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

 1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1
 2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2
 3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3
 4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4
 5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5
 6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6
 7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7
 8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8
 9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9
 10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10
 11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11
 12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12
 13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13
 14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남아시아 사회와 문화』
-인도와 중국과의 관계-
【 목 차 】
Ⅰ. 서론
- 양국 관계의 정세 및 양국 관계의 중요성
Ⅱ. 본론
1. 정치, 외교적 측면
⑴ 국내안정과 반서방정책의 추구
⑵ 인도와 중국의 국경분쟁
⑶ 새로운 상호협력 합의
⑷ 인접지역 국가에 대한 영향력 확대 경쟁
2. 군사 안보적 측면
- 군사 우위 확보를 위한 핵경쟁
3. 경제적 측면
⑴ 유사한 경제기반에 따른 무역경쟁
⑵ 인도와 중국의 경제 성장 비교
⑶ IT산업 시장 경쟁
⑷ 자동차 산업 시장 경쟁
Ⅲ. 결론
-두 가지 측면에서 보는 양국관계 및 양국관계의 향후 전망
『서론』
인도와 중국은 인구대국, 핵무기 보유, 최근의 경제 성장 등 여러모로 닮았다. 그렇다면 두 국가가 서로를 바라보는 시각은 어떨까?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두 나라 사이에는 우호관계와 경쟁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다는 것이다.
인도와 중국은 1962년 국경분쟁 이후 영토 소유권을 둘러싸고 소원한 관계를 지속하였다. 그러나 양국은 1976년에 들어 대사급 관계를 재개한 후 관계 증진을 꾀하고 있다. 특히 냉전이 종식되면서 양국 관계가 일층 호전되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중국 정부나 관료들의 공식 발표만 보면 양국 관계는 ‘공동의 이익, 보완적 무역 관계, 이웃 국가간 건전한 경쟁’ 등 우호적인 말로 가득하다. 1992년 12월에는 리펑 총리가 중국 수상으로서는 31년 만에 인도를 방문, 국경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주 내용으로 하는 공동 성명을 채택하였다. 이같이 양국은 국경문제 해결 방안 모색 등 긴장관계 완화에 노력하는 한편, 군인사 교류 등 양국간 우호관계 중진을 위한 관계개선과 교류를 강화하고 있어 외면적 신뢰관계가 증진되고 있다.
이러한 인도·중국 관계의 개선은 탈냉전 이후의 신 국제 질서 수립을 둘러싼 강대국들의 이해관계와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탈냉전 이후 러시아는 유일 초강대국의 역할을 자임하고 있는 미국에 대항하기 위하여 인도와의 연합전선을 꾀하고 있다. 프리마코프 전 러시아 총리는 1998년 12월 뉴델리를 방문해 처음으로 러시아, 인도, 중국 3국간의 ‘전략적 삼각지대’를 제한했다. 이에 따라 인도와 러시아는 1999년 11월 포괄적 방위협정을 체결했다. 인도, 중국, 러시아의 3국 결속이 형성되면 세계 인구의 40%에 달하는 약 25억의 인구와 3국이 보유하고 있는 핵무기가 결합되어 일거에 미국을 견제할 만한 세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미국을 견제하기 위한 3국 전략관계의 구도 속에서 국경 분쟁 문제로 다소 고리가 약했던 이도와 중국 사이도 개선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도-중국 양국 관계는 1970년대 후반의 긴장 완화를 통해서, 나아가 탈냉전기의 국제정세 속에서 상당히 진전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양국 관계가 표면상 긴밀화되고 있지만 이러한 우호관계가 지속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생긴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반 분야에서의 관계 증진으로 인해 양국간 경쟁 국면이 종식되고 모든 장애물이 극복된 것이라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과 인도는 서로를 원자재와 외국자본, 수출 시장을 놓고 경쟁을 벌일 ‘잠재적 라이벌’로 본다. 게다가 과거 60년 대 중국과 인도는 이미 국경 분쟁을 치른 바 있다. 즉, 양국간 정치, 외교적 측면에서 관계 증진은 지속되고 있지만, 인접 지역 내 영향력, 군사, 안보적인 측면과 경제 부문에서 아시아 양 대국 간에는 상당한 긴장과 경쟁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본론』
1. 정치, 외교적 측면
⑴ 국내안정과 반서방정책의 추구
인도는 중국에서 공산정권이 수립된 후 비공산국가 중에서는 미얀마에 이어 최초로 중국공산당 정부를 공식적으로 승인하였다. 1949년 중국에서 국민당 정부가 물러나고 공산당 정권이 들어서자 네루는 의회연설에서 중국의 국가 승인에 대한 견해를 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