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

 1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1
 2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2
 3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3
 4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4
 5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5
 6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6
 7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7
 8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8
 9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9
 10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10
 11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11
 12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12
 13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13
 14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14
 15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15
 16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업형 농업 마을 도입을 통한 호남지역 농업 활성화 -영농법인화를 통한 농가 소득구조 개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호남지역 낙후 원인
1) 지리적 요인
1)-1 기후적 요인
1)-2 지형적 요인
2) 정책적 요인(정부)
3) 인구통계적 특성
4) 소비자들의 소비패턴 변화
2. 농업구조 개선을 통한 소득 확대 방안
1) 한국의 농업현황
2) 기업형 농업마을의 소개
2)-1 기업형 농업마을의 정의
2)-2 농업법인의 특징
2)-3 농업법인의 운영 및 관리
2)-4 농업법인의 성공사례와 실패사례
3) 기업형 농업마을의 적용
3)-1 유통방식(산지공동마케팅시스템 도입)
3)-2 운영/관리(등급화, 표준화, EDI)
3)-3 소유권 할당 방식 및 구조개선
3. 기대효과 및 결론

본문내용

▶유통방식case 1. 양파/마늘
현재 전남산(무안산) 마늘의 주 유통경로는 생산자 → 산지유통인(깐마늘업체) → 도매상·중간도매상 → 소매상 → 소비자를 거치는 5단계의 경로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산자에서 산지조합 25%, 산지유통인 40%, 저장업체 25%를 경유하여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유통경로만을 보더라도 마늘이 소비자에 다다르기까지 중간에 5단계나 거치게 된다.
(↳조창완 2005. ‘Ⅲ-2 전남산 마늘, 양파의 유통실태’ 참조.)
위에서 언급한 공동마케팅시스템을 도입하여 생산자 -> 기업형농업(공동마케팅시스템) ->소비자로 유통경로를 2단계로 단순화 시킬 수 있으며 또한 중국산 마늘에 대항하여 고품질의 마늘을 이전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지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마늘 같은 경우에 까지 않은 마늘보다는 깐 마늘이 이윤이 더 남는다. 농업마을은 생산자로부터 마늘을 공급 받아 기업 내에서 위생적인 가공시설을 이용하여 깐 마늘을 판매처에 제공하는 형태를 보이게 될 것이다.
양파 같은 경우에 현재 시행하고 있는 주 유통경로는 생산자 → 산지유통인 → 도매상 → 중간도매상 → 소매상 → 소비자에 이르는 5단계로 생산자에서 산지유통인 60%, 저장 15%, 산지조합에 25%가 유통되고 있으며, 생산자로부터 최종적으로는 소비자에게 70%정도, 대량수요처에 30%정도 판매되고 있다.
(↳ 조창완 2005. ‘Ⅲ-2 전남산 마늘, 양파의 유통실태’ 참조.)
양파 또한 공동마케팅시스템을 도입한다면 마늘과 같이 2단계로 대폭 유통단계를 단순화 시킬 수 있다. 양파는 현재 생산자가 현장(밭)에서 직접 캐냄과 동시에 밭에서 선별/포장, 줄기를 제거하여 그물망에 포장되어 출하되는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 농가의 고령화와 도시로의 인구 유출로 수확 인력 확보라는 문제로 출하시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동마케팅시스템이 도입된다면 기존에 생산자에 의해 현장에서 행해지던 선별/포장, 줄기 제거과정을 APC가 도맡아 품질관리를 따로 함으로써 이전보다 더욱 고품질화된 양파상품을 고객은 받을 수 있으며 생산자 입장에서는 출하시기에 수확 인력 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유통방식case 2. 버섯

참고문헌

김수석 2007 "농업법인의 실태와 제도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노미현 2009 "농업법인의 운영실태와 외부감사대상 농업기업의 주요경영지표 분석" 한국상업교육학회
서대섭 2008 "농협 농산물 연합판매사업의 수익확대 방안 연구 : J농협 연합판매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장민기 2008 "잘나가는 영농조합법인 그들은 이렇게 했다" GS&J 자료집
농수산물 유통공사 7월호 "농수산물 무역정보"
김수석, 박석두 "농업법인의 운영실태와 제도개선방안"
통계청 2009 "농업종사가구원수별 농가수"
권승구, 유영봉, 위태석 2005 “산지 유통 혁신 전략” (주)명진씨앤피
조창완 2005 “마늘·양파의 생산 및 유통에 관한 한·중 비교 연구” 광주전남발전연구원
이준구 2009 "미시경제학" 법문사
“장흥 표고버섯 주식회사 설립 본격화”【산림소득과】286-663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