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AND 간행물명 :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135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시비방법에 따른 편백의 이산화탄소 배출권 가치분석
송문서 ( Moon Sea Song ) , 김현준 ( Hyun Jun Kim ) , 이상현 ( Sang Hyun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189(총1페이지)
글로벌 탄소시장에서 큰 변화를 겪으면서 급락했던 탄소배출권 가격은 2012년 이후 전 세계적인 경제적 안정과 중국의 탄소시장 합류로 인해 점차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세계적인 탄소시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편백의 시비방법별 탄소배출권 가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시험포지는 전북 김제시에 위치해 있으며 처리구는 대조구를 비롯하여 총 1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3반복 실험을 하였다. 각 시험구별로 5본씩 총 165본을 식재하였다. 시비방법에 따른 탄소배출권 가치를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탄소배출권 가치를 보이는 처리구는 고농도액비-100 처리구(49.13 euro/ha), 저농도액비-100 처리구(44.48 euro/ha), 그리고 퇴비-100 처리구(41.91 euro/ha)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화학비료처리구의...
전국 산불 통계와 지역별 기상인자를 활용한 지역별 산불 조심기간 구축
채희문 ( Hee Mun Chae ) , 조융희 ( Yung Hee Cho ) , 권오경 ( O Gyung Gwon ) , 우남규 ( Nam Gyu Woo ) , 윤효식 ( Hyo Sic Yoo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134(총1페이지)
우리나라의 산불조심기간은 매년 봄철 및 가을철에 전국적으로 동시에 공표하고 있다, 지역적으로 산불의 발생현황은 상대적으로 차이가 나고 있으며, 이들은 지역의 기상학적 특징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13년까지 산림청의 지역별 산불 발생현황 자료와 기상청의 지역별 기상인자와의 관계 분석을 통하여 지역별 기상인자와 산불 발생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역별 산불 발생 상황을 분석하여 지역별 산불 발생원인 및 특징을 파악하여 지역특성에 알맞은 산불 방지 대책을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990년부터 2013년 까지 산불발생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상북도지역 이였으며, 지역별 산불 발생 시기는 북부지방에 위치한 강원도지역과 남부지방에 위치한 경상북도 지역은 4월에 가장 많은 산불이 발생 했다. 산불 발생과 기...
임지 내 고사한 산림연료의 수분함량과 기상인자와의 관계 분석
채희문 ( Hee Mun Chae ) , 조융희 ( Yung Hee Cho ) , 김준성 ( Jun Sung Kim ) , 서주원 ( Ju Won Seo ) , 한재문 ( Jae Moon Ha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135(총1페이지)
임지 내 고사한 산림연료의 수분함량은 산불의 확산 및 발생에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 임지 내 기상인자의 변화는 고사한 산림연료의 수분함량을 결정하는 요인들 중 중요하게 작용한다. 본연구는 기상인자가 고사한 산림연료의 수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산불 예보시스템의 산불기후지수에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임지 내 기상인자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봄철 및 가을 산불 조심기간동안 소형기상기록장치(HOBO data logger)를 임지 내에 설치하여 매일 1시간간격으로 온도, 상대습도, 조도, 토양온도를 측정하였다. 고사한 산림연료의 수분 함량은 봄철 및 가을철산불 조심기간동안 수목 5종(소나무, 잣나무, 밤나무, 떡갈나무, 벚나무)의 낙엽을 채취하여 건조중량을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임지에서 측정된 기상인자와 고사한 잎의 건조 중량간의 상관관계를 ...
대형산불피해지역의 피해강도에 따른 연소효율 평가 -2013년 울주, 포항, 봉화-
김유승 ( You Seung Kim ) , 원명수 ( Myoung Soo Won ) , 김경하 ( Kyung Ha Kim ) , 최창은 ( Chang Eun Choi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136(총1페이지)
본 연구는 산불피해지내 피해강도(수관전소, 수관열해, 피해중, 피해경, 미피해지)에 따른 연소효율을 분석하였다. 지역은 2013년 대형 산불발생지 울주, 포항, 봉화를 대상으로 각 조사지에서 31개 지점을 정하여 1×1m의 방형구로 관목 시료를 채집하였으며 낙엽, 낙지, 가지는 50×50㎝의 방형구로 채집하였다. 채집된 시료는 실험실에서 85℃의 건조기로 항량까지 건조시킨 후 각 부위별 연소량을 측정하였다. 연소효율은 1-(피해강도별 남아있는 연소물량/미피해의 연료량)으로 계산하였다. 세 지역의 결과에서, 울주지역의 연소량은 미피해 80.20(g), 수관전소 59.74(g), 수관열해 67.42(g), 피해중 68.56(g),피해경 63.57(g)으로 나왔으며, 연소효율은 수관전소 0.58 수관열해 0.44 피해중 0.41 피해경 0....
온습도가 회양목명나방의 고치기간과 우화기간에 미치는 영향
길현국 ( Hyun Kook Gil ) , 구창덕 ( Chang Duk Ko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137(총1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온도, 습도처리가 회양목명나방의 용기간, 우화율, 우화최성기와 용기간의 적산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고자 하는 것이다. 용기간은 온도 25℃,상대습도 90± 5%에서 8일, 20℃, 70± 5%에서 15.6일, 25℃, 70± 5%에서 10일로 습도가 높고 온도가 높을수록 용기간이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화율은 온도 25℃, 상대습도 60± 5%와 25℃,70± 5%에서 100%로 나타났고, 온도 25℃,상대습도 90%± 5에서 77.3%로 나타나 특정 온도에서 우화율이 높은 값을 나타내고 습도는 90% 이상일수록 우화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우화최성기는 20℃,70± 5%에서 5월 28일, 25℃,70± 5%에서 5월 21~22일, 30℃,70± 5%에서 5월 21일, 25℃,6...
야생 버섯시장의 유통구조와 가격 변동 추이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박용우 ( Yong Woo Park ) , 이희수 ( Hee Su Lee ) , 이화용 ( Hwa Yong Lee ) , 구창덕 ( Chang Duk Ko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138(총1페이지)
본 연구는 충북지역의 야생 버섯에 대한 유통구조와 버섯 발생시기에 따른 가격 변동 추이를 알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충북지역에서 야생 버섯은 청주 육거리시장, 청천 푸른내시장, 문경재래시장, 제천 청풍 재래시장등을 통하여 유통되고 있었으며 청천 푸른내시장이 규모가 가장 컸다. 야생버섯의 유통구조는 채집자에게 상인이 직접구매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시스템이다. 판매되는 야생버섯의 종류나 생산량은 그 해의 기온이나 강수량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9월 중순부터 11월 초까지 판매된다. 야생버섯의 가격은 종류별로 다르며 송이나 능이를 제외하고 1kg에 약10,000원 ~ 40,000원까지의 가격이 형성되고 이 시기에 생 표고버섯의 생산지 가격은 1kg에 약10,000원 ~ 12,000원이였다. 야생버섯의 판매가 마감되는 시기는 다색벚꽃버섯(Hygrop...
중북부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에서 세근과 낙엽,낙지 동태 연구
박병배 ( Byung Bae Park ) , 안지영 ( Ji Young An ) , 성주한 ( Joo Han Sung ) , 한시호 ( Si Ho Han ) , 백민현 ( Min Hyun Baek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139(총1페이지)
낙엽·낙지와 더불어 세근은 온대산림의 탄소와 양분 순환에서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낙엽·낙지 생산량과 잔뿌리 생산성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광릉장기생태연구지의 5개 활엽수림과 4개 침엽수림에서 수행되었다. 낙엽망과 Ingrowth cores 방법으로 2년 동안 낙엽·낙지량, 잔뿌리 바이오메스, 잔뿌리(직경 2mm 이하) 생산성을 예측하였다. 잔뿌리 턴오버는 활엽수에 비해 침엽수에서 약간 높았으며 잔뿌리 생산성은 2년차에서 138~490 g m-2으로 조사되었다. 낙엽량(340~597 g m-2)은 잔뿌리 생산성보다 높았고 변이가 적었다. 잔뿌리 생산성은 지상부 낙엽량이나 변재 생산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이 연구에서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라산 주요 사면별 구상나무 생육 및 쇠퇴 현황
박홍철 ( Hong Chul Park ) , 이호영 ( Ho Young Lee ) , 오충현 ( Choong Hyeon Oh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140(총1페이지)
본 연구는 한라산에 분포하고 있는 구상나무림의 사면별 생육상태를 확인하여, 향후 구상나무의 쇠퇴원인 규명 및 장기생태모니터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 수집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주요 사면별 해발고에 따른 구상나무 생육 및 경쟁 현황을 정성적으로 조사하였다. 2차적으로 구상나무의 쇠퇴가 뚜렷한 것으로 판단되는 지역을 선정하여 구상나무 고사율(%)과 상대우점치(Importance Percentage)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사면별로 1,300-1,400m 사이에서 구상나무가 처음 출현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태풍의 영향과 바닷바람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역 및 미지형에 따라 구상나무의 고사율 및 생육 상태가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바람 및 수분과 구상나무 생육에 관한 연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구상나무림 내부...
지리산 가문비나무 임분의 식생유형 분류
한상학 , 윤충원 ( Chung Weon Yun ) , 한심희 , 신학섭 ( Hak Sub Shin ) , 김혜진 ( Hye Jin Kim ) , 송주현 , 이하영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141(총1페이지)
본 연구는 지리산 가문비나무 임분의 산림식생유형분류를 위하여 지리산 가문비나무 자생지 일대 61개소의 산림식생조사 자료를 토대로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식생구조의 유형분류를 실시한 결과, 6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군락단위에서 가문비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가문비나무군락은 군단위에서 돌양지꽃군과 나도옥잠화군, 부게꽃나무군, 가문비나무전형군으로 세분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은 노각나무군, 신갈나무전형군으로 세분되었다. 평균상대우점치의 분석결과 가문비나무(27.58), 구상나무(16.32), 신갈나무(9.84), 잣나무(7.62), 사스래나무(7.56), 당단풍(5.07), 마가목(4.88), 철쭉(4.63), 시닥나무(4.37)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고산 침엽수종인 구상나무, 잣나무가 다소 높았으며, 활엽수종 중에서는 신갈나무가 가장...
경상북도 공,사유림 내 산림습원의 식생구조와 분포
송주현 ( Ju Hyeon Song ) , 윤충원 ( Chung Weon Yun ) , 박광우 ( Gwang Woo Park ) , 정재민 ( Jae Min Jung ) , 한상학 ( Sang Hak Han ) , 이하영 ( Ha Young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142(총1페이지)
본 연구는 경상북도 안동시, 영주시, 봉화군, 청송군 네 지역의 공·사유림 내 산림습원의 식생구조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보존가치가 있는 산림습원의 발굴 및 보전, 향후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완충구역은 습지의 종류, 지형 등을 고려하여 핵심지역 경계로부터 20~50m로 설정하였다. 판별된 습지는 산림습지조사메뉴얼에 의거하여 식생조사를 위한 방형구 면적 설정을 실시하였다. 출현하는 식생은 기본 현황과 더불어 식물사회학적 조사방법에 의거, 우점도와 군도를 중심으로 산림청의 야장 양식에 따라 기록하였으며 현존식생도 및 투영도와 단면도를 작성하였다. 지역별 산림습원 조사구로는 안동시가 43%로 가장 많았으며 봉화군이 30%, 청송군이 22%로 그 뒤를 따랐고, 군락유형으로는 버드나무 군락이 68.2%로 가장 높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