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

 1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1
 2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2
 3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3
 4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4
 5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5
 6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6
 7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7
 8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8
 9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9
 10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10
 11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11
 12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12
 13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13
 14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14
 15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15
 16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16
 17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17
 18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18
 19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19
 20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황석우 : 아나키즘의 상징주의와 상징주의의 아나키즘

Ⅲ. 이상화 : 상징주의와 아나키즘의 상호 역동적 구성

Ⅳ. 권구현 : 상징주의와 아나키즘의 분화

Ⅴ. 결 론

본문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1920년대 한국 상징주의시의 아나키즘과 연관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는, 1920년대 상징주의시와 아나키즘의 혼재성을 살피려는 것이 아니라, 상징주의시와 아나키즘의 간주관성을 살펴 한국 상징주의시를 재규정하려는데 있다. 이 목적을 설정한 근본적인 문제의 출발점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집약된다.
첫째, 1920년대 상징주의시를 서구 문예사조의 수용이라는 관점으로 읽고 평가하는, 그 가치 척도를 재고하자는 점이다. 서구 문예사조로 당대 상징주의시를 평가한다면 문학적 성취는, 서구 중심에 비교되는 주변의 미급함이라는 당연한 결론에 이른다. 그런데, 중심에 다다르지 못하는 미급함, 그 자체가 오히려 서구와 다른 한국 상징주의시의 본질일 수 있다. 이것은, 서구 상징주의 미학이 한국 상징주의시를 환원하여 온, 지금까지 연구자들이 망각하고 있었던 서구 동일자 논리로부터 탈주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서구 상징주의라는 중심에 대해 주변이라는 차별을 차이로서, 그 차이가 한국 상징주의 문학의 요체이라는 것이다. 이 문제의 본질은 한국 상징주의시가 일본을 통하여 수용한 서구 상징주의와 다르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한국 상징주의시의 생산구조를 밝히는데 있다. 한국 상징주의시의 본질은 차차 구체적으로 밝혀지겠지만, 영혼의 상태를 동경하는 환상적 신비적 이상주의가 아니라 당시 시인들이 상징주의를 생활의 차원으로 이해하였듯이, 그들에게 상징주의는 문학을 넘어서 하나의 담론이다. 아나키스트들과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상징주의시를 발표한 사실에서 이러한 점은 충분히 확인되는 점이다. 아나키스트들과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시인이 아니라 운동가이다. 그렇다면 그들에게 상징주의는 단순히 영혼의 상태를 동경하는 문예사조로서의 상징주의가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 그들을 구성하는 담론의 정서적 등가물이라고 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참고문헌
강내희, 언어와 변혁, 󰡔문화론의 문제 설정󰡕, 문화과학사, 1996.
구승희, 김성국 외, 󰡔아나키, 환경, 공동체󰡕, 모색, 1996.
권구현, 󰡔흑방의 선물󰡕, 1927.
김경복, 󰡔한국 아나키즘시와 생태학적 유토피아󰡕, 다운샘, 1999.
김영철, 서구 상징시의 수용 양상, 󰡔한국근대시론고󰡕, 형설출판사, 1988.
김용직, 󰡔한국근대시사󰡕 상, 학연사, 1986.
김윤식, 󰡔한국근대문학사상사󰡕, 한길사, 1984.
김은전, 프랑스 상징주의 수용과 문제점, 󰡔한국현대시사의 쟁점󰡕, 시와 시학사, 1991.
김학동, 󰡔한국현대시인연구󰡕, 새문사, 1990.
김흥규, 1920년대 초기시의 낭만적 상상력과 그 역사적 성격, 󰡔문학과 역사적 인간󰡕, 창작과비평사, 1980.
박인기, 󰡔한국현대시의 모더니즘 연구󰡕, 단국대출판부, 1988.
박호영, 한국낭만주의시의 특질, 󰡔한국현대시사의 쟁점󰡕, 시와시학사, 1991.
백 철, 󰡔조선신문학사조사󰡕, 백양당, 1948.
양왕용, 󰡔한국근대시사󰡕, 삼영사, 1982.
오세영, 󰡔한국낭만주의시연구󰡕, 일지사, 1980.
오장환, 󰡔한국아나키즘운동사연구󰡕, 국학자료원, 1998.
이기철, 󰡔작가연구의실천󰡕, 영남대출판사, 1986.
이동순, 󰡔한국시의정신사󰡕, 창작과 비평사, 1996.
이숭원, 󰡔20세기 한국현대시인론󰡕, 국학자료원, 1997.
이호룡, 한국인의 아나키즘 수용과 전개,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2000.
조남현, 한국 근대문학의 아나키즘 체험, 󰡔한국현대문학사상연구󰡕, 서울대출판부, 1994.
조두섭, 󰡔한국근대시의이념과형식󰡕, 다운샘, 1999.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69.
조영복, 동인지 시대 시 해석에 대한 몇 가지 문제, 󰡔한국학보󰡕, 1999. 겨울
최유찬, 󰡔문예사조의 이해󰡕, 실천문학사, 1995.
한계전, 󰡔한국현대시론연구󰡕, 일지사, 1983.
황호덕, 1920년대 동인지 문학의 성격과 미적 주체 담론 연구, 성균관대 석사학위 논문, 1997.
홍정선, 카프와 사회주의 운동단체와의 관계, 󰡔세계의 문학󰡕 봄, 1986.
Bloch E., 박설호 역, 󰡔희망의 원리󰡕, 솔, 1993.
Chadwick. C, Symbolism, 박희진 역, 서울대출판부, 1977.
Eagleton T., 여홍상 역, 󰡔이데올로기 개론󰡕, 한신문화사, 1994.
Habermas J., 이진우 역,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1994.
Lacant J., 󰡔자크 라깡 : 욕망의 이론󰡕, 권택영 외 역, 문예출판사, 1994.
Laclau/Mouffe, 󰡔Hegemony and Socialist Strategy󰡕, 김성기 외 역, 터, 1990.
Macdonell D., 󰡔Theories of Discourse󰡕, Oxford Publication, 1987.
Zima P. V., 허창운․김태환 역, 󰡔이데올로기와 이론󰡕, 문학과지성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