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AND 간행물명 :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135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CCGIS를 이용한 전남지방 산림의 기후변화 취약성평가
유한춘 ( Han Choon You ) , 박화식 ( Hwa Sik Park ) , 위안진 ( An Jin Wi ) , 오찬진 ( Chan Jin Oh ) , 유석봉 ( Seok Bong Yo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64(총1페이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해수면 상승과 이상기후 발생 등 범지구적으로 광범위하게 피해가 나타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전남지방의 산림분야에 대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고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비코자 수행하였다. 취약성 평가는 대용변수로 선정된 기후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을 기본요소로 하여 각 요소별 가중치를 설정하여, 취약성 = α × 기후노출 + β × 민감도 - γ × 적응능력 (α, β, γ는 가중치)식으로 산출하였다. 미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후노출은 A1B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2020년대, 2050년대, 2100년대의 기후요소를 고려하여 평가하였으며 산림분야에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취약성을 분석하였다. 취약성의 기여도 분석결과 기후노출 변수 중에서는 강수량, 일 최대강수량, 6∼8월의 강수량, 일 강수량이 8...
산불 이후 고성 지역 잣나무 인공조림지의 물 요구량 추정 연구
박찬우 ( Chan Woo Park ) , 김용석 ( Yong Suk Kim ) , 구남인 ( Na Min Koo ) , 임주훈 ( Joo Hoon L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66(총1페이지)
본 연구는 간단히 획득가능한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고성 지역에 산불 이후 조림된 잣나무 조림지에서의 물 요구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1년 12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1년 동안의 대기온도, 대기습도, 일사량, 이슬점, 풍속 자료를 수집하고, FAO Penman-Monteith 식을 이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작물계수를 적용하여 잣나무 조림지의 물 요구량을 추정하였으며, 강수량과의 비교를 통하여 물 수지를 추정하였다. 잣나무 조림지의 물 요구량은 2.04 mm day-1로 나타났으며, 계절에 따라 0.74 mm day-1부터 3.34 mm day-1까지의 범위를 보였다. 연간 총 물 요구량은 747.5 mm year-1로 산출되었다. 월별로는 4월부터 7월까지의 물 요구량이 8월부터 3월까지의 물 ...
간의 인공적인 빛 노출이 백합나무의 광합성과 잎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곽명자 ( Myeong Ja Kwak ) , 우수영 ( Su Young Woo ) , 이성한 ( Seong Han Lee ) , 제선미 ( Sun Mi Je ) , 유하나 ( Ha Na You ) , 이태윤 ( Tae Yoon Lee ) , 이경은 ( Kyoung Eun Lee ) , ( Inkyin Khain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66(총1페이지)
본 연구는 야간조명이 백합나무의 광합성, 엽록소 축적, 잎의 초미세구조 및 광합성 생체리듬 패턴의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실험은 대조구(0lx)를 위해 13h/11h(낮/밤)의 광주기와 야간의 인공빛 처리구(10lx, 25lx, 50lx, 100lx, 200lx)를 위해 가로등의 일반적인 타입인 고압나트륨 램프를 이용하여 13h/11h(자연광/인공광)의 광주기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광합성 생체리듬 패턴에 대한 야간의 인공빛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24시간 동안 6시간 마다 측정했다. 백합나무는 0lx 10lx, 25lx에서 광합성이 높게 나타났고, 50lx, 100lx, 200lx에서 낮게 나타났다. 24시간 동안 6시간 주기로 광합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를 포함하여 10lx와 25lx 처리구의 백합...
야간의 인공적인 빛 노출이 소나무의 광합성과 잎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곽명자 ( Myeong Ja Kwak ) , 우수영 ( Su Young Woo ) , 이성한 ( Seong Han Lee ) , 제선미 ( Sun Mi Je ) , 유하나 ( Ha Na You ) , 이태윤 ( Tae Yoon Lee ) , 이경은 ( Kyoung Eun Lee ) , ( Inkyin Khain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67(총1페이지)
야간의 인공조명에 의해 발생하는 빛공해에 의한 수목의 생리적인 반응과 잎 미세구조의 통합된 이해는 생태계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원인 구명을 위해서 중요하다. 이들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서, 야간조명이 소나무의 광합성, 엽록소 형광, 잎의 미세구조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실험은 대조구(0lx)를 위해 13h/11h(낮/밤)의 광주기와 야간의 인공빛 처리구(10lx, 25lx, 50lx, 100lx, 200lx)를 위해 가로등의 일반적인 타입인 고압나트륨램프를 이용하여 13h/11h(자연광/인공광)의 광주기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처리구별로 낮동안의 광합성률은 대조구와 야간의 인공빛 처리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야간의 인공빛이 광합성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새벽 2시에 광합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를 포함하여 인공빛 처리...
도심지내 생육환경 차이에 따른 가로수의 생리 및 생화학적 반응
유하나 ( Ha Na You ) , 우수영 ( Su Young Woo ) , 이성한 ( Seong Han Lee ) , 제선미 ( Sun Mi Jea ) , 곽명자 ( Myeong Ja Kwak ) , 이경은 ( Kyoung Eun Lee ) , 이태윤 ( Tae Yoon Lee ) , 조재형 ( Jae Hyung Jo ) , 박찬열 ( Chan Ryul Park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68(총1페이지)
도시의 복합적인 환경오염은 가로수에 있어서 여러 가지 생리적 장해를 유발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대표적 가로수종인 양버즘나무(Platanus occidentalis)와 은행나무(Ginkgo biloba)를 대상으로 도심지 내 생육환경 차이에 따른 수목의 생리적 반응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지는 도시 내 교통량 및 토양 환경 등을 고려하여 가로수 생육이 불량할 것으로 생각되는 곳과 양호할 것으로 생각되는 곳을 선택하였고, 수목 조사는 6월과 10월에 실시하였다. 양버즘나무와 은행나무모두 환경이 상대적으로 불량한 지역에서 총 엽록소, 카로테노이드 그리고 아스크로빈 산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특히 은행나무는 6월과 10월 모두 생육환경 차이에 따른 세 변수들의 유의적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양버즘나무는 6월에 비해 1...
새만금 단벌기 목재에너지림 식재 포플러 묘목의 생육특성 및 바이오매스 생산량
우수영 ( Su Young Woo ) , 이성한 ( Seong Han Lee ) , 제선미 ( Sun Mi Je ) , 곽명자 ( Myung Ja Kwak ) , 유하나 ( Ha Na You ) , 여진기 ( Jin Kie Yeo ) , 전병환 ( Byoung Hwan Cheo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69(총1페이지)
본 연구는 새만금 간척지 배후도시용 유보용지를 이용하여 2012년에 조성된 포플러 단벌기 바이오매스 생산림을 대상으로 식재 시 대절처리에 따른 묘목의 생육특성과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재 2년차 목재에너지림 포플러 묘목의 총 수고와 직경은 무대절처리구(347.8cm/19.5mm)와 1m 대절 처리구(324.5cm/18mm)에서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지제부 대절처리구(259.8cm/15.1mm)에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식재 이후 2년간 순수고생장량에 있어서는 1m 대절 처리구가 241.4cm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무대절 처리구(212.7cm) 및 지제부대절 처리구(181.6cm) 순으로 나타났다. 2년 동안의 지상부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추산한 결과, 무대절 처리구(약 4.3ton/ha)...
사막화 방지를 위해 Populus sibirica를 이용한 재조림의 효율성에 미치는 식재간격과 관수주기의 영향
이태윤 ( Tae Yoon Lee ) , 우수영 ( Su Young Woo ) , 강호덕 ( Ho Duck Kang ) , 이성한 ( Seong Han Lee ) , 제선미 ( Sun Mi Je ) , 곽명자 ( Myeong Ja Kwak ) , 유하나 ( Ha Na You ) , 이경은 ( Kyoung Eun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70(총1페이지)
Populus sibirica를 이용한 재조림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사막화가 확실히 진행 중인 몽골의 엘산타사라이에서 관수주기와 식재 간격에 따른 포플러나무의 생장 및 생리반응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 관수주기(1회/7일, 1회/5일, 1회/2일)와 식재 간격(9m2에 1.5m×1.5m 간격으로 9본 식재, 36m2에 3m×3m 간격으로 9본 식재)을 다르게 하여 수행하였으며 생존율, 근원경, 수고, 엽록소 함량, 기공밀도를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식재 간격과 관수주기에 따른 차이가 미비하였다. 수고는 1.5m간격에서 5일마다 관수했을 때 높게 나타났다. 근원경은 관수주기에 상관없이 1.5m간격에서 컸다. 엽록소 a는 관수주기가 길어질수록 높았고, 엽록소 b와 총엽록소 함량은 관수주기가 짧...
몽골에서 식재간격과 관수주기가 Salix rorida에 미치는 영향
이태윤 ( Tae Yoon Lee ) , 우수영 ( Su Young Woo ) , 이성한 ( Seong Han Lee ) , 제선미 ( Sun Mi Je ) , 곽명자 ( Myeong Ja Kwak ) , 유하나 ( Ha Na You ) , 이경은 ( Kyoung Eun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71(총1페이지)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사막화를 막기 위한 여러 연구들과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재조림은 사막화를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버드나무( Salix rorida)를 이용한 재조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막화가 명백하게 진행된 몽골의 엘산타사라이에서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관수주기와 식재 간격을 다르게 하여 버드나무의 적응성을 연구하였다. 관수주기(1회/7일, 1회/5일, 1회/2일)와 식재 간격(9m2에 1.5m×1.5m 간격으로 9본 식재, 36m2에 3m×3m 간격으로 9본 식재)을 다르게 하였고 생존율, 수고, 엽록소 함량, 근원경, 기공밀도를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1.5m 간격에서 5일마다 관수했을 때 100%로 가장 높았으며 3m 간격에 5일마다 관수했을 때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고와 근원경은 식재간격과 관수주기에 따...
몽골에서 Ulmus pumila의 활착에 미치는 식재 간격과 관수 주기의 영향
이태윤 ( Tae Yoon Lee ) , 우수영 ( Su Young Woo ) , 이성한 ( Seong Han Lee ) , 제선미 ( Sun Mi Je ) , 곽명자 ( Myeong Ja Kwak ) , 유하나 ( Ha Na You ) , 이경은 ( Kyoung Eun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72(총1페이지)
본 연구는 사막화 방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재조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비술나무(Ulmus pumila)의 최적 식재간격 및 관수주기를 알아보고자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몽골의 엘센타사라이에서 진행되었다. 실험은 관수주기(1회/7일, 1회/5일, 1회/2일)와 식재 간격(9m2에 1.5m×1.5m 간격으로 9본 식재, 36m2에 3m×3m 간격으로 9본 식재)을 다르게 하여 수행하였으며 생존율, 근원경, 수고, 엽록소 함량, 기공밀도를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1.5m간격에서 5일마다 관수했을 때 가장 높았다. 비술나무의 수고는 1.5m 간격에서 5일마다 관수했을 때 다른 처리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원경의 생장은 식재 간격과 관수 주기에 따른 처리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엽록소 a는 식재간격 ...
KFS-P45 : Social supports of current forest management to Local people in Myanmar
( Inkyin Khaine ) , ( Su Young Woo ) , ( Seong Han Lee ) , ( Myeong Ja Kwak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73(총1페이지)
본 연구는 사막화 방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재조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비술나무(Ulmus pumila)의 최적 식재간격 및 관수주기를 알아보고자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몽골의 엘센타사라이에서 진행되었다. 실험은 관수주기(1회/7일, 1회/5일, 1회/2일)와 식재 간격(9m2에 1.5m×1.5m 간격으로 9본 식재, 36m2에 3m×3m 간격으로 9본 식재)을 다르게 하여 수행하였으며 생존율, 근원경, 수고, 엽록소 함량, 기공밀도를 조사하였다. 생존율은 1.5m간격에서 5일마다 관수했을 때 가장 높았다. 비술나무의 수고는 1.5m 간격에서 5일마다 관수했을 때 다른 처리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원경의 생장은 식재 간격과 관수 주기에 따른 처리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엽록소 a는 식재간격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