어문법론] 국어문법론-1
 2  [국어문법] [국어문법론] 국어문법론-2
 3  [국어문법] [국어문법론] 국어문법론-3
 4  [국어문법] [국어문법론] 국어문법론-4
 5  [국어문법] [국어문법론] 국어문법론-5
 6  [국어문법] [국어문법론] 국어문법론-6
 7  [국어문법] [국어문법론] 국어문법론-7
 8  [국어문법] [국어문법론] 국어문법론-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국어문법론] `말다`
  •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
  • [한국어] 문장 체계의 변화-부사절의 범위변화를 중심으로
  • [논문요약][국어문법론] 15세기 국어의 부정법 연구
  • [국어형태론] 국어형태론 요점정리 서브노트
  • 2021년 방송대 글쓰기 기말] 다음 중 올바른 표기 형태를 고르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1) 뒷처리/뒤처리 2) 겉잡다/걷잡다 3) 귀뜸/귀띰/귀띔 4) 명난젓/명란젓, 창난젓/창란젓 5) 카페/까페
  • 글쓰기 기말시험 2021] 뒷처리/뒤처리, 겉잡다/걷잡다, 귀뜸/귀띰/귀띔, 명난젓/명란젓, 창난젓/창란젓, 카페/까페, 제대했대/제대했데, 갈갈이/갈가리, 오랫만에/오랜만에, 금새/금세, 해결됨으로/해결되므로, 우겨넣고/욱여넣고, 다음에 제시된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참고문헌란을 일관성 있게, 그리고 바르게 완성하시오
  • 글쓰기 기말] 2021년 1학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글쓰기 기말시험 온라인 과제물 -방송대 글쓰기 기말, 방통대 글쓰기 기말, 뒷처리/뒤처리, 겉잡다/걷잡다, 귀뜸/귀띰/귀띔, 명난젓/명란젓, 창난젓/창란젓, 카페/까페, 다음에 제시된 서지정보를 활용하여 참고문헌란을 일관성 있게, 그리고 바르게 완성하시오
  • 한국어문법교육론_1 한국어 문법과 국어 문법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2 학습자의 문법 오류를 수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3 한국어 문법 교육시 문법 제시 방법과 유의점을 설명하시오
  • [논문요약][국어문법론] 피동문은 능동문을 전제로 하는가
  • 소개글
    [국어문법] [국어문법론] 국어문법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어의 문萱?특성

    2. 전통문법의 공과

    3. 유럽의 구조언어학과 미국의 구조 언어학의 특징

    4. 언어능력과 언어수행, 심층구조와 표층구조

    5. 구절구조문법의 한계점

    6. 형태소(morpheme)와 이형태(allomorph)

    7. 어기와 접사

    8. 통사적 복합어와 비통사적 복합어

    9. 품사분류의 기준 분석

    10. 심층격의 예

    11. 소위 이중주어문이란 것의 특징과 유형

    12. 국어의 시제와 상

    13. 상대시제 설정의 효용성
    본문내용
    1. 국어의 문법적 특성

    (1) 국어는 SOV 언어에 속한다. 이는 목적어는 서술어 앞에 주어 뒤에 놓인다는 원칙이다. SOV언어의 특성은 첫째 자유어순라는 점이다. 이것은 서술어가 문장 끝에 놓이는 일만 잘 지켜지면 나머지 성분의 위치는 비교적 자유롭다

    a. 형은 나에게 선물을 주었다.
    b. 나에게 형은 선물을 주었다.
    c. 선물을 형은 나에게 주었다.

    위의 a,b,c가 어순에 상관없이 모두 같은 뜻이 된다.
    두 번째 특징은 국어는 문법적 관계나 狀況 文脈的인 의미를 나타내는 附屬形式들을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 뒤에 연결시키는 後置的 言語(postositional language)라는 점이다.

    a.가-영희 를-뱀
    b.영희에게서만큼은 재미있게 놀지 못했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사는 반드시 체언 뒤에 와야하며, 語尾나 先語末 형태들도 반드시 어간 뒤에 와야한다. 또, 체언 뒤에 오는 助詞가 둘 이상이 복합되어 연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보인다. 셋째는 국어의 수식어는 예외 없이 규칙이 있다는 점이다.'관형사(혹은 관형사형)+명사','속격+명사','부사(혹은 부사형)+용언','부사+부사'등과 같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온다.
    네 번째는 국어의 의문문에서 주어와 서술어의 위치가 바뀌는 일이 없으며, 의문사가 반드시 文頭의 위치에 와야한다는 제약도 없다는 것이다.

    (2) 국어는 경어법이 정밀하게 발달한 언어에 속한다는 것이다. 국어는 尊稱法과 恭遜法, 謙讓法을 체계적으로 정묘하게 발달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보면 '-시-'는 주체를 존귀한 인물로 대하여 겸양시키고 '-삽-,-사오-,-잡-,-오-,-으오-'는 화자가 객체를 존대하는 말이고 '께, 께서'와 같은 특수한 조사까지 있다. 만 아니라 진지, 병환, 영양, 영애 같은 특이한 단어들도 있다.

    (3) 국어는 根幹 성분의 省略이 용이한 언어에 속한다는 것이다. 국어 문장의 근간 성분으로는 주어, 목적어, 보어, 서술어 등을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런 것들이 문장에서 잘 생략된다.
    참고문헌
    교재 및 강의노트
    하고 싶은 말
    평소 노트필기가 부족하시거나 짧은 시간에 시험준비를 하셔야 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