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구비문학론] 한국 설화를 차용한 문화콘텐츠 분석 -`천년여우, 여우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1  [한국구비문학론] 한국 설화를 차용한 문화콘텐츠 분석 -`천년여우, 여우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1
 2  [한국구비문학론] 한국 설화를 차용한 문화콘텐츠 분석 -`천년여우, 여우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2
 3  [한국구비문학론] 한국 설화를 차용한 문화콘텐츠 분석 -`천년여우, 여우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3
 4  [한국구비문학론] 한국 설화를 차용한 문화콘텐츠 분석 -`천년여우, 여우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4
 5  [한국구비문학론] 한국 설화를 차용한 문화콘텐츠 분석 -`천년여우, 여우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5
 6  [한국구비문학론] 한국 설화를 차용한 문화콘텐츠 분석 -`천년여우, 여우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6
 7  [한국구비문학론] 한국 설화를 차용한 문화콘텐츠 분석 -`천년여우, 여우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7
 8  [한국구비문학론] 한국 설화를 차용한 문화콘텐츠 분석 -`천년여우, 여우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8
 9  [한국구비문학론] 한국 설화를 차용한 문화콘텐츠 분석 -`천년여우, 여우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9
 10  [한국구비문학론] 한국 설화를 차용한 문화콘텐츠 분석 -`천년여우, 여우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10
 11  [한국구비문학론] 한국 설화를 차용한 문화콘텐츠 분석 -`천년여우, 여우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11
 12  [한국구비문학론] 한국 설화를 차용한 문화콘텐츠 분석 -`천년여우, 여우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구비문학론] 한국 설화를 차용한 문화콘텐츠 분석 -`천년여우, 여우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구미호 설화의 유형
2. 《천년여우, 여우비》의 구미호 설화 차용 양상
3. 《천년여우, 여우비》의 의의
4. 《천년여우, 여우비》의 문제점

Ⅲ. 결론 - 애니메이션콘텐츠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같은 책-도선이 이야기, p. 167.

① 도선이 서당에 가던 길에 예쁜 처녀의 유혹을 받는다.
② 도선은 처녀와 함께 구슬을 입으로 주고받으면서 놀다가 해가 져서야 돌아온다.
③ 도선이 매일 처녀와 놀다 보니 점점 파리해져 죽을 지경에 이른다.
④ 서당 훈장이 그 까닭을 묻자 도선은 사실을 이야기 한다.
⑤ 훈장은 처녀를 만나면 그 구슬을 삼키고는 하늘을 쳐다보라고 한다.
⑥ 도선은 다음날 처녀를 만나 입으로 넣어준 구슬을 삼킨다.
⑦ 그 순간 처녀가 여우로 변해 놀란 도선은 땅에 엎어진다.
⑧ 도선은 땅에 엎어진 발람에 천문을 통달하지 못하고 지리만 도통하게 된다.
⑨ 도선은 자라서 유명한 풍수가 된다.

이 이야기 유형에서는 주인공 아이와 구미호가 대립한다. 구미호는 인간으로 변신하기 위하여 아이의 정기를 빼앗아야 하고, 아이는 살기 위해서 구미호의 구슬을 삼켜야 한다. 결국 아이가 구슬을 삼킴으로써 구미호는 사람으로의 변신이 좌절된다. 이 이야기에서 구미호의 유혹은 인간의 죽음과 관련된 공포로 다가온다. 인간은 자신의 생존을 위해 구미호의 유혹을 이기고 구미호를 인간 세계 밖으로 몰아내야 한다. 구미호가 지닌 신이한 능력 역시 구슬을 매개로 하여 인간이 소유해야 하는 것이다. 이 이야기에서 구미호는 인간을 위협하는 부정적 존재로 나타나고, 남성에게 있어서도 부정적 존재로 인식된다. 그렇기에 이 이야기의 지향점은 바로 남성을 파멸시키는 유혹자를 극복하고 위대한 인물이 되는 남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유형의 이야기에는 서로 다른 구미호에 대한 관념이 나타난다. 구미호는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구원자로 등장하기도 하고,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유혹자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렇게 서로 다른 구미호에 대한 관념이 나타나는 것은 이야기 향유층이 구미호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공존하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명헌, “이물교혼담에 나타난 여자요괴의 양상과 문화콘텐츠로의 변용-구미호이야기를 중심으로”, 우리문학회(2007), 150.

하지만 이러한 인식의 공존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구미호 설화가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변용되면서 구미호의 부정적 이미지가 주로 차용되었다. 예를 들어 이나 영화 등이 그러한 예이다. 에 나타난 구미호는 인간에게 위협을 가하는 공포스러운 존재이자 아름다운 여인의 형상을 한 유혹자이고, 사람이 되지 못하고 좌절하는 존재이다. 영화 는 전설의 고향에 나타난 구미호에 대한 인식이 반복된다. 이처럼 ‘여우구슬’에 등장하는 부정적 존재로써의 구미호설화 차용은 구미호에 대한 부정적 관념이 현대에 이어진 결과이다.

2. 《천년여우, 여우비》의 구미호 설화 차용 양상

《천년여우, 여우비》는 기본적으로 구미호설화를 문화콘텐츠로 활용했다. 여우비가 인간으로 변신하는 등의 신이한 능력과 인간이 되고자 하는 소망이 드러난다는 점이 그러하다. 그렇다면 위에서 살펴본 구미호 설화 ‘여우아내 유형, 강감찬 유형, 여우구슬 유형’의 개별적인 모티프를《천년여우, 여우비》서사에 어떤 식으로 활용하였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천년여우, 여우비》서사의 큰 테두리는 현대사회에 유일하게 남은 구미호, 여우비가 인간의 영혼을 얻어서 인간이 되는 설정이다. 이는 ‘여우구슬 유형’과 유사하다. 여우구슬은 처녀로 변한 여우가 아이를 유혹하여 매일 만나는데, 아이와 구슬을 매개로 입맞춤을 함으로써 사람의 정기를 빼앗아 인간이 되려 한다. 비록 여우비가 인간에게 해를 입히면서까지 인간이 되려고 하지는 않지만 근본적으로 인간의 모습을 동경한다는 점에서 ‘여우구슬 유형’의 서사를 원천으로 활용했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런데 이러한 점은《천년여우, 여우비》에 등장하는 사냥꾼 할아버지와 여우비가 갈등을 일으키는 본질적인 원인이 된다. 왜냐하면 사냥꾼은 현대사회에 유일하게 남은 여우비가 구미호이므로 인간의 영혼을 빼앗으려는 요괴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냥꾼은 자신의 사활을 걸고 마지막 남은 구미호, 여우비를 없애려고 고군분투한다. 그러나 여우비가 인간의 모습을 동경하지만, 사냥꾼의 생각처럼 인간의 영혼을 빼앗아 해(害)를 끼치면서까지 인간이 되려는 생각은 갖고 있지 않다. 이러한 여우비의 긍정적인 구미호의 설정, 그리고 사냥꾼이 생각하는 구미호의 부정적인 인식은 ‘강감찬 유형’의 서사에서 차용했다. ‘강감찬 유형’에는 서로 다른 두 여우가 등장한다. 강감찬을 출생하는 여우는 강감찬이라는 위대한 인물을 탄생시키므로 긍정적 존재인 반면, 성장한 강감찬이 퇴치하는 여우는 인간을 잡아먹기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구비문학대계-천년 묵은 여우와 팔백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학술지

김홍겸, 「 속 여주인공의 형상연구」, 한국중국소설학회, 2006
신완순, 「구미호에 대한 오해와 진실-구미호가 나타날 태평성대를 기다리며」, 평화문제연구소, 2007
이명헌, 「이물교혼담에 나타난 여자요괴의 양상과 문화콘텐츠로의 변용-구미호이야기를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