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와현대매체의비교] 고전시가에 등장한 어린이와 현대 매체에 등장한 어린이 비교

 1  [고전시가와현대매체의비교] 고전시가에 등장한 어린이와 현대 매체에 등장한 어린이 비교-1
 2  [고전시가와현대매체의비교] 고전시가에 등장한 어린이와 현대 매체에 등장한 어린이 비교-2
 3  [고전시가와현대매체의비교] 고전시가에 등장한 어린이와 현대 매체에 등장한 어린이 비교-3
 4  [고전시가와현대매체의비교] 고전시가에 등장한 어린이와 현대 매체에 등장한 어린이 비교-4
 5  [고전시가와현대매체의비교] 고전시가에 등장한 어린이와 현대 매체에 등장한 어린이 비교-5
 6  [고전시가와현대매체의비교] 고전시가에 등장한 어린이와 현대 매체에 등장한 어린이 비교-6
 7  [고전시가와현대매체의비교] 고전시가에 등장한 어린이와 현대 매체에 등장한 어린이 비교-7
 8  [고전시가와현대매체의비교] 고전시가에 등장한 어린이와 현대 매체에 등장한 어린이 비교-8
 9  [고전시가와현대매체의비교] 고전시가에 등장한 어린이와 현대 매체에 등장한 어린이 비교-9
 10  [고전시가와현대매체의비교] 고전시가에 등장한 어린이와 현대 매체에 등장한 어린이 비교-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와현대매체의비교] 고전시가에 등장한 어린이와 현대 매체에 등장한 어린이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고려 말엽부터 19세기까지 시조의 배경
2.1. 시조를 통해 본 어린이 보는 시각
2.2. 정치, 경제, 사회적 배경, 인구비율
2.3. 어린이를 보는 시각


3. 현대 문학의 배경
3.1. 동화 두 편을 통해 본 어린이 보는 시각
3.2. 정치, 경제, 사회적 배경, 인구비율
3.3. 어린이를 보는 시각


4. 배경에 따른 추측
4.1. 노동력 중심의 사회에서 어린이의 존재 가치는 하등했다.
4.2. 어린이와 어른의 인구 비율 차이가 크다.
4.3. 당시의 짧은 평균 수명으로 어린이가 어른으로 인정(관제)된 시기가 빠르다.
4.4. 어린이라는 범주는 존재하지 않았다.


5. 결론


6. 참고문헌 및 매체

본문내용

2.2. 경제, 사회적 배경과 인구비율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아동과 성인을 관례 전후로 구분하였다. 우선, 관례란 보통 결혼 전에 하는 예식으로 남자는 상투를 짜고, 여자는 쪽을 져서 이를 알리는 것으로 15∼20세 때 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아이가 효경과 논어에 능통하고 예의를 알게 된 후에 행하는 것이 보통으로 옛날 사람들은 이 관례를 혼인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미혼이라도 관례를 마치면 완전한 성인으로서 대우 받았다.
이는 노동력 부족과 가난 등 경제적 여건, 의학의 미발달로 인한 영아의 사망률이 높아 영아를 벗어날 경우 자손 번성을 위해 혼인과 관례를 일찍 치뤘던 것과 관련이 있다.
조선시대는 한 세대 전까지 우리 민족의 경제생활의 중심은 농업에 있었다. 그래서 토지가 기본적 생산수단이 되고, 토지야말로 부와 신분의 상징이 되는 사회였다. 국가의 재정이 토지와 농업에 기반했기 때문에 농업 노동력이 중시되었고, 이때의 아동은 노동 인구로 보았을 가능성이 높다.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105p

또한, 아동의 인구비율은 조선시대에는 연령에 따라 노(老), 장(壯), 약(弱), 아(兒)로 구분했는데, 10세 미만의 아동들은 호적에 올리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만큼 유아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이다.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청년사, 16p
또한 조선시대의 인구 변동은 전통 시대 인구 변동의 특징인 다산다사라는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조선시대의 인구 증가율은 10년 이상을 단위로 할 때 1퍼센트 미만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시기 인구 증가율은 출생률보다는 사망률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략) 이 중 질병에 의한 사망은 대부분 어린 연령층이거나 또는 극빈층에 집중되며, 이들은 애초부터 정부의 공식 통계에서 누락된 인구였을 가능성이 높다. 한국역사연구회, 위의 책. 18p



2.3. 17세기의 어린이 보는 시각
고전 시가에 나타난 어린이는 사고와 행실의 부족함으로 인해 훈계의 대상이 되며, 어른에게 필요로 하는 것을 가져다준다. 그러나 사고와 행실은 부족하기 때문에 훈계로 어린이를 혼내고 어린이의 노동력은 쓰려고 하는 어른은 이중적인 존재처럼 보인다. 이는 고전시
참고문헌
6. 참고문헌 및 매체
김대행. 『한국고전문학전집1-시조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김대행. 『한국고전문학전집2-시조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5.
김정선.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동화 연구 :전래 동화와 창작 동화를 중심으로』. 성신여대 교육대학원, 2005.
선형경. 『이모의 결혼식』. 비룡소. 2004.
장정룡. 『원전해설 홍길동전』. 동녘출판사.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청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