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

 1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1
 2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2
 3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3
 4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4
 5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5
 6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6
 7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7
 8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8
 9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9
 10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10
 11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11
 12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12
 13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13
 14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14
 15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15
 16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16
 17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17
 18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18
 19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재일 한국인의 형성과 북한 귀국 사업의 진실 -일본인의 귀국사례와 비교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재일한국인
1.1. 재일한국인의 형성
1.2. 재일한국인의 실태
2. 북한 귀국사업
2.1. 귀국사업이란
2.2. 귀국사업 추진 이유
2.3. 귀국협정과 실제 귀국 과정
2.4. 경과와 문제점
3. 만주잔류일본인과 귀국사업
3.1. 제국 시대 본토(내지) 일본인의 만주 이민사
3.2. 패전 이후 만주잔류일본인의 실태
3.3. 패전 이후 일본인의 귀국 과정
3.4. 북한 귀국사업과의 비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 1971년의 합의서를 근거로 사후조치가 실시되었다. 잠정조치가 종료된 후에 새로 귀국을 희망하는 자도 귀국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1971년 12월부터 1984년 7월까지 총 26차에 걸쳐 3,648명이 귀국하였다.



2.4. 경과와 문제점 일본의 재일한국인 정책, 이혜경, 1994,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p50-p51

북한의 귀국사업은 조총련과 일본정부의 협조 아래, 모두 9만 3천여 명의 재일한국인이 귀국한 후 종료되었다. 이 사업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남기고 있다.
실제로 귀국사업을 통해 북한에의 노동력 공급과 경제회복을 위한 물자 공급은 경제계획에 일조하였다. 그러나 당시 북한으로 귀국한 사람들의 연락을 통해 북한의 실상과 치부가 일본사회와 재일한국인 사회에 알려지게 되었고, 조총련의 획일적인 체제운영에 반감을 갖게 된 재일한국인들의 조총련 탈퇴가 증가하였으며, 일본으로의 귀화자 역시 함께 늘어났다. 또, 귀국사업을 저지하지 못한 한국정부에 대해 실망한 재일한국인들의 귀화가 증가하였다. 재일한국인들은 한국정부가 기민화 정책으로 일관했다고 보았던 것이다.
북한으로 귀국한 6천여 명의 일본인 처와 그 자녀들에 대한 문제도 있다. 북한은 현재 이 문제를 일본과 한국에 대한 협상카드의 하나로 사용하고 있다.
과거 식민지 통치 이후 지속되어 오던 재일한국인 차별의식이 재일한국인 추방정책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귀국사업이 진행된 후 일본사회와 재일한국인 사회 사이의 불신과 이질감이 깊어졌다. 또, 이전까지 반공정책이 시행된 것과는 상반된 정책이 시행되었기 때문에 민단계와 조총련계로 나누어진 재일한국인 사회의 대립과 분열을 심화되었다.
일본은 북한으로의 귀국사업이 거주지선택의 자유를 인정하는 사업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귀국한 재일동포들이 대부분 남한 출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연고가
참고문헌
참고문헌
일본에서 '재일한국인'으로 살아가기: 한국 민주화 운동 참여자들의 정체성, 이승훈, 2002
재일조선인과 재일한국인, 김명섭·오가타 요시히로, 2007, 21세기정치학회보
재일한국인의 역사-역사 교과서 재일 코리언의 역사 작성위원회, 2007, 역사넷
재일 한국인 백년사, 김찬정, 2010, 제이앤씨
귀국운동과 재일의 현실, 김형규, 2004
「귀국협정」에 따른 재일조선인의 북한으로의 귀국, 김영순, 2000
일본의 재일한국인 정책, 이혜경, 1994,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일북의 「귀국협정」 성립과 그 경위, 김영순, 1999
북한의 재일조선인 귀국운동에 관한 연구 -추진 목적을 중심으로-, 권은주, 2006
근대 일본의 국내식민과 해외이민, 임성모, 2008
日本帝国をめぐる人口移動の国際社会学, 蘭信三, 2008, 不二出版
滿洲移民の現狀と其の將來, 조선식산은행조사부, 1940, 식은조사월보
동아시아의 민족이산과 도시 - 20세기 전반 만주의 조선인, 김경일, 2004, 역사비평사
滿蒙終戦史, 滿蒙同胞援護会, 1962, 河出書房新社
Between colonial racism and global capitalism: Japanese repatriates from northeast China since 1946, Mariko Asano Tamanoi, 2003, American Ethnologist
일본 후생노동성 및 일본 NPO 단체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