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췌장담도학회 AND 간행물명 : 대한췌담도학회지64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증 례 : 분지형 점액분비성낭종 환자에서 발생한 침윤성 췌장암의 심각한 임상 경과: 증례 3예
배대환 ( Dae Hwan Bae ) , 양지열 ( Ji Youl Yang ) , 김근모 ( Keun Mo Kim ) , 김형우 ( Hyung Woo Kim ) , 윤웅수 ( Woong Su Yoon ) , 조병하 ( Byung Ha Cho ) , 김진영 ( Jin Young Kim ) , 한정호 ( Joung Ho Han ) , 박선미 ( Seon Mee Park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5] 제20권 제4호, 209~215페이지(총7페이지)
TAG 추적연구, 분지형,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 췌장암, Follow-Up Studies, Branch Duct,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Pancreatic Cancer
증 례 : 급성췌장염으로 발현한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 연관 침습암 1예
김주성 ( Joo Seong Kim ) , 이상협 ( Sang Hyub Lee ) , 한승준 ( Seung Jun Han ) , 최진호 ( Jin Ho Choi ) , 강진우 ( Jin Woo Kang ) , 장동기 ( Dong Kee Jang ) , 류지곤 ( Ji Kon Ryu ) , 김용태 ( Yong Tae Kim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5] 제20권 제4호, 216~221페이지(총6페이지)
급성 췌장염 중에 1차 검사에서 원인이 불명확한 경우 급성 특발성 췌장염이라고 하며 그 중 종양에 의한 것은 비교적 드물지만 진단이 늦어질 경우 예후가 좋지 않아 먼저 의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증례는 급성 특발성 췌장염 환자에서 악성종양을 의심하고 적극적으로 추적관찰하던 과정에서 초음파내시경상 이상소견이 확인되었고,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결정하여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 관련 침습암을 진단한 경우이다. 따라서 원인이 불분명한 췌장염에 대해 악성종양을 의심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함과 동시에 초음파내시경의 추적관찰이 진단에 도움이 된 실제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앞으로의 진료 및 의사결정에 유익할 것으로 보여 문헌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AG 급성 췌장염,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 침습암, Acute pancreatitis,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 Invasive carcinoma
증 례 : 성인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 환자에서 L-아스파라기나제를 포함한 항암화학치료 후 발생한 급성 괴사성 췌장염 1예
이지애 ( Ji Ae Lee ) , 김효정 ( Hyo Jung Kim ) , 김재선 ( Jae Seon Kim ) , 이정민 ( Jung Min Lee ) , 김지은 ( Ji Eun Kim ) , 임상윤 ( Sang Youn Lim ) , 김성민 ( Seong Min Kim ) , 이연호 ( Yeon Ho Lee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5] 제20권 제4호, 222~227페이지(총6페이지)
L-아스파라기나제는 급성 림프모구백혈병 환자에서 사용이 증가하는 약물로, 췌장염은 이 약제의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이며, 항암화학치료 중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급성 췌장염은 드물지만 치명적 합병증인 괴사성 췌장염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빠른 진단과 적절한 처치가 중요하다. 본 증례는 괴사성 췌장염에 동반된 췌관 누출 그리고 췌장가성낭이 경유듀적 췌관 스텐트 삽입으로 호전되었던 증례이다. 향후 이러한 L-아스파라기나제 유발 췌장염 및 췌관 누출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접근 및 안전성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TAG L-아스파라기나제, 급성 림프모구백혈병, 급성 췌장염, 췌장가성낭, 췌관 누출, L-asparaginase,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cute pancreatitis, Pseudocyst, Pancreatic duct leak
증 례 : 경피적 접근이 어려워 초음파내시경 유도 하 배액술로 치료한 췌십이지장 절제술 후 발생한 복강 소낭 내 체액 저류 1예
최청조 ( Chung Jo Choi ) , 문성훈 ( Sung Hoon Moon ) , 김종혁 ( Jong Hyeok Kim ) , 박지원 ( Ji Won Park ) , 김성은 ( Sung Eun Kim ) , 박충기 ( Choong Kee Park ) , 전장용 ( Jang Yong Jeon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5] 제20권 제4호, 228~233페이지(총6페이지)
수술 후 체액 저류는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로 이로 인해 사망률과 재원 기간이 증가할 수도 있다. 초음파내시경 유도 하 배액은 췌장 가성낭종의 치료 방법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수술 후 발생한 체액 저류 치료에 있어서도 성공적인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60세 여성이 한 달 동안 4 kg의 체중감소와 5일 전부터 발생한 황달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 및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을 이용한 조직검사를 통하여 총담관암이 진단되어 췌십이지장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2주째 발열, 복통, 백혈구 증가의 임상증상을 보였다. 진단을 위해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소낭의 위오목에 체액저류가 증가하여 내시경적 배액술을 시행하였고 이후 합병증 없이 증상이 호전되었다. 국내에서는 아직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발생한 ...
TAG 췌십이지장절제술, 수술 후 체액 저류, 초음파내시경, 경벽 배액, Pancreaticoduodenectomy, Postoperative complication, Endosonography, Drainage
증 례 : 담낭담관염 및 방광염으로 발현한 과호산구증가증후군
이계연 ( Gye Yeon Lee ) , 김선형 ( Sun Hyung Kim ) , 이승연 ( Seung Youn Lee ) , 박형도 ( Hyung Do Park ) , 장홍석 ( Hong Suk Chang ) , 고동희 ( Dong Hee Koh ) , 이진 ( Jin Lee ) , 최영희 ( Young Hee Choi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5] 제20권 제4호, 234~240페이지(총7페이지)
호산구성 담낭염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다른 일반적인 원인의 담낭염과 비교하여 증상, 검사실 소견 및 이학적 검사에 있어 차이가 없어, 주로는 수술 후 진단하게 된다. 한편, 호산구성 방광염은 호산구성 담낭염과 마찬가지로 드물게 발생하며 이 역시 조직학적 진단을 통해서만 확진된다. 본 저자들은 우상복부통증으로 내원하여 급성 담낭담관염으로 담낭절제술 시행 후 호산구성 담낭염이 진단된 환자에서, 수술 후에도 경도의 말초혈액 호산구증가증의 지속과 만성 하부 요로 증상으로 인해 경요로방광조직검사 후 호산구성 방광염의 병발을 국내 최초로 확인하였고, 과호산구증가증후군으로 발현한 호산구성 담낭담관염 및 방광염 진단하에, 이에 대해 스테로이드 투약을 통해 증상 및 말초혈액 호산구증가증의 소실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AG 담낭염, 담관염, 방광염, 과호산구증후군, Eosinophilic cholangiopathy, Eosinophilic cystitis, Hypereosinophilic syndrome, Steroid therapy
증 례 : 우연히 발견된 십이지장 천공 증례
박혜민 ( Hye Min Park ) , 도민영 ( Min Young Do ) , 최세명 ( Sei Myung Choi ) , 양경호 ( Kyung Ho Yang ) , 허창재 ( Chang Jae Hur ) , 조광범 ( Kwang Bum Cho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5] 제20권 제4호, 241~245페이지(총5페이지)
대부분의 십이지장 천공은 증상을 유발하므로 급성기에 발견된다. 그러므로 시기를 알 수 없이 우연히 발견된 만성 십이지장 천공은 드물고 치료의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본 증례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 후에 병변이 호전되었다. 이와 같이 우연히 천공이 발견된 증례는 드물고 향후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TAG 만성 십이지장 천공, 내시경 역행적 담관 조영술, 합병증, Duodenal perforation, ERCP, Complication
종설 : 증증급성췌장염의 발생 기전
도재혁 ( Jae Hyuk Do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5] 제20권 제3호, 115~123페이지(총9페이지)
대부분의 십이지장 천공은 증상을 유발하므로 급성기에 발견된다. 그러므로 시기를 알 수 없이 우연히 발견된 만성 십이지장 천공은 드물고 치료의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본 증례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 후에 병변이 호전되었다. 이와 같이 우연히 천공이 발견된 증례는 드물고 향후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TAG Severe acute pancreatitis, Pathogenesis, Organ failure, Pancreatic infection
종설 : 면역글로불린 G4 연관질환의 개요
문성훈 ( Sung Hoon Moon ) , 송태준 ( Tae Jun Song ) , 김명환 ( Myung Hwan Kim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5] 제20권 제3호, 124~129페이지(총6페이지)
대부분의 십이지장 천공은 증상을 유발하므로 급성기에 발견된다. 그러므로 시기를 알 수 없이 우연히 발견된 만성 십이지장 천공은 드물고 치료의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본 증례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 후에 병변이 호전되었다. 이와 같이 우연히 천공이 발견된 증례는 드물고 향후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TAG Immunoglobulin G4-related disease, Autoimmune pancreatitis, Autoimmune diseases
증례 : 췌장암과 감별이 어려웠던 췌장의 방선균증
김민철 ( Min Chul Kim ) , 이형경 ( Hyeung Kyeung Lee ) , 박진오 ( Jin Oh Park ) , 박진석 ( Jin Seok Park ) , 오동욱 ( Dong Wook Oh ) , 강효정 ( Hyo Jeong Kang ) , 유은실 ( Eun Sil Yu ) , 김명환 ( Myung Hwan Kim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5] 제20권 제3호, 130~135페이지(총6페이지)
방선균증(actinomycosis)은 실 모양의 혐기성 세균인 방선균에 의한 감염 질환으로, 유황과립이 특징적인 화농성 병변을 초래한다. 방선균증은 종괴처럼 보이는 병변으로 발현할 수 있는데, 이런 이유로 방선균증은 종종 악성 종양으로 오인됐고, 많은 환자들이 정확한 진단이 내려지기 전에 수술적 절제를 받았다. 저자들은 만성췌장염 환자에게 발생한, 악성 종양과 감별이 어려웠던 췌장에 국한된 방선균증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감염의 증상 및 징후를 전혀 보이지 않았고, 다른 장기의 동반 감염도 없었다. 모든 영상 소견은 염증성 종괴 보다는 췌장암을 더 시사했다. 그는 내시경초음파 유도 가는 바늘 생검을 통해서 수술 없이 방선균증을 진단 받았다. 한 달 동안의 항생제 치료 이후에 췌장의 종괴는 완전히 사라졌다.
TAG 방선균증, 췌장, 내시경초음파 유도 가는 바늘 흡인, 악성 종양, Actinomycosis, Pancreas, Endoscopic ultrasound (EUS)-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Malignancy
증례 :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Bortezomib에 의한 급성 췌장염 1예
임재홍 ( Jae Hong Lim ) , 황교범 ( Kyo Bum Hwang ) , 임병훈 ( Byung Hun Lim ) , 정영훈 ( Young Hoon Jeong ) , 손기창 ( Ki Chang Sohn ) , 김태현 ( Tae Hyeon Kim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5] 제20권 제3호, 136~139페이지(총4페이지)
본 증례는 다발성 골수종을 진단 후 Bortezomib, Melphalan, Prednisolone 항암치료 중에 급성 췌장염이 발생된 매우 드문 경우이다. 급성 췌장염이 원인을 알기 위하여 알코올병력, 담석증, 외상, 고칼슘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등에 대한 혈액검사 및 영상의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지만 특별한 소견은 없었다. 급성 췌장염을 유발할 수 있는 약제인 Bortezomib이 그 원인일 가능성으로 판단되어 Bortezomib 중단과 보존적 치료로 급성 췌장염이 호전되었다. Bortezomib은 다양한 비특이적인 위장관 증상을 흔하게 유발할 수 있지만 복통이 지속되거나 재발하면 드물지만 급성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하겠다.
TAG 급성 췌장염, 다발성 골수종, 보르테조밉, Actinomycosis, Pancreas, Endoscopic ultrasound (EUS)-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Malignancy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