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

 1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1
 2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2
 3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3
 4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4
 5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5
 6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6
 7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7
 8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8
 9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9
 10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10
 11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11
 12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12
 13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13
 14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14
 15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15
 16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16
 17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17
 18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18
 19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19
 20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상담의 치료적 요인 -위약 효과(Placebo Effect)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Ⅰ. 플라시보 효과의 개념 설명

ⅰ) 스테레오 타입(stereo type)

ⅱ) 헤일로 효과(halo effect)


ⅲ) 귀인 이론(attribution theory)

Ⅱ. 플라시보에 대한 철학적 관점

ⅰ) 합리주의(rationalism, 合理主義)

ⅱ) 경험주의(empiricism, 經驗主義)

ⅲ) 기능주의(functionalism, 機能主義)

ⅳ) 믿음(belief)

Ⅲ. 변화기제

ⅰ) 의사(치료자)변인

① 태도

② 전이/역전이 현상

ⅱ) 환자(내담자)변인

① 기질적 특성

② 기대

ⅲ) 치료 상황 변인

Ⅳ. 치료요인에 대한 효과

ⅰ) 병의 호전/완쾌

ⅱ) 병의 악화


ⅲ) 부작용

ⅳ) 교육 분야에의 적용

Ⅴ. 적용 기법

ⅰ) 기법 정의

① 개선 상황에 많이 노출시키는 기법


② 설득시키기 기법

ⅱ) 적용 절차


ⅲ) 적용 사례

Ⅵ. 기법 연습 문제

ⅰ) 초기 기대의 확실한 파악

ⅱ) 지속적인 개선 상황에의 노출

ⅲ) 상담자의 관심을 드러내며 안심시키고 신뢰 심어주기

ⅳ) 역할연기를 통한 개선 상황 체험

맺음말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Ⅱ. 플라시보에 대한 철학적 관점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플라시보 효과에 대해서는 뚜렷한 의학적·과학적인 설명이 어려우며, 그 개념에 대한 해석은 결국 인간의 지각과 인지에 대한 이론들로 설명되기 마련이다. 그리하여 이에 대한 설명으로 과학적 논리성에 의지하기 보다는 인간과 사물의 관계, 곧 철학(哲學)적인 관점에 초점을 맞추는 사례가 대두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아래에서는 플라시보 효과에 대한 철학적인 관점에서 논지를 전개하도록 하겠다. 크게 합리주의, 경험주의의 세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ⅰ) 합리주의(rationalism, 合理主義)

플라시보에 대한 합리주의적 관점을 설명하기에 앞서 현대 합리주의에서 가장 신뢰하는 동료인 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설명을 앞서 하지 않을 수 없다. 앞에서 플라시보 효과는 어떠한 과학적 방법(scientific method)으로 설명하기에 난해한 것이라 설명한 바가 있다. 여기서 과학적 방법이란 연역과 귀납의 논리학을 바탕으로 관찰-이론-실험-재현을 바탕으로 한 과학, 즉 자연과학의 방법론을 통칭한 말이다. 이는 자연과학에서의 회의주의자들, 즉 증거 없이는 믿지 않는다는 원칙을 지키는 사람들의 주장이기도 하다.
과학적 방법은 다음에 기초한다. 즉, 다음이 과학적 방법론의 공리이다. www.wikipedia.org


① 물질은 존재한다.
② 인간은 물질을 인식할 수 있다.
③ 물질과 물질사이의 관계를 총칭하여 자연이라고 한다.
④ 자연에는 법칙이 있다.
⑤ 인간은 자연 법칙을 합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⑥ 이러한 공리를 토대로 자연 법칙을 연구하는 방법으로서 현재까지 인간의 합리적 추론에 의해 가장 좋은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과학적 방법인 것이다.

과학적 방법론은 합리주의의 메커니즘인 이성적·논리적 연과성과 가장 부합하는 매체로,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사실은 ‘합리적이지 못한’ 사실로 취급되는 것이 근대 이후의 일반적 경향이다. 플라시보 효과는 그 발견으로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합리적인’ 해석에는 들어맞지 않는 문제아로 낙인찍혀 왔다. 합리주의적인 관점에서 플라시보 효과를 설명하기에는 그 인과성에 관련한 과학적 근거와 기반 설명 모두가 부족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과학적 방법으로 플라시보 효과에 대한 화학적 기전(其前)을 밝히기 위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환자에게 취한 플라시보 처방이 환자 두뇌의 특정 부위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을 조사하여 플라시보 효과와 뇌 작용 사이의 인과적 관계를 밝히려는 해석이다. 특히 통증과 우울증 보조 치료에 적용되는 플라시보 효과에 대한 FMRI(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영상 대응관계 연구가 활발한 편이다. 최종덕, , 2006, pp. 23


ⅱ) 경험주의(empiricism, 經驗主義)

경험주의란 인간 지식과 그에 관련한 현상 모두의 근원을 오직 경험에서만 찾는 철학적 입장이다. 이는 앞서 설명한 합리주의로는 설명이 불가능했던 플라시보에 대해 경험적 사례를 들어 그 효과를 인정하고 있다. 앞서 말한 성호를 통한 질병의 치료나, 군인들의 전투약 제조 등의 예는 분명히 플라시보가 제 효과를 발휘한 ‘경험’적인 사례로서 존재한다. 그렇기에 경험주의적 관점에서는 아직 플라시보와 치료 효과에 대해서 과학적 인과성을 밝혀내지 못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의료적 행위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경험주의적 접근법에서 계속되는 플라시보에 대한 경험은 환자 자신의 치료에 이로움을 줄 수 있다. 지속적인 플라시보 처방으로 인한 경험은 환자 개인의 정신건강의 기준이 되며, 나아가 치료 방법에 초점을 맞추기 쉬워 안정된 치료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ⅲ) 기능주의(functionalism, 機能主義)

플라시보에 대한 기능주의적 관점은 플라시보가 객관적 재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특정의 기능적 역할을 한다는 해석이다. 기능적 역할이란 물론 환자에 대한 치료 효과이다. 19세기 말에 대두한 기능주의는 어떠한 현상의 실체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불가지론(不可知論)에 그 사상적 연원을 두고 있다.
참고문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제 2권, 두산동아, 1999.
박경애,《인지행동 치료의 실체》, 학지사, 1999.
손정락,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Vol.11, 2005. 특집호
이현수, , 《인문학연구》Vol.10, 1982.
장혁표 외, 《현대상담․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1995.
최범식,《심상치료와 상담의 모든 것》, 학구사, 2004.
최종덕, , 2006.
로버트 로젠탈, 《피그말리온 효과》, 이끌리오, 2003.
Burton Arthur, Interpersonal Psychotherapy, Aronson,
Garfield. Sol L. 《단기심리치료》, 학지사, 2002.
Garfield, Sol L., Psychotherapy:An Eclectic-Integrative Approach, John Wiley & Sons, 1995.
Hanna Levenson, 《단기 역동적 심리치료》, 학지사, 2008.
Hersen, Michel, Issues in Psychotherapy Research, Kluwer Academic Pub, 2007.
Nancy McWilliams,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학지사, 2007.
Norcross, John C, Psychotherapy Relationships That W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Raymond J. Corsini ; Danny Wedding [공]편저,김정희 역,《현대 심리 치료》,학지사, 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