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화학공학회1779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다성분계 (多成分系 ) 증유에 관한 연구
남궁식 , 박승빈 , 양현수  한국화학공학회, 한국화학공학회 가을총회초록집 [1976] 제1976권 15(총1페이지)
산학협동 심포지움 초록 : 화학공학의 열관리 - 화학공장의 열경제 -
이형규  한국화학공학회, 한국화학공학회 가을총회초록집 [1976] 제1976권 16(총1페이지)
총설 ( Review ) : 화학 및 야금공정에서 유고체간에 일어나는 비촉매적 반응의 속도론 : 1 . 단일비공질고체의 반응
손홍용 ( H . Y . Sohn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1976] 제14권 제1호, 3~15페이지(총13페이지)
이 總說의 目的은 流體와 固體間의 非觸媒的 反應速度論을 檢村함에 있다. 數年前까지만 하여도 工業的으로 매우 重要한 이런 種類의 反應에 對한 理論은 未開拓된 狀態에 있었던바 지난 몇年사이에 여러面으로 이 分野에 注視할만한 進展이 있었다. 이 總說의 第一部에서는 單一非孔質固體의 反應을 要約하고 第二部에서는 單一多孔質固體의 反應을 檢討하려고 한다. 그리고 氣體를 媒介로 하여 일어나는 두固體間의 反應이 第三部에 記述되겠으며 끝으로 工業的으로 重要한 多粉體 系의 工程을 第四部에서 取扱하고자한다.
총설 ( Review ) : 상호침투하는 고분자구조
김성철 ( Sung Chul Kim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1976] 제14권 제1호, 17~24페이지(총8페이지)
이 總說의 目的은 流體와 固體間의 非觸媒的 反應速度論을 檢村함에 있다. 數年前까지만 하여도 工業的으로 매우 重要한 이런 種類의 反應에 對한 理論은 未開拓된 狀態에 있었던바 지난 몇年사이에 여러面으로 이 分野에 注視할만한 進展이 있었다. 이 總說의 第一部에서는 單一非孔質固體의 反應을 要約하고 第二部에서는 單一多孔質固體의 反應을 檢討하려고 한다. 그리고 氣體를 媒介로 하여 일어나는 두固體間의 反應이 第三部에 記述되겠으며 끝으로 工業的으로 重要한 多粉體 系의 工程을 第四部에서 取扱하고자한다.
CuHY 및 CuNaY 형 Zeolites 의 일산화탄소 흡착특성
남인식 , 하백현 ( In Sik Nam , Baik Hyon Ha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1976] 제14권 제1호, 25~30페이지(총6페이지)
銅이온의 含量을 달리하는 CuHY 및 CuNaY 에 대한 一酸化炭素의 吸着等溫線을 0℃에서 얻었다. NaY와 HY에 대한 일산화탄소의 吸着은 저압에서 "헨리"의식을 따랐으나 NanY에서는 나트륨이온, HY에서는 양성자가 銅이온으로 交換됨에 따라 吸着特性은 銅이온교환이 낮은 범위에서 "후로인드리히"식을 따르도록 변화된다. 鎬이온교환이 증가하면 "후로인드리히"도표는 경사가 다른 둘 또는 세 개의 직선 部分을 나타낸다. 不均一表面吸着에 대한 "크레머"의 설명방법과 "후로인드리히"식에 따라 이러한 等溫線을 解析하면 銅이온 交換정도가 클때는 HY에 대하여서는 큰空洞內에 까지도 銅이온이 交換될수있으나 NaY는 이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소다라이트" 구조내의 銅이온은 CuNaY 및 CuHY에서 큰空洞내에 吸着된 一酸化炭素에 영향을 주며 이영향은 CuNaY보...
CuHY 및 CuNaY 형 Zeolite 촉매에 의한 일산화 탄소의 산화
남인식 , 하백현 ( In Sik Nam , Baik Hyon Ha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1976] 제14권 제1호, 31~35페이지(총5페이지)
화우자싸이트형 제오라이트, CuHY와 CuNaY에 대한 일산화탄소의 촉매산화활성을 제오라이트내의 2價銅 이온의 양을 변화시키며 구했다. CuHY에 대하여서는 銅이온 42% 교환점에서 현저한 酸化活性의 증가가 있었으나 CuNaY에는 그러한 現象이 없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는 온도가 350℃ 정도 상승했을 때 같은 정도의 교환점에서 산화활성의 최소점이 있었다. 二價銅이온이 42%이하이고 온도가 270℃ 보다 낮은 범위에서는 CuHY와 CuNaY의 활성화에너지가 각각 6 및 20㎉/mole이었다. 그러나 銅이온의 교환이 42%를 넘어서면 활성화에너지의 이러한 현저한 차이는 없어지고 12㎉/mole가 되었다. 이는 銅이온만의 효과때문으로 생각된다. 270℃보다 반응온도가 크면 CuHY에 대하여는 전화율이 1에 가까워져 활성화 에너지의 測定이 불...
커피추출액의 냉동건조
최웅 , 강헌식 ( Ung Choi , Heon Shig Kang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1976] 제14권 제1호, 37~45페이지(총9페이지)
커피추출액을 시료로 하여 일정한 모델을 설정한 후, 건조속도로부터 유효확산 계수를 구하고, 냉동속도와 시료의 농도 그리고 압력이 건조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lush freezing을 한 시료는 건조할 때 20∼60㎠/sec의 유효확산계수를 나타냈고, 완만냉동을 한 경우는 20∼10㎠/sec, 그리고 급속냉동을 한 경우는 5∼16㎠/sec을 나타냈다. Slush freezing과 완만냉동을 할 때는 주로 bulk diffusion에 의해 건조되고 급속냉동을 할 때는 주로 Knudsen diffusion에 의해 건조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산학협동시리즈 ( Industry & University ) : 산학협동 연수사업 - 공학교육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실험
한태희 ( Tae Hee Hahn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1976] 제14권 제1호, 47~52페이지(총6페이지)
커피추출액을 시료로 하여 일정한 모델을 설정한 후, 건조속도로부터 유효확산 계수를 구하고, 냉동속도와 시료의 농도 그리고 압력이 건조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lush freezing을 한 시료는 건조할 때 20∼60㎠/sec의 유효확산계수를 나타냈고, 완만냉동을 한 경우는 20∼10㎠/sec, 그리고 급속냉동을 한 경우는 5∼16㎠/sec을 나타냈다. Slush freezing과 완만냉동을 할 때는 주로 bulk diffusion에 의해 건조되고 급속냉동을 할 때는 주로 Knudsen diffusion에 의해 건조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STATUTES OF THE ASIAN PACIFIC CONFEDERATION OF CHEMICAL ENGINEERING
학회자료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1976] 제14권 제1호, 59~63페이지(총5페이지)
커피추출액을 시료로 하여 일정한 모델을 설정한 후, 건조속도로부터 유효확산 계수를 구하고, 냉동속도와 시료의 농도 그리고 압력이 건조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lush freezing을 한 시료는 건조할 때 20∼60㎠/sec의 유효확산계수를 나타냈고, 완만냉동을 한 경우는 20∼10㎠/sec, 그리고 급속냉동을 한 경우는 5∼16㎠/sec을 나타냈다. Slush freezing과 완만냉동을 할 때는 주로 bulk diffusion에 의해 건조되고 급속냉동을 할 때는 주로 Knudsen diffusion에 의해 건조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총설 : 화학 및 야금공정에서 유고체간에 일어나는 비촉매적 반응의 속도론 : 2 단일다공질고체의 반응
손홍용 ( H . Y . Sohn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1976] 제14권 제2호, 65~76페이지(총12페이지)
이 總說의 第一部에서 본 바와 같이 非孔質固體의 境遇에는 化學 反應과 diffusion 또는 mass transfer가 連續的으로 일어나 體系的인 處理가 比較的 容易하다. 그러나 固體가 처음부터 多孔性인 境遇에는 化學反應과 pore diffusion이 竝行하여 일어나기 때문에 그 數學的인 處理가 복잡하여 最近까지 이 分野의 理論이 매우 不振되어 있었다. 지난 數年동안에 이러한 反應系의 重要性이 認識됨에 따라 몇몇 硏究그룹으로 부터의 硏究結果가 發表된 바 있다. 이 第二部에서는 이러한 多孔性 固體의 反應速度論을 檢討한다. 다음 두部에서는 氣體를 媒介로 하여 일어나는 두 固體間의 反應과 工業的으로 重要한 多粉體系의 反應을 取扱하고저 한다.
 1701  1702  1703  1704  1705  1706  1707  1708  1709  1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