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일본어교육학회146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 , 일 양국의 경어동사 (敬語動詞) 비교 - 형태를 중심으로 -
이하자  한국일본어교육학회, 일본어교육 [1995] 제11권 115~139페이지(총25페이지)
수수동사의 (授受動詞) 문형지도 (文型指導)
한일민  한국일본어교육학회, 일본어교육 [1995] 제11권 141~161페이지(총21페이지)
한 , 일 한자어 비교 고찰
유창석  한국일본어교육학회, 일본어교육 [1995] 제11권 163~188페이지(총26페이지)
개천용지개의 (芥川龍之介) 만년 작품 연구 - 유소년기 환경과 죽음에 대한 고찰 -
정부용  한국일본어교육학회, 일본어교육 [1995] 제11권 189~213페이지(총25페이지)
방장기에 (方丈記) 있어서 5대 재해기사와 당시사료의 (當時史料) 관계 고찰
조기호  한국일본어교육학회, 일본어교육 [1995] 제11권 215~231페이지(총17페이지)
카사이 젠조오 ( 갈서선장 (葛西善藏) ) 소고 (小考) - 작품에 나타난 < 가 (家)> 에 대한 의식을 중심으로 -
명성룡  한국일본어교육학회, 일본어교육 [1995] 제11권 233~249페이지(총17페이지)
일본어 발음의 (撥音) 발음 (發音) 지도방법 고찰
최진권 , 양원석  한국일본어교육학회, 일본어교육 [1994] 제10권 5~24페이지(총20페이지)
일본어학습자の 한자인지도の 조사
최용혁  한국일본어교육학회, 일본어교육 [1994] 제10권 25~46페이지(총22페이지)
韓國語와 日本語는 文法的으로 또는 語彙的으로 아주 유사한 言語라 할 수 있다. 이런 점들 때문에 日本語는 學習하기 용이한 言語로 인식되고 있고, 學習者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日本語 學習者의 대부분이 日本語 學習을 하면서 어렵다고 느끼는 부분 중의 하나가 일본 漢字라 할 수 있겠다. 그것은 日本語 學習者의 대부분이 한글 세대로써 漢字를 읽고 쓰는 能力이 아주 부족하다. 韓國 漢字와 日本 漢字, 특히 그 漢字들로 구성된 漢字語은 意味的인 면에서 일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漢字를 알고 있다는 그 자체만으로 日本語 學習에 큰 도움이 된다. 이제껏 韓國은 漢字文化圈에 속하는 나라이므로 日本語를 學習할 때 아주 유리하다고 인식되어 왔고, 그 때문에 日本語 敎育에 있어서도 漢字문제를 소홀히 다루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의 한글 세대는 漢字에 아주 ...
일본어 형용동사의 활용에 관한 고찰 - 한국어와의 비교대조를 통하여 -
권해주  한국일본어교육학회, 일본어교육 [1994] 제10권 47~81페이지(총35페이지)
韓國語와 日本語는 文法的으로 또는 語彙的으로 아주 유사한 言語라 할 수 있다. 이런 점들 때문에 日本語는 學習하기 용이한 言語로 인식되고 있고, 學習者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日本語 學習者의 대부분이 日本語 學習을 하면서 어렵다고 느끼는 부분 중의 하나가 일본 漢字라 할 수 있겠다. 그것은 日本語 學習者의 대부분이 한글 세대로써 漢字를 읽고 쓰는 能力이 아주 부족하다. 韓國 漢字와 日本 漢字, 특히 그 漢字들로 구성된 漢字語은 意味的인 면에서 일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漢字를 알고 있다는 그 자체만으로 日本語 學習에 큰 도움이 된다. 이제껏 韓國은 漢字文化圈에 속하는 나라이므로 日本語를 學習할 때 아주 유리하다고 인식되어 왔고, 그 때문에 日本語 敎育에 있어서도 漢字문제를 소홀히 다루어 왔다. 그러나, 오늘날의 한글 세대는 漢字에 아주 ...
「 よく 」に ついての 일고찰
중도징자 (中島澄子)  한국일본어교육학회, 일본어교육 [1994] 제10권 83~93페이지(총11페이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일본어 학습자들에게서 「よく過ごす, よく通う, よくもらう, よく住む」 등과 같이, 「よく」의 쓰임이 부자연스러운 경우를 볼 수 있다. 따라서 本槁에서는 「よく」와 共起할 수 있는 動詞에는 어떤 성질을 갖고 있는가를 살펴 보아, 「よく」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일본어 교수 및 학습 방법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먼저 本稿에서는,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한 자료에서 「よく」共起한 動詞의 용례를 모아 自動詞, 他動詞, 瞬間動詞, 繼續動詞로 나누어 조사해 보았지만 특히 눈에 뛸만한 특징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よく」의 의미를 살펴 본 결과, 그 語源인 形容詞 「よく」의 의미를 강하게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よく」가 갖고 있는 의미 특성으로 인하여 서로 共起할 수 없는 動詞가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本槁...
 141  142  143  144  145  146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