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

 1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1
 2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2
 3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3
 4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4
 5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5
 6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6
 7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7
 8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8
 9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9
 10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10
 11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11
 12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12
 13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13
 14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14
 15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15
 16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역환경] 토지파괴의 관점에서 살펴본 사막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정의와 연구 배경
2.1. 정의
2.2. 연구 배경
3. 학계와 정부차원의 대응
3.1. 학계의 논의의 흐름
3.2. 정부 및 세계정부 차원의 대응
4. 토지파 괴의 양상과 원인 추적
4.1. 토지 파괴의 양상과 영향 연구
4.1.1. 토양 침식
4.1.2. 사막화
4.1.3. 침수(waterlogging)
4.1.4. 염류화(salinization)
4.1.5. 기타
4.2. 토지 파괴의 원인 연구
5. 대책과 방법론
5.1. 대책 제시
5.2. 방법론
6. 중국의 사막화 연구 - 황사현상을 중심으로
7. 나오며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최근 토지 파괴(land degradation)와 그것의 대표적인 현상인 사막화(desertification)가 전 지구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추세다. 인류 문명이 시작되고 긴 역사를 거쳐 오면서 왜 최근에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지, 그것이 인류에게 어느 정도 시급하고 중요하다고 할 만큼 관련이 깊은 문제인지를 최근 연구의 경향과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최근 한국에서 황사의 피해가 점점 심해지면서 직접적으로 그 원인이 된다고 보는 중국의 사막화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에 본 조사 보고서에서는 토지 파괴와 사막화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와 연구경향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 이것이 중국의 사막화 연구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도 덧붙여서 살펴보기로 한다.
‘토지 파괴’라는 표현이 어색할 수 있으나, 가능하면 ‘토양 파괴(soil degradation)’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음을 밝혀 둔다.


2. 정의와 연구 배경

2.1. 정의

'토지 파괴'라고 하면 일단은 땅의 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일컫는 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고, '사막화'라 하면 사막이 아니던 땅이 사막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가리킨다고 짐작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가 가리키는 범위가 정확히 어디까지인지를 정하기에 따라 어느 범위까지 중점을 두어서 연구를 하게 되는지가 정해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정의를 확실하게 하는 것도 중요한 작업이다.
학계에서 토지의 파괴를 정의한 한 예를 보면 '인간의 간섭으로 인해 한 지역의 생물학적 생산성과 활용가치의 양쪽 모두, 또는 한쪽이 실질적으로 감소하는 현상' the substantial decrease in either or both of an area's biological productivity or usefulness due to human interference (Johnson et al., 1995), Journal of Land Degradation and Rehabilitation (first published in 1989) 재인용
이라고 한다. 조금 다르게 정의한 경우에는 '물, 에너지, 영양을 받아들이고 저장하고 재활용함으로써 한 생태계 내에서 토지가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것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인간이 초래하거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과정'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양쪽의 가장 큰 차이는 그 주체를 인간으로 제한하느냐 하지 않느냐의 문제이다. 이것에 따라 어떤 현상이 토지 파괴에 완전히 포함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대표적으로 사막화의 경우를 보면, 사막화를 '건조, 반건조, 또는 약간 습윤한 생태계의 빈곤화' the impoverishment of arid, semiarid, and subhumid ecosystems (Dregne, H. E., 1976)
라고 했을 때, 만약 이것이 단순히 기후 변동 자체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면 후자의 경우에만 포함될 수 있을 것이고, 과도한 목축업이나 물 사용 등의 인간 활동에 의한 경우라야만 누구나 동의하는 토지 파괴의 범위에 들어갈 것이다. 학계에서 이러한 용어 불일치가 있을 수 있음도 감안하면서 연구 경향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Chiras, Daniel D., 1998, Environmental science: a systems approach to sustainable development, Wadsworth

Dregne, H. E., 1976, Desertification: symptom of a crisis. In P. Paylore and R. A Haney, Jr. (eds), Desertification: Process Problems, Perspectives, Arid/Semi-arid Natural Resources Program, University of Arizona, Tucson

Johnson, Douglas L. and Laurence A. Lewis, 1995, Land Degradation, Cambridge, Massachusetts: Blackwell Publishers

박수진, 2004, 흙과 문명의 흥망, 지식정보사회의 지라학 탐색, 한울 아카데미

아랄해 지도에서 사라질라, 한국일보 2003-07-31

ftp://ftp-fc.sc.egov.usda

http://www.arabicnews.com

http://www.igu-net.org

http://www.iuss.org

http://www.mir.gov.cn

*그림1:
http://www.fsa.ulaval.ca/personnel/vernag/eh/F/cause/lectures/soil_degradation.htm
*그림2: http://www.geo.umn.edu/courses/1001/Summer_Session/EnviroImagery.htm
*그림3: http://www.fao.org/desertification/default.asp?lang=en
*그림4:
http://imagebingo.naver.com/album/image_view.htm?user_id=ton2001&board_no=16033&nid=2945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