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계내과] 신경인성방광

 1  [신계내과] 신경인성방광-1
 2  [신계내과] 신경인성방광-2
 3  [신계내과] 신경인성방광-3
 4  [신계내과] 신경인성방광-4
 5  [신계내과] 신경인성방광-5
 6  [신계내과] 신경인성방광-6
 7  [신계내과] 신경인성방광-7
 8  [신계내과] 신경인성방광-8
 9  [신계내과] 신경인성방광-9
 10  [신계내과] 신경인성방광-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계내과] 신경인성방광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분류

2. 한의학적 관점

3. 진단

4. 치료

Ⅲ 고찰 및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비억제성 신경인성방광(uninhibited neurogenic bladder)
배뇨에 관한 척수분적 상위 반사로의 운동로가 장애된 결과 뇨의는 정상적으로 전달되지만 대뇌의 억제 작용이 미약한 까닭에 방광이 충만되는 동안에 척수 반사에 의하여 불수의적으로 수축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고 촉박 배뇨(precipitae micturition)을 하게 된다. 척수 외상, 뇌종양, 뇌출혈, 다발성 경화증, 악성 빈혈 등이 원인이 되고, 드물게는 선천적으로 대뇌억제 기능(cerebral inhibitory mechanism)이 발달하지 못하여 오는 경우도 있다.
방광 용적이 감소되고 빈뇨가 일어나며 때로는 야간 뇨실금을 호소하나, 잔뇨를 남기는 일이없고 배뇨 장애의 정도가 매우 경미하다.
방광 내압을 측정하면 정상인에서는 방광내에 추입 액체량이 차츰 증가하는 동안에 방광이 적합하게 확장됨으로써 방광 내압은 계속하여 저압의 상태(0~20cm H2O)를 유지하다가 일정량에 도달하면 비로소 100~150cm H2O의 압으로 큰 배뇨수축이 일어나게 되는데 대하여 본 증에서는 액체 주입중 반사 수축이 자주 일어난다. 그때마다 방광 내압이 일시적으로 상승되었다가 다시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고 이와 같은 반사 수축이 일어나는 것을 환자 자신이 억제하지를 못한다. 병력상 본증 환자는 흔히 야뇨증 정낭염등으로 진단되고, 각종의 비뇨기과 진찰을 받아온 예를 볼 수 있다.

2) 반사성 신경인성 방광(reflex neurogic bladder, 또는 자동적 신경인성 방광 automatic neurogenic bladder)
척수분절 상위 반사로의 감각 및 운동구가 모두 침범되어 방광이 척수 반사에만 의존하는 단순한 반사 기관이 된 상태이고, 따라서 정상 요의는 소실되고 수의적으로 배뇨를 시작하거나 억제하지 못하여 방광 충만 중에 불수의적 반사 배뇨가 일어나 배뇨케 된다. 이때 배뇨하기 직전에 일종의 예감으로서 방광수축이 절박한 것을 깨닫게 되는 어떤 감각을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안면의 조홍감(flushing sensation), 긴장감(feeling of tension),발한, 일시적 혈압상승, 하지의 급작한 수축등이 나타나며 이것을 배뇨 전조(premicturitional aura)라고 한다.
방광 내압측정상 그 형의 곡선을 볼 수 있는데, 뇨가 방광에 충만되는 동안에 여러번 주기적 반사 수축이 일어나다가 배뇨 용적까지 충만되면 큰 반사 수축이 일어나는 형과 방광이 충만되도록 평탄한 긴장 곡선을 유지하다가 충만되면 비억제성 반사수축이 일어나는 두 형이 있다. 잔뇨는 30~90cc이고 충분한 방광 용적을 가진 예에서는 3~6시간의 간격을 두고
참고문헌
동의신계학 pp. 97~ 101
정동원 외 11명. “중풍 후 발생한 신경인성 방광 환자에 灸치료를 실시한 증례 4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2내과학 교실. 대한한방내과 창립 30주년 기념학술대회
Acord MP, Improvement in excretory function in a female with neurogenic bowel and bladder. Medical Acupuncture Online Journal. 2002;13(3)
안광현, 김기현, 이윤호. 침구치료를 위주로 시행한 복함치료가 특발성 신경인성 방광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침구학회지. 2002;19(6):247-255
김흥숙, 김선영, 신길조, 이원철. 당뇨병성 신경인성 방광으로 인한 소변불리환자를 당귀승기탕가미방으로 치료한 치험 1례. 대한한방성인병학회지. 2000;6(1):13-19
동국대학교 침구학 강의론 각론 pp. 37~39
Mingin GC, Baskin LS (2003). "Surgical management of the neurogenic bladder
and bowel". Int Braz J Urol 29 (1): 53–61. PMID 15745470
Akbar M, Abel R, Seyler TM, Gerner HJ, Möhring K (2007). "Repeated botulinum-A toxin injections in the treatment of myelodysplastic children and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ies with neurogenic bladder dysfunction.". BJU Int. 100 (3): 639. doi:10.1111/j.1464-410X.2007.06977.x. PMID 17532858
Hirst GR, Watkins AJ, Guerrero K, Wareham K, Emery SJ, Jones DR, Lucas MG (2007). "Botulinum toxin B is not an effective treatment of refractory overactive bladder.". Urology 69 (1): 69-73. doi:10.1016/j.urology.2006.09.005. PMID 17270619.
Game X, Karsenty G, Chartier-Kastler E, Ruffion A (2007). "[Treatment of neurogenic detrusor hyperactivity: enterocystoplasty]" (in French). Prog. Urol. 17 (3): 584-96. PMID 17622095
Karsenty G, Corcos J, Schurch B, Ruffion A, Chartier-Kastler E (2007).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neurogenic detrusor hyperactivity: intradetrusor botulinum toxin A injections]" (in French). Prog. Urol. 17 (3): 568-75. PMID 17622092
Chartier-Kastler E, Ruffion A (2007). "[Treatment of vesicoureteric reflux and neurogenic bladder]" (in French). Prog. Urol. 17 (3): 470-2. PMID 17622079
Chartier-Kastler E, Comperat E, Ruffion A (2007). "[Disorders of bladder compliance and neurogenic bladder]" (in French). Prog. Urol. 17 (3): 442-7. PMID 17622074
Chenet A, Perrouin-Verbe B, Le Normand L, Labat JJ, Brunel P, Lefort M, Mathé JF (2007). "[Efficacy of repeat injections of botulinum A toxin to the detrusor in neurogenic bladder overactivity.]". doi:10.1016/j.annrmp.2007.03.019. PMID 17490775
이지영 외 7인. “신경인성 방광 환자 치험 2례”.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3):677-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