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

 1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1
 2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2
 3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3
 4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4
 5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5
 6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6
 7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7
 8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8
 9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9
 10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10
 11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11
 12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12
 13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13
 14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14
 15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15
 16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노사관계론] 한국의 강경노조가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함.
1.노동조합의 역할 및 기능

2.한국 노동조합의 실태
노동조합의 체계 및 문제점
3.강경노조의 영향과 등장배경(현대차노조)
노조의 영향으로 인한 임금인상&생산성저하
현대차노조를 비롯한 강경노조의 등장배경
4.외국 노동조합의 사례
도요타와 GM의 사례를 통한 비교분석
5.노조문제에 대한 다른 해법
기아자동차의 모닝 위탁생산
삼성의 무노조 전략
현대중공업 노사관계 모델
Ⅲ.결론
노사관계의 올바른 모델 제시

본문내용
1)현대차 노조를 통해 본 강경노조의 영향

현대자동차는 첫 공장 가동 후 20년간 노동조합이 없었지만 1987년 6월 29일 노동조합이 결성된 이후로 1994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파업을 일삼고 있다. 지난 20년간 총 330여 일을 파업했으며 이로 인한 누계 피해액은 조 단위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2003년 에는 무려 25일을 파업으로 투쟁하면서 1조 3천억 원의 영업 손실을 내는 등 매년 반복되는 불법파업으로 인한 피해는 막심하다. 이러한 파업 중에는 고용보장과 임금인상 등 노동자들의 권익향상을 위한다는 식의 파업뿐만 아니라 민주노총이나 금속노조와 같은 상위노조의 정치적 투쟁의 일환으로 행해지는 파업도 다분히 있다. 비정규직 법 반대와 한미FTA 반대 등의 정치파업은 노조원의 이익을 위한 파업이기는커녕 오히려 회사발전의 저해요소가 되었을 뿐이다. 특히 한미FTA는 협상자체가 국내 자동차업계에 유리하게 진행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차 노조가 이에 반대성명을 낸 것은 노동자들의 투쟁적 성향을 과시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현대차 노조는 파업을 무기삼아 회사를 협박하고 자신들의 이익증대에만 관심을 갖고 있을 뿐 회사의 경영악화는 나 몰라라 하는 식으로 일관하고 있다. 파업에 따른 손실은 전부 회사 측이 보전을 하게 되고 이는 고스란히 경영악화로 이어지며 회사의 존립 자체를 위협할 수도 있다. 회사가 살아야 노동자도 살 수 있다는 기본 진리를 망각한 채 자기 몫을 조금이라도 더 챙기려는 현대차 노조의 만행은 전 국민의 원성을 사기에 이르렀다.

자료출처: 파이낸셜 뉴스 2007-06-12/국민일보 2007-01-22

위의 자료를 보면 파업에 따르는 막대한 손실과 함께 이런 추세라면 현대자동차의 영업이익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알 수 있다. 이는 현대자동차 생산라인의 강경한 노조가 가장 큰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현대자동차는 불과 30여년 만에 세계5위의 자동차 회사로 올라섰는데, 그만큼 현대차는 우수한 연구소와 생산기술 인력들을 확보한 상태이며 이들의 비용 대비 효율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한다. 반면에 생산, 판매라인의 노동자들은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져 다른 부분의 이점까지 잠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잦은 파업과 1년 단위의 임금협상은 회사의 경영에 큰 부담을 주고 있으며 근무시간이나 교대방식을 노동자들의 입맛에 맞게 설정하는 바람에 생산성은 타 회사의 노동자들에 비해 낮은 실정이다. 최근 세계적인 경기침체 속에 경영악화로 흔들리고 있는 GM보다도 못한 생산성은 현대차가 극복해야 할 숙제인 동시에 노조가 인식해야 할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