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

 1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1
 2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2
 3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3
 4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4
 5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5
 6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6
 7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7
 8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8
 9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9
 10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10
 11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11
 12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12
 13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13
 14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14
 15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15
 16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16
 17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17
 18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18
 19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19
 20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법학계열
  • 2003.12.03
  • 27페이지 / hwp
  • 4,000원
  • 12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반론권제도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第1節 序論 1

第2節 憲法上 反論權의 意義 1
Ⅰ. 反論權의 意義 1
Ⅱ. 反論權의 法的性格 3
1. 憲法 第21條의 法的性格 3
2. 反論權의 法的性格 4
가. 固有의 特別한 請求權 4
나. 典型的인 防禦權 4
다. 節次的 權利 4
라. 非財産的 權利 5
마. 民事節次를 通하여 實現되는 權利 5

第3節 反論報道請求權 5
Ⅰ. 反論報道請求의 要件 5
1. 主體 5
2. 客體 6
3. 反論請求의 相對方 6
4. 對象 - 事實的 主張 7
가. 事實關係에 關한 것 7
나. 主張 8
5. 對象의 擴大 9
Ⅱ. 反論報道請求의 形式 9
1. 請求期間 9
2. 反論報道請求 10
가. 反論報道請求書 10
나. 反論報道文 10
다. 反論報道文의 揭載 13
Ⅲ. 反論報道請求의 方法 14
1. 反論報道仲裁申請 14
가. 仲裁申請 14
나. 仲裁節次 14
다. 言論仲裁委員會 16
라. 改善點 19
2. 反論報道審判請求 20
가. 請求節次 20
나. 審判節次 20
다. 間接强制 21

第4節 結論 22

參考文獻 24


본문내용
반론권 및 언론중재위원회 제도는 언론기본법에 의해 도입된 이래 2차에 걸쳐 개정되어 현행 정기간행물법에 이러기까지 약20여 년 간 시행되어 오고있다. 그러나 동 제도가 우리 사회에서의 자연발생적인 필요성에 의하여 생성된 것이 아니고, 갑자기 외국 주로 독일의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였기 때문에 그동안 언론중재 실무상에서도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현실과 합치되지 않는 면도 있어 좀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제도가 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첫째, 반론권의 대상의 확대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현행 정간물법은 제16조 제1항에서 "…사실적 주장에 의하여 피해를 받은 자…"라고 하여 의견이나 가치판단에 대하여는 반론보도청구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사실주장과 의사표현의 차이는 우선 객관적인 증명가능성 여부가 그 구별기준이 된다. 또한 그 차이는 표현의
참고문헌
1. 국내문헌

가. 단행본
구병삭, 헌법학원론, 박영사, 1996.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0.
김철수, 헌법학원론, 박영사, 1999.
박상용, 언론과 개인법인, 조선일보사, 1997.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1.
최대권, 헌법학, 법문사, 1998.
한국언론연구원, 각국의 언론출판관계법, 1987.
허 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1999.
홍성방, 헌법정해, 신영사, 1999.
팽원순, 한국언론법제론, 법문사, 1994.

나. 논문
강현중, "반론보도청구권 및 정정보도청구권의 법적 성격", 언론중재 1996 가을.
김병국, "반론권제도의 언론제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김서중, "정기간행물 관계법의 변천과 그 적용에 관한연구", 서울대 신문학과 박사학위논문, 1996.
김성남, "언론중재제도의 법적 고찰", 언론중재, 1989 겨울.
김종서, "정정보도청구제도의 문제점과 대안", 헌법논총 제5집, 헌법재판
소, 1994.
"시청자의 방송통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김현태, "반론보도청구제도의 의의와 법적 성질", 언론중재, 1999 겨울.
박상용, "판례를 통해본 정정보도청구권의 실제", 언론중재, 1991 봄.
박운희, "반론권에 관한 비교헌법학적 고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서정우, "정간물법 개정과 중재제도의 발전", 언론중재, 1996 봄호.
성낙인, "한국언론법제의 특성과 문제점", 언론중재, 1994 봄.
양 건, "반론권행사의 실제", 언론중재, 1982 여름.
양경승, "언론피해구제 관련 법률의 입법론적 개선방향과 전망", 언론중재, 1998 겨울.
양삼승 "정정보도청구권-법률적 측면에서의 고찰", 언론중재, 1983 겨울.
"언론기관판례에 비추어 본 동향분석", 언론중재, 1990 겨울.
"개정된 언론중재제도", 법조 9월호,
하고 싶은 말
반론권에 관한 자세한 논문이면 대학원발표용 뿐만아니라 방통대나 일반법대 학생들의 졸업논문으로 적합한 자료하 생각됩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