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

 1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1
 2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2
 3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3
 4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4
 5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5
 6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6
 7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7
 8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8
 9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9
 10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10
 11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11
 12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12
 13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통사론] 문법 요소(2) -시상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시상법
1. 시간표현
1) 과거시제
2) 현재시제
3) 미래시제
4) 절대적 시제
5) 상대적 시제
2. 동작상
1) 완료상
2) 진행상
3) 예정상
※ 붙임 : 서법
Ⅲ. 결 론

Ⅳ. 임용고사 기출문제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① 시간부사어 ‘지금, 현재’ 등으로 표시된다.

(ㄱ) 학생들이 지금 운동장에서 축구를 한다.
(ㄴ) 저 학생은 현재 우리 반 대표이다.


② 동사인 경우 선어말 어미 ‘-는/-ㄴ-’으로 실현되고, 형용사나 서술격 조사인 경우에는 특별한 형태로 나타나지 않는다.

(ㄱ) 학생들이 식당에서 밥을 먹는다.
(ㄴ) 입학시험을 치르는 날은 해마다 춥다.
(ㄷ) 경선이는 우리 학교 총학생회장이다.

(ㄱ)은 동사의 종결형에 선어말어미 ‘-는-’이 쓰이고 있다. ‘-는-’은 자음어간 아래에서 쓰이고, 모음어간 아래에서는 ‘간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ㄴ-’으로 교체된다. 감탄형에서는 ‘먹는구나, 가는구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는-’이 선택된다. 그런데 형용사와 서술격조사에서는 (ㄴ), (ㄷ)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재시제를 표시하는 특별한 형태가 발견되지 않는다. 서정수(1976)에서는 어말어미 ‘-다’가 그 기능을 대신한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현재시제는 특별한 형태소에 의지하지 않는다고 하여 ø로 표시하고 있다.


③ 관형절로 안긴문장에서는 동사 어간에서 관형사형 어미 ‘-는’으로,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에서는 ‘-(으)ㄴ’으로 실현된다. 다만, ‘있다’와 ‘없다’는 형용사 이지만 관형사형 어미 ‘-는’이 쓰인다
예) 책이 있는 학생들은 이리 오고, 책이 없는 학생들은 저리 가거라.


(ㄱ) 식당에서 밥을 먹는 학생들이 많다.
(ㄴ) 해마다 추운 입학시험 날이지만, 올해는 다행히 날씨가 따스하다.
(ㄷ) 우리 학교 학생회장인 경선이는 다른 학생들의 입장을 잘 대변해 준다.

(ㄱ)은 ‘밥을 먹다’에서 동사 ‘먹다’에 관형사형 어미 ‘-는’이 붙어 현재 시제를 표현하였다. (ㄴ),(ㄷ)은 형용사 ‘춥다’, 서술격조사 ‘학생회장이다’에 관형사형 어미 ‘-(으)ㄴ’이 붙어 현재시제가 된다.

󰌚 더 알아보기 현재시제 고영근,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집문당, p.304

현재시제 형태라고 해서 발화시와 일치하는 시제만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ㄱ) 나는 내일 비행기로 간다.
(ㄴ) 지구는 태양을 돈다.
(ㄷ) 사람은 만물의 영장이다.

(ㄱ)은 발화시 이후의 사건시, 곧 미래시제를 표시한다. 이 사실은 발화시 이후의 시간부사 ‘내일’의 사용에 의해 분명히 나타난다. (ㄴ),(ㄷ)은 시간의 제한에 구애되지 않는 보편적 사실을 진술한 것이다. 이런 용법은 시제의 특성인 지시성과 직접 관계가 없기 때문에 시제와는 관련이 없다. 이런 경우, 부사도 이에 알맞은 것이 선택되는데 (ㄴ)에는 ‘항상’ (ㄷ)에는 ‘원래’ 등으로 각각 보충할 수 있다.


3) 미래 시제
미래 시제는 발화시보다 사건시가 나중에 나오는 시제이다.

① 시간부사어 '내일, 모레’ 등으로 미래를 나타낸다.

(ㄱ) 내일도 바람이 불겠다.
(ㄴ) 모레 찾아뵙겠습니다.


참고문헌
서울대학교국어교육연구소, 『고등학교 문법』, 교육인적자원부, 2002.
고영근․ 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고영근․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09.
남기심, 『국어문법의 탐구』, 태학사, 2001.
서정수, 『국어 문법의 연구』, 한국문학사, 1992.
임지룡 외, 『학교문법과 문법교육』, 박이정, 2008.
이관규, 『학교문법론』, 월인, 2007.
이익섭,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1999.
이재성 ․ 이형진, 『글쓰기를 위한 4천만의 국어책』, 도서출판 들녘,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