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어류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류학회지140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낙동강 유곡천에 서식하는 수수미꾸리 Kichulchoia multifasciata(Pisces: Cobitidae)의 산란시기와 산란특성
김형수 ( Hyeong Su Kim ) , 양현 ( Hyun Ya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2호, 93~99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2008년 1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경상남도 의령군 유곡면 세간교 일대 유곡천에서 수수미꾸리의 산란시기와 산란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수미꾸리의 연령을 분석한결과 수컷은 1년생 전장 45~55 mm, 2년생 55~75 mm, 3년생75mm 이상, 암컷은 1년생 40~55 mm, 2년생 55~75 mm, 3년생 75~95 mm, 4년생 95mm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2009년 1월 기준). 산란시기는 5~6월 사이로 추정되었고 (수온 21.0~26.6℃) 성적으로 성숙하는 연령은 만 2년생 이상으로 판단되었으며 포란수는 202~747개 (491±154.0)로 나타났다.
TAG Kichulchoia multifasciata, spawning period, Yugokcheon, gonadosomatic index (GSI)
잠수관찰을 통한 경남 통영 연안의 어류상
곽우석 ( Woo-seok Gwak ) , 이승환 ( Seung-hwan Lee ) , 이용득 ( Yong-deuk Lee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2호, 100~109페이지(총10페이지)
경남 통영 영운리 연안에서 어류상 및 분포특성을 밝히기 위해 2013년 9월부터 2014년 8월까지 매월 잠수관찰을 실시하였다. 조사 지역은 수심과 저질에 따라 5개의 서식지로 분류하였다; (1) 수심 0~2m의 사질지역, (2) 수심 2~5m의 잘피밭, (3) 수심 0~2 m의 암반 노출지역, (4) 수심 2~5 m의 암반지역, (5) 수심 5~8 m의 펄질 지역. 조사 기간 동안 총 26과 43종 1,673개체의 어류가 관찰되었다. 출현 종수는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0월, 11월에 가장 많았고 이후 12월에 감소하여 1월에 가장 적었다. 망둑어과는 7종이 출현하여 출현 종수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양볼락과가 4종 출현하였다. 개체수에서는 망상어과가 총 개체수의 26.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TAG Fish assemblag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underwater visual census, habitat
제비날치(Cypselurus hiraii) 자어의 형태기재
박재민 ( Jae Min Park ) , 박종연 ( Jong Youn Park ) , 조재권 ( Jae Kwon Cho ) , 김나리 ( Na Ri Kim ) , 한경호 ( Kyeong Ho Ha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2호, 110~115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는 제비날치 자어의 크기에 따라 형태발달을 조사하여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시료확보를 위해 2013년 7월부터 8월까지 전남 여수시 거문도에서 뜰채 (망목 Ø60 cm)를 이용하여 채집하였고, 채집당시 평균 수온은 20.6±1.84℃였으며, 평균 염분은 32.1±0.46‰이었다. 전장 9.58∼9.69mm(평균 9.63±0.04 mm, n=5)의 후기자어는 입이 열려 있었고, 위턱이 아래턱보다 짧았다. 등지느러미의 길이는 배지느러미를 넘어서지 않았고, 등지느러미는 배지느러미와 같은 선에 위치하였다. 전장 18.0∼18.5 mm (평균 18.2±0.22 mm, n=5)의 후기자어는 성장함에 따라 가슴지느러미의 폭이 넓게 발달하였고, 꼬리지느러미가 부정미로 분화하는 것으로 보아 유영능력의 발달로...
TAG Cypselurus hiraii, flying fish, larvae, juvenile
한국산 풀미역치과 어류 1미기록, Cocotropus masudai
한송헌 ( Song Hun Han ) , 김맹진 ( Maeng Jin Kim ) ,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2호, 116~120페이지(총5페이지)
풀미역치과에 속하는 Cocotropus masudai 1개체 (표준체장 41.2 mm)가 2011년 7월에 제주도 연안에서 상업용 통발에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등지느러미 기조수 XII, 9개를 갖는 점, 뒷지느러미 기조수 I, 8개를갖는 점, 배지느러미 기조수 I, 3개를 갖는 점, 전새개골에 4개의 가시를 갖는 점, 아래턱에 5개의 감각공을 갖는 점그리고 흉부의 끝이 다섯 번째 감각공을 지나는 특징을 갖는다. 이 종은 형태적으로 C. izuensis와 유사하지만 전새개골의 가시수 (C. izuensis는 5개 vs. C. masudai는 4개를 가짐)와 흉부의 끝의 위치 (C. izuensis는 다섯 번째 감각공을 훨씬 지남 vs. C. masudai 도달함)로 구분할 있다. 그리고 이 종은 우리나라에...
TAG 풀미역치과, 돛치, 미기록종, 제주, First record, Cocotropus masudai, Aploactinidae, Jejudo Island
한국산 붕장어과 어류 1 미기록종, Ariosoma meeki
여수은 ( Soo Eun Yeo ) , 김진구 ( Jin-koo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2호, 121~124페이지(총4페이지)
뱀장어목 붕장어과에 속하는 Ariosoma meeki 1개체 (전장 485.2 mm)가 2015년 6월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본 종은 몸 전체에 비늘이 없고,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꼬리지느러미와 연결되어 있으며, 후비공이 피판으로 덮여 있고, 60개의 항문 전 측선공 및 15개의 가슴지느러미 연조를 가지며, 두부에 감각공이 없고, 눈 뒤쪽에 2개의 검은 점을 가진다. 한국에서 새롭게 보고되는 A. meeki의 국명으로 "눈테붕장어"를 제안한다.
TAG 눈테붕장어, 미기록종, 붕장어과, 한국, New record, Ariosoma meeki, Congridae, Korea
IUCN과 CITES에 등재된 한국산 상어류의 현황
정충훈 ( Choong-hoon Jeong ) , 최윤 ( Youn Choi ) , 오정규 ( Jeong-kyu Oh ) , 김민섭 ( Min-seop Kim ) , 정승진 ( Seung Jin Je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2호, 125~133페이지(총9페이지)
전 세계 상어류 (상어구 Selachii)는 약 510종이 유효하고, 우리나라에서는 8목 19과 30속 43종이 보고되었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상어류 43종 모두가 세계자연보존연맹 적색목록(IUCN Red List)에 등재되었으며, IUCN 등급별 종 수 및 비율은 위기 (EN) 상태 1종 (2.3%) (vs. 전 세계 15종, 3.2%), 취약(VU) 11종 (25.6%) (vs. 48종, 10.3%), 준위협 (NT) 10종 (23.3%) (vs. 67종, 14.4%), 관심대상 (LC) 9종 (20.9%) (vs. 115종, 24.7%), 정보부족 (DD) 12종 (27.9%) (vs. 209종, 44.9%)이었으며, 위급 (CR)에 해당하는 종은 전 세계에는 11종 (2.4%)인데...
TAG Sharks, IUCN, CITES, conservation, management, biodiversity, Korea, Chondrichthyes
저수온 스트레스에 따른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 혈액의 생리생화학적 반응
박종연 ( Jong Youn Park ) , 박재민 ( Jae Min Park ) , 홍창기 ( Chang Gi Hong ) , 김경민 ( Kyong Min Kim ) , 조재권 ( Jae Kwon Cho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1호, 1~8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겨울철 저수온으로 발생하는 폐사원인 규명을 위한 생리생화학적인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온 12℃를 대조구로 Exp. I (- 1℃/24 h), Exp. II (- 1℃/8 h)의 실험구를 정하여 9일간에 걸쳐 생존율, 코티졸, 글루코스, 총단백질 및 전해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생존율은 Exp. I 실험구의 경우 사육수온 5℃로 하강한 후 170시간째 12마리의 폐사를 시작으로 174시간째에 전 개체 폐사하였다. 반면 Exp. II 실험구의 경우 5℃로 하강한 후 72시간째 9 마리의 폐사를 시작으로 76시간째 전 개체가 폐사하였다. 생리적 반응은 Exp. I과 Exp. II의 미비한 차이는 있으나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으며, 혈장 코...
TAG Physiological activity, sevenband grouper, low temperature stress, survival, cortisol, glucose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 자어의 소화기관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
박종연 ( Jong Youn Park ) , 김나리 ( Na Ri Kim ) , 박재민 ( Jae Min Park ) , 명정인 ( Jeong In Myeong ) , 조재권 ( Jae Kwon Cho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1호, 9~18페이지(총10페이지)
이 연구는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소화관 발달과정을 형태학적과 조직학적인 방법으로 부화 후부터 60일 동안 관찰하였다. 먹이 급이는 부화 후 2일부터 20일 동안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와 클로렐라 (Chlorella ellipsoidea)를 급이 하였고, 20일부터 Rotifer와 brine shrimp (Artemia salina)를 급이 하였으며, 23일부터 Rotifer와 Artemia, 배합사료를 급이 하였다. 자치어 10마리를 임의로 선택하여 10% 중성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형태학적 관찰과 파라핀포매법에 의한 조직학적인 관찰을 하였다. 능성어의 RLG는 평균 0.87으로 ...
TAG Digestive, Epinephelus septemfasciatus, juvenile, larvae, sevenband grouper
은대구, Anoplopoma fimbria 소화기관의 형태 및 조직학적 특징
김수지 ( Suji Kim ) , 강주찬 ( Ju Chan Kang ) , 이정식 ( Jung Sick Lee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1호, 19~27페이지(총9페이지)
은대구의 소화관 상대길이 비는 1.52 (n=12)이며, 소화관은 위의 후방부에 5~6개의 유문수를 가진다. 점막주름의 형태는 식도와 위에서는 미분지형이지만 장에서는 분지형이다. 횡단면에서 소화관은 조직학적으로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및 장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식도의 점막상피층은 단층이며, 원주섬모상피세포들과 점액세포들로 구성된다. 위 점막층의 위선은 관상선으로 주세포, 벽세포 및 뮤신분비세포들로 구성된다. 뮤신분비세포는 원주형으로 AB-PAS (pH 2.5) 반응에서 분홍색과 푸른색을 나타내는 분비과립을 가진다. 장의 점막상피층은 단층이며, 원주섬모상피세포들과 배상세포들로 구성된다. 점막하층은 소성결합조직층으로 주로 교원섬유들로 구성되며, 식도에서 잘 발달되어 있다. 소화관의 근육층은 종주근층과 환상근층으로 구분되며, 위에서 잘 발달되어...
TAG Anoplopoma fimbria, digestive organ, histology
한국산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 (Pisces, Gobiidae)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학적 연구
김현태 ( Hyun Tae Kim ) , 김형수 ( Hyeong Su Kim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6] 제28권 제1호, 29~35페이지(총7페이지)
한국산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 후각기관은 2015년 7월과 8월 사이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의 조간대에서 채집된 개체들을 대상으로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그리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해부학 및 조직학적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후각기관은 두부 주둥이 위 좌우로 한 쌍이 존재하며, 전비공과 후비공, 한개의 비강, 두 개의 비낭, 후신경, 그리고 후구로 구성되었다. 비강 내 감각상피는 연결성 유형의 분포를 보였으며, 섬모성 감각세포만을 가지고 있었고, 감각세포, 지지세포, 기저세포들로 구성되었다. 비감각상피는 층상상피세포들로 구성되었으며, 표면에 많은 점액공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후각기관의 특징들은 연안지역 조수 웅덩이와 수심이 얕은 조간대의 생태적 서식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
TAG 비공, 비강, 비낭, 감각세포, 점액공, Nostril, single olfactory cavity, two nasal sac, ciliated receptor cell, mucous opening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