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

 1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1
 2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2
 3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3
 4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4
 5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5
 6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6
 7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7
 8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8
 9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9
 10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10
 11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11
 12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12
 13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13
 14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14
 15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15
 16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16
 17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17
 18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18
 19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19
 20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선 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행문학이란
1) 중국, 일본에서의 사행문학
(1) 중국에서의 사행문학
(2) 일본에서의 사행문학
2) 조선 전기, 후기 사행문학의 특징
(1) 조선 전기 사행문학의 특징
(2) 조선 후기 사행문학의 특징
2. 연행사에 관하여 – 김창업, 홍대용, 박지원을 중심으로
1) 노가재 김창업
(1) 노가재 김창업의 생애
(2) 노가재 연행일기
2) 담헌 홍대용
(1) 담헌 홍대용의 생애
(2) 홍대용의 사상 - 『의산문답』을 중심으로
(3) 홍대용의 독서론
(4) 홍대용의 연행록
(5) 서책
(6) 담헌에 대한 당시 반응와 후대에 미친 영향
3) 연암 박지원
(1) 북학파 필담의 형성
(2) 『열하일기』 - 필담을 중심으로
(3) 필담의 의의
3. 조선 통신사에 관하여 - 신유한의 『해유록』을 중심으로
1) 조선 통신사란 무엇인가
2) 통신 사행록
3) 신유한의 『해유록』
(1) 신유한은 누구인가?
(2) 해유록 살펴보기
(3) 해유록의 의의
4. 그 밖의 동아시아 문화교류
1) 조선과 베트남의 교류
2) 조선과 유구의 교류
Ⅲ. 결론
1. 문학사적 의의
2. 앞으로의 과제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조선 전기, 후기 사행문학의 특징
(1) 조선 전기 사행문학의 특징
조선 전기 사행문학은 해당 국가에서 견문한 정치와 역사, 문화, 풍속, 경관 등을 서술하는데 치중하였다. 특히 전기 사행문학은 견문한 바를 시로 써서 엮었다는 특징을 지닌다. 사행원의 견문과 감상은 시를 통해 표현되었고, 이를 묶어 시선집 형식을 취하였다. 이는 대상에 대한 관념적 표현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현전하는 최고(最古) 사행가사는 1666년의 작품이지만 사행을 소재로 한 국문 시가가 창작된 정황은 16세기부터 확인된다. 사행 체험이 국문시가의 소재로 활용된 최초의 사례는 의 작가인 허강(許橿)이 1541(중종 36)년에 아버지 허자(許磁)를 따라 중국을 다녀온 체험을 토대로 창작한 시조 2수이며 그의 문집인 『송호유고(松湖遺稿)』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또한 정철이 1593(선조 26)년에 사은사로 명나라를 다녀온 적이 있어 『연행일기(燕行日記)』가 전하고 있으며 이 체험과 관련된 시조 1수도 발견되고 있어 흥미롭다. 이 세 작품의 실체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해보도록 하겠다.

⒜ 봉황성(鳳凰城) 돌아들어 고향 어디메오./ 팔도하(八渡河) 가에 갈잎에 자리 보아/ 삼경(三更)에 겨우 든 잠을 여울 소리에 깨과라.
⒝ 난하(灤河) 서릿달 고죽촌(孤竹村) 눈 진 길에/ 만리(萬里)를 돌아드니 제향(帝鄕)이 거의로다./ 천애(天涯)에 외로운 꿈은 절로 돌아 가나다.
⒞ 장성만리(長城萬里)밧 산해관(山海關)을 잠가 두고/ 만리 연수(萬里 煙樹)를 계문(계門)지 늘워시니/ 황성(皇城)이 거의냥냐 가기(佳氣) 총총야라.

허강의 작품인 ⒜, ⒝를 보면 낯선 공간에서 느끼는 객수와 향수의 정서가 표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봉황성’과 ‘팔도하’는 새로운 세계라기보다는 고향과의 거리감을 인식케 하고 ‘겨우 든 잠’도 쉽게 깨게 하는 이질적 공간으로 형상화되고 있는 것이다. ⒝에 나타난 ‘난하’역시 ‘외로운 꿈’을 ‘돌아가게’ 하는 곳에 불과하다. 정철의 작품인 ⒞에서 또한 사행 체험에서 촉발된 감회가 잘 표현되어 있다. 정철은 ‘장성만리’에서 ‘황성’에 이르는 연행길을 ‘연수’를 매개로 하여 속도감있게 형상화하고 있다. ‘산해관을 잠가 두고’는 양국의 경계를 넘어 중국에 진입한 상황을 비유한 것이며, ‘만리 연수’라는 표현은 ‘장성만리’로부터 ‘계문’까지의 여정과 시간을 ‘연수’로 연결·압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계문지 늘워시니’에서 ‘늘워시니’는 나무들이 배열된 시각적 심상을 환기시키는 동시에 연속성을 강화하는 동사라는 점에서 시·공간의 전환이 비약적인 연행(燕行) 체험의 일면을 효과적으로 구현한 시어라고 볼 수 있다. ‘황성(皇城)이 거의냥냐’로 시작하는 종장에서도 알 수 있듯이 ⒞는 연경에 도착한 감흥을 형상화하고자 한 작품인데, 이를 표상하는 제재로서 ‘연수’를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만리’와 같은 지난 여정을 돌아봄으로써 곧 당도할 목적지에 대한 심적 거리감은 더욱 축소될 수 있으며 이 순간의 설렘과 발걸음이 ‘가기(佳氣) 총총야라’에서 확인된다. 비록 한 수밖에 전하지 않지만 정철이 연행 도중 촉발된 감회를 시조로 표출하기도 했음을 보여주고 했다는 점에서 주목해 볼 만한 작품이다. 이처럼 조선 초기의 외국 체험 문학은 감상적인 면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참고문헌
1. 단행본
강재언, 『조선통신사의 일본견문록』, 한길사, 2005.
고미숙, 󰡔熱河日記,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그린비, 2003.
구지현, 『통신사 필담창화집의 세계』, 보고사, 2011.
김태준 외, 『연행의 사회사』, 경기문화재단, 2005.
민족문학사연구소, 『새 민족문학사 강좌 1』, 창비, 2009.
손승철, 『조선통신사 일본과 통하다』, 동아시아, 2006.
신유한, 강혜선 역, 『조선 선비의 일본견문록』, 이마고, 2008.
유봉학, 󰡔연암일파 북학사상 연구󰡕, 일지사, 1995.
이종주, 󰡔북학파의 인식과 문학󰡕, 태학사, 2001.
임기중, 『연행록 연구』, 일지사, 2002.
정영문, 『조선시대 사행록의 텍스트와 콘텍스트』, 학고방, 2011.
정훈식, 『홍대용 연행록의 글쓰기와 중국 인식』, 세종출판사, 2007.
조규익, 『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총서3』, 학고방, 200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제3판, 지식산업사, 1997.
최소자, 『18세기 연행록과 중국사회』, 혜안, 2007.
한태문, 『통신사 문학에 반영된 조선시대의 부산 -『해행총재』소재 사행록을 중심으로』,항도부산, 2005.
홍대용, 『산해관 잠긴 문을 한 손으로 밀치도다』, 돌베개, 2005.

2. 논문
김미현, 「신유한의 『해유록』에 나타난 대일인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김상조, 「김창업(金昌業)의 노가재연행일기(老稼齋燕行日記) 연구 = Study on "Beijing journal by Nogajae" by Kim Chang-Up」, 영주어문, 2005.
김윤희, 「조선후기 사행가사의 세계 인식과 문학적 특질」,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김태준, 「연행록의 교과서 『노가재연행일기』」, 국제한국학연구, 2003.
박향란, 「연행록 소재 필담의 연구 : 홍대용, 박지원 등을 중심으로」, 인하대 박사학위논문
백수진, 「조선통신사와 문화교육」,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p. 38.
신태수, 「“熱河日記”에 나타난 연암의 황교관과 세계인식」, 󰡔한국의 철학󰡕제17호, 경북대학교
엄경흠, 「이수광의 사행문답록에 대한 고찰」, (󰡔문화전통논집󰡕, Vol.2 No.-), 1994
위홍, 「 『老稼齋燕行日記』 硏究 : 對淸意識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이채연, 「조선전기 대일 사행문학에 나타난 일본인식」, 「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총서 2」(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학고방, 2008).
이학당, 「필담을 통해 본 󰡔熱河日記󰡕의 예술적 사실성」, 󰡔한문학보󰡕 제18집, 우리한문학회, 2008.6
정훈식, 「홍대용 연행록의 구성방식과 성격 = The Construction and Special Feature of Hong Dae-Yong's Travel Itinerary」, 2005.
조흥국, 「근대 이전 한국과 동남아시아 간 접촉에 대한 역사적 고찰」, (󰡔국제지역연구󰡕, Vol.8 No.1, 1999)
최진숙, 「청천 신유한의 『해유록』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홍종필, 「韓國의 歷史學者가 본 「오키나와(沖繩)」에 대하여」, (󰡔인문과학연구논총󰡕, Vol.19 No.-, 1999)
Xue Tang Li 외 2인, 「자우주제 : 노가재(老稼齋)의 예술소양(藝術素養)과 연행(燕行) 문화교류(文化交流) = Artistic Accomplishment of Kajae and the Cultural Exchange during Traveling in Peking」, 동방한문학회, 20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