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어류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류학회지140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거금도와 장흥에 서식하는 한국고유종 남방종개 Iksookimia hugowolfeldi의 미소서식처 특성
박철우 ( Cheol Woo Park ) , 김형수 ( Hyeong Su Kim ) , 김재구 ( Jae Goo Kim ) , 윤승운 ( Seung Woon Yun ) , 김현태 ( Hyun Tae Kim ) , 박종성 ( Jong Sung Park ) , 최웅선 ( Woong Sun Choi ) , 조윤정 ( Yun Jeong Cho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1호, 35~40페이지(총6페이지)
잉어목 미꾸리과에 속하는 한국고유종 남방종개의 하상구조, 유속, 유폭, 하폭 등의 서식처 특성을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거금도와, 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 수문리 지점에서 조사하였다. 거금도 개체군은 유속이 0.1 m/s, 수심 0.8 m 이하의 하상이 모래와 잔자갈로 이루어진 소에서 집단으로 서식하였다. 또한 당년생 치어는 수심이 0.3 m 이하인 모래 하상의 소에 대부분 분포하였다. 장흥 개체군 또한 유속이 0.1 m/s, 수심 0.8 m 이하의 하상이 모래와 잔자갈로 이루어진 소를 선호하였다. 거금도와 장흥의 동소서식종은 각각 4과 7종으로 나타 났으며 집단내에서 남방종개는 우점 및 아우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AG Iksookimia hugowolfeldi, microhabitat, water velocity, water depth, bottom structure
경남 거제 연안에 출현하는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치어의 식성
김현지 ( Hyeon Ji Kim ) , 정재묵 ( Jae Mook Jeong ) , 예상진 ( Sang Jin Ye ) , 백근욱 ( Gun Wook Baeck ) , 허성회 ( Sung Hoi Huh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1호, 41~46페이지(총6페이지)
2011년 6월에서 8월까지 거제 연안에서 RN80으로 채집된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치어 229개체의 소환관 내용물 조성을 조사하였다. 살망둑 치어의 체장은 14~29 mm의 범위를 보였으며, 요각류 (Copepoda)가 가장 우점한 먹이생물이었다. 요각류 다음으로는 만각류 (Cirripedia)의 Cypris 유생이 우점하였으며, 그 외 지각류 (Cladocera), 십각류 (Decapoda) 등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살망둑 치어의 섭식 전략과 섭식패턴을 알아보기 위하여 도해적방법을 이용한 결과, 요각류 중 긴노요각목 (Calanoida)이 출현빈도와 특정먹이 생물우점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살망둑 치어는 긴노요각목을 가장 우점적으로 섭식하는 종...
TAG Feeding habits, Gymnogobius heptacanthus, Geoje, Korea
한국산 자리돔과 (Pomacentridae) 어류 1미기록종, Abudefduf septemfasciatus
권혁준 ( Hyuck Joon Kwun ) , 박진순 ( Jinsoon Park ) , 김혜선 ( Hye Seon Kim ) , 배한나 ( Hanna Bae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1호, 47~51페이지(총5페이지)
2015년 8월, 우리나라 제주도 남부 및 북부 연안 조수웅덩이에서 Abudefduf septemfasciatus 3개체가 처음 채집되었다. 본 종은 가슴지느러미 기점 위, 꼬리자루 위 및 2번째와 4번째 등지느러미 극조 사이에 검은 반점이 있고 등지느러미 전방 비늘은 눈의 중앙을 지나며,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 연조는 12~13개, 측선비늘은 20개이다. 본 종은 줄자돔과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 연조수, 꼬리자루 반점 위치 및 등지느러미 반점 위치에서 차이를 보인다. 본 종의 새로운 국명으로 ``일곱줄자돔``을 제안한다.
TAG 미기록종, 자리돔과, 조수웅덩이, 제주도, First record, Abudefduf septemfasciatus, Pomacentridae, tidal pool, Jeju Island
한국산 긴꼬리흰가오리과 (Plesiobatididae) 어류 1미기록종, Plesiobatis daviesi
김병엽 ( Byeong Yeob Kim ) , 김맹진 ( Maeng Jin Kim ) ,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1호, 52~56페이지(총5페이지)
매가오리목, 긴꼬리흰가오리과 (신칭)에 속하는 Plesiobatis daviesi 1개체 (체반장 700 mm)가 2010년 10월 11일 제주도 동북쪽 연안 (해구번호 110)에서 저인망에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5쌍의 아가미 구멍이 있는 점, 꼬리에 1~3개의 가시가 있는 점, 주둥이가 긴 점, 꼬리지느러미가 긴 점, 그리고 코 끝에 커튼 모양의 주름이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형태적으로 흰가오리와 유사하지만, 흰가오리보다 꼬리지느러미 길이와 주둥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특징을 갖는다. 이 미기록종의 과명과 속명 그리고 종명은 "긴꼬리흰가오리과", "긴꼬리흰가오리속" 그리고 "긴꼬리흰가오리"로 각각 제안한다.
TAG 미기록종, 긴꼬리흰가오리, 제주도, 한국, New record, Plesiobatididae, Plesiobatis daviesi, Korea
한국산 전갱이과 어류 1미기록종, Uraspis uraspis 및 Uraspis helvola의 재기재
여수은 ( Sooeun Yeo ) , 김진구 ( Jin Koo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1호, 57~64페이지(총8페이지)
전갱이과에 속하는 민전갱이 (Uraspis helvola)의 형태적 특징을 상세히 재기재하고, 국내에서 처음으로 채집된 U. uraspis와 비교 분석하였다. 민전갱이와 U. uraspis는 측선의 직선 부위 시작점 위치 (민전갱이: 등지느러미 연조 12번째~13번째, U. uraspis: 등지느러미 연조 15번째~16번째)에서 구분되며, 가슴지느러미에서 흉부 사이 무린역의 연결성 (민전갱이: 무린역이 분리, U. uraspis: 무린역이 연결)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된다. 새롭게 보고되는 U. uraspis의 속명과 국명은 각각 "민전갱이속"과 "흑기민전갱이"로 제안한다.
TAG 미기록종, 재기재, 전갱이과, 한국, Uraspis helvola, Uraspis uraspis, new record, redescription, Carangidae, Korea
한국산 미꾸리과 어류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 망막의 시각세포
김재구 ( Jae Goo Kim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4호, 257~262페이지(총6페이지)
한국고유종인 왕종개의 안구를 관찰하고 망막에 존재하는 시각세포의 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왕종개의 안구는 3.53±0.2 mm의 크기였으며 두장대 안경비율은 14.08±0.7이였다. 시각세포의 수직단면을 확인한 결과 망막은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전체 망막의 두께는 216.42 (±13.36)μm였으며, 시각세포의 핵이 존재하는 바깥핵층의 두께는 13.42 (±2.16)μm였다. 이형 이중원추세포 중 긴 원추세포는 26.42±1.7 μm의 길이였으며 직경은 5.12±0.6 μm로 확인되었다. 짧은 원추세포는 16.82±1.1 μm의 길이였으며 직경은 긴 원추세포와 유사한 5.10±0.31 μm로 확인되었다. 간상세포는 길이 40.13±2.4 μm였으며 직경 3.95±0.4 μm로 확인되었다. 시각세...
TAG Iksookimia longicorpa, retina, visual cells, unequal double cone, rod cell, row mosaic model
국내에 서식하는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성숙에 따른 형태 및 생물학적 특성 변화
홍양기 ( Yang Ki Hong ) , 송미영 ( Mi Young Song ) , 이석은 ( Seok Eun Yi ) , 이완옥 ( Wan Ok Lee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4호, 263~274페이지(총12페이지)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국내에 서식하는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총 182개체를 silvering index에 따라 4개의 단계로 구분하고, 성숙에 따른 형태 및 생물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하천 및 하구에서 채집한 개체군 (34.6%)은 댐 호 (3.8%)에서 채집한 개체군에 비하여 성숙뱀장어의 비율이 높았다. 성비 (♂/♀)는 0.11 (n=182)로 암컷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성숙뱀장어 단계로 진행될수록 전장은 커지고, 체중은 증가하였다. 단계별 계측형질 비교에서 전장에 대한 두장 및 가슴지느러미 길이 백분비, 두장에 대한 가로 및 세로 안경의 백분비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였으나, 전장에 대한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 기점거리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TAG Anguilla japonica, silvering index, pseudo-silver eel
한국고유종 북방종개 Iksookimia pacifica (Pisces: Cobitidae)의 서식지 특성 및 섭식생태
고명훈 ( Myeong Hun Ko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4호, 275~283페이지(총9페이지)
북방종개 Iksookimia pacifica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강원도 고성군 북천에서 서식지 특성 및 섭식생태를 조사하였다. 북방종개는 하천형이 Bb 또는 Bc형이고 유속이 느리고 모래가 쌓인 소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다. 연령별 서식지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하상은 모두 모래를 동일하였으나 수심과 유속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수심은 당년생 (0+) 24.9± 17.61 cm, 1년생 69.6±30.32 cm, 2년생 82.4±33.30 cm, 3년생 이상 90.0±31.55 cm로 급격히 깊어졌으며, 유속은 당년생과 1년생이 3.8~4.0 cm/sec, 2년생과 3년생 이상이 6.0~7.3cm/sec로 약간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3월부터 11월까지 모래위에서 활동하였으나 12월부터 2월까지 모래 속에서 월동하였으며, 주요 활...
TAG Spine loach, Iksookimia pacifica, habitat characteristics, feeding ecology
먹이 종류가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치어의 성장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이해영 ( Hae Young Lee ) , 남명모 ( Myung Mo Na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4호, 293~299페이지(총7페이지)
최초 체중 (IBW) 1.14 g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치어를 1종 실험 사료 (ED)와 5종 국내·외 상품 사료 (CED)로 28일간 사육한 결과 최종 체중 (FBW), 증체율 (WG) 및 사료 효율(FE)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지만, 생존율 및 전어체의 일반성분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돌돔 치어는 사육 실험 후에는 사료 종류에 따라 FBW가 3.1~7.0 g, WG도 168~516%로 실험 구간에 유의적인 성장 차이를 나타내었다. FE는 65~147%이었으며 성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DCCD구와 IOCD구에서 각각 6.5 g과 7.0 g으로 가장 높은 FBW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ILCD구에서는 5.5 g이었고, DECD구와 IHCD구에서 4....
TAG Parrot fish, diet, growth, feed efficiency, body composition, survival
섬진강 수계 요천에 서식하는 한국고유종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 (Siluriformes: Amblycipitidae)의 자연산란장 특징
김형수 ( Hyeong Su Kim ) , 김수환 ( Su Hwan Kim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5] 제27권 제4호, 300~305페이지(총6페이지)
2015년 5~6월에 전라북도 남원시 식정동 섬진강 수계 요천에서 한국고유종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의 자연산란장 11개 지점에 대한 특징을 조사하였다. 자연산란장은 하상기질에 따라 256 mm 이상의 큰돌 (boulder)이 놓여진 상부와 자갈 (pebble)과 모래 (sand)로 이루어진 하부로 구분되었다. 큰돌 아래의 자연산란장은 작은 구멍 안에 난괴 (egg mass)를 형성한 알 덩어리와 섬진자가사리 1개체 (수컷)가 위치하였고 어떠한 저서성 무척추동물이나 유기물이 없는 깨끗한 상태였다. 알은 구형의 노란색으로 투명한 막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알 크기는 3.31±0.15 mm (n=30)로 나타났다. 큰돌 아래 자연산란장에서 확인된 각 알 덩어리는 유사한 발생단계였고 각각은 상...
TAG 섬진자가사리, 자연산란장, 요천, Liobagrus somjinensis, spawning site, Yocheo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