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

 1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1
 2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2
 3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3
 4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4
 5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5
 6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6
 7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7
 8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8
 9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9
 10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10
 11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11
 12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12
 13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13
 14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14
 15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15
 16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16
 17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17
 18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18
 19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19
 20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박사 4학기 역경전공 세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삼국유사』校勘과 譯註本의 현황과 과제

-목 차-

Ⅰ. 머리말
Ⅱ.『삼국유사』板本의 校勘
1. 서울대 奎章閣과 고려대 晩松문고 소장본
2. 順庵手澤本
3. 古板本의 필사본
Ⅲ. 근대 校勘과 역주본의 현황과 판본의 변조설
1. 근대에 복각된 유통본
2. 변조설과 학계 반응
1) 변조설 개요
2) 학계의 반응
3.『삼국유사』판본별 문제 글자의 모습
1) ‘桓國’으로 표기된 『삼국유사』 판본
2) ‘桓因’으로 표기된 『삼국유사』 판본
4. 역주본의 현황
Ⅳ. 校勘과 역주본의 간행
1. 李丙燾 校勘譯註本
2. 유부현 校勘譯註本
3. 하정룡·이근직 校勘譯註本
4. 共同譯註本
Ⅴ. 역주본의 현황과 과제
Ⅵ. 맺는 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머리말

고려시대에 처음 간행된 『삼국유사』의 존재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지금까지 전하는 『삼국유사』의 완전한 판본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中宗壬申本이다. 그 중 국내에 전하는 것은 서울대 규장각 소장본과 고려대 도서관만송문고 소장본이다. 그 외 일본에 전하는 것으로 天理大가 소장한 順庵手澤本과 蓮左文庫 소장본 및 神田家 소장본이 있다. 완질이 아닌 국유의 殘本은 현재 여러 개가 전하며, 그 중에는 조선 초에 간행된 초간본도 있다. 우선 최남선이 소장했으나 지금 고려대 도서관에 보관 중인 光文會本과 渡邊勢이 일본으로 가져간 徹寺本을 들수 있다. 두 책 모두 3권에서 5권에 이르는 缺落本이다.
또한 鶴山 李仁榮과 石南 宋錫夏 소장본이 있는데, 현재 그것의 필사본이 고려대 도서관에 전한다. 그 외에 초판본으로 趙鍾業과 泥山 소장본이 새로 발견되었다. 중종임신본 『삼국유사』는 초판본의 완질을 구하여, 그것을 여러 고을에 나누어 판각하여 모은 것이다. 이 때 原刻 판본 중 마별이 심한 부분을 飜刻版으로 교체하였다. 따라서 그 속에는 원각판과 함께 마모된 부분을 교체하여 간행만 번각판이 섞여있다. 번각판의 경우 어느 고을에서 새긴 것이냐에 따라 그 서체가 달라졌다.『삼국유사』 간행본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은 중종임신본 자체의 판형을 면밀하게 비교 대조하여, 그 증 원각판과 번각판을 가리는 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번각판의 印本은 글자체가 원각판의 그것과 비슷하나 원형보다 굵었다가 가늘었다 하여 고르지 않으며, 글자획을 잘 못 새겨 끊기거나 없어지는 것이 나타난다. 새기는 자의 미숙으로 말미암아 글자체가 일그러질 수도 있다. 중종임신본 『삼국유사』의 刻板을 서체와 刻法에 따라 분류하려는 시도는 중요하다. 원각판과 번각판을 가리는 작업 역시 우선적으로 시도되어야한다.
참고문헌
『中宗壬申本』
『順菴手澤本』
『晩松文庫 소장본』
『서울대 奎章閣本』
『李丙燾譯註本』

《학위논문》

유부현,『三國遺事』의 校勘學的 硏究 : 諸板本의 對校를 中心으로 中央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93.
하정룡,『三國遺事』의 編纂과 刊行에대한 硏究河廷龍, 高麗大學校 博士學位論文, 2002.

《학술지 논문》

金基鉉,『三國遺事』의 再認識 順天鄕語文論集, Vol. 5 , 1998.
_____, 『三國遺事』의 刊行과 流通 한국사연구, Vol. 38, 1982.
김두진,『삼국유사』 板本의 校勘과 역주본 韓國史學報. 제29호, 2007년 11월, 고 려사학회, 2007, 524호.
_____, 『삼국유사』,「板本의 校勘과 역주본」,고려사학회, 학술지한국사학보 제29 호,2007
史學雜誌 : 總索引 : 第1編至50編 史學雜誌 : 總索引 : 第1編至50編 , 富山房, 1940.
박대재,『三國遺事』판본의 몇 가지 문제점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 13, 2009.
三品彰英, 『三國遺事考證』 卷上, 崙壽房,1975,
柳富鉉 ,『三國遺事』에 대한 書誌學的 考察; 諸板本의 對校를 中心으로書誌 學硏究. 8, 書誌學會, 1992, 524호
_____,『三國遺事』王曆 校勘考;諸板本의 對校를 中心으로,史學硏究. 43, 44, 韓 國史學會.
_____ ,『三國遺事』의 교감학적 연구 한국학술연구원, 2007.
李根直, 對校 『三國遺事』 王曆第一 韓國傳統文化硏究. 10, 大邱曉星가톨릭大學校 韓國傳統文化硏究所, 1995, 524호.
이우성,『한국고전 심포지움 第一輯』,「한국사의 역사인식 」,上卷 진단학회, 일조 각

《단행본》

강인구,『서문』,『역주 삼국유사』 ,권1, 이회문화사, 1992,
김두진,『가야건국설화의 성립과 그 변화-1』, 「국고대의 건국신화와 제의1」.일조 각,1999,
김태영, 󰡔삼국유사에 보이는 일연의 역사인식에 대하여󰡕, 󰡔한국의 역사인식󰡕 상, 창작과비평사, 1976
김상현, 「삼국유사에 나타난 일연의 불교사관」, 󰡔한국사연구󰡕 20, 1978
權相老,『退耕堂全書』卷5 , 退耕堂權相老博士全書刊行委員會, 梨花文化社, 1990.
_____, 『退耕堂全書』卷5 , 退耕堂權相老博士全書刊行委員會, 梨花文化社,1998.
민영규, 「일연과 진존숙」, 󰡔학림󰡕 5, 1983
안계현, 「일연」, 󰡔한국의 사상가 12인󰡕, 현암사, 1975
이기백,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의의」, 「진단학보」36, 창작과 비평, 1976.

李丙燾 ,『原文幷譯註 삼국유사』,東國文化社,1956.
_____, 『역주 원문 삼국유사 』, 明文堂,1977
_____, 『삼국유사』,大洋書籍,1972,
_____, 『수정관 원문병역주 삼국유사』,慶曺出版社 , 明文堂, 1977
정병삼,『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창비사
채상식, 「보각국존 일연에 대한 연구」, 󰡔한국사연구󰡕 26, 1979
_____,『一然의 사상적 경향』 , 한국문화연구, 1988
_____, 󰡔고려후기 불교사연구󰡕, 일조각, 1990.
하정룡,『三國遺事』史料批判 : 『三國遺事』의 編纂과 刊行에 대한 硏究 하정용, 민족사, 2005.
_____, 『교감역주 삼국유사』, 「복원을 위한 삼국유사전」, 시공사,200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韓國精神文化硏究院 硏究課題抄錄集, 韓國精神文化硏究 院, 1988.

『三國遺事의 新硏究』(新羅文化宣揚會,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