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AND 간행물명 :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135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자작나무 8개 채종임분의 유전변이
조아르나 ( Aruna Jo ) , 김회진 ( Hoi Jin Kim ) , 정지희 ( Ji Hee Jeong ) , 김용율 ( Yong Yul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13(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자작나무 종자공급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8개 채종임분을 대상으로 5개 microsatellite 표지에 근거한 유전다양성과 구조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유전자좌당 평균 대립유전자수(Na)는 집단별로 최소 5.6개(금봉)에서 7개(율리)까지 관찰되었고 평균 6.2개 였다. 이형접합도의 관찰치(Ho)와 기대치(He)는 송천 집단이 각각 0.438, 0.590으로 가장 낮았고, 임계 집단이 각각 0.642, 0.654로 가장 높았으며, 8개 집단의 평균은 각각 0.513, 0.621이었다. 고정계수(F)는 임계 집단이 0.031로 가장 낮았고, 나머지 집단은 0.111에서 0.223 사이의 값을 보여, 대부분의 집단에서 근친교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자작나무는 풍매에 의한 타식을 위주로 하는 종임에도 ...
자생지 우점수종의 산마늘 발아 및 유묘 생장에 미치는 잠재적 알렐로파시 효과
정미진 ( Mi Jin Jeong ) , 송현진 ( Hyun Jin Song ) , 김학곤 ( Hak Gon Kim ) , 서영롱 ( Yeong Rong Seo ) , 임현정 ( Hyeon Jeong Im ) , 서강욱 ( Gang Uk Suh ) , 최명석 ( Myung Suk Choi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14(총1페이지)
알렐로파시 효과 구명을 위해 수종은 울릉도 산마늘 자생지의 우점종인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를 내륙지역 산마늘 자생지 우점종인 신갈나무, 그리고 내륙지역 산지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소나무와 잣나무에 대해 산마늘 종자발아와 실생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수종의 잎을 산마늘종자의 발아율 및 생장을 측정하기 위해 낙엽처리, 분쇄잎 처리, 그리고 냉·열수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였다. 그 결과, 낙엽처리에서는 53~58%로 상대적으로 발아율이 높았고, 분쇄된 잎을 인공토와 섞어처리하였을 때 산마늘의 발아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종 중에서는 소나무 처리구가 가장 산마늘의 발아율을 억제시켰으며, 지상부 생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냉·열수 추출물을 다른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5% 소나무 추출물이 산마늘 종자의 발아를 가장 억제하였고, 전체적으로 냉...
건조 방법과 저장 온도에 따른 할미꽃 종자의 발아
이하얀 ( Ha Yan Lee ) , 최고은 ( Go Eun Choi ) , 채송화 ( Song Hwa Chae ) , 이기철 ( Ki Cheol Lee ) , 서강욱 ( Gang Uk Suh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15(총1페이지)
봄철 관상식물로 활용되는 할미꽃의 종자는 실온보관 수명이 6주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장기저장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할미꽃 종자의 실온보관 수명을 밝히고 장기저장 기술 개발을 하고자 실시하였다. 상온보관 기간에 종자 무게 변화는 5.158g에서 8주 후 4.988g, 16주 후 4.793g으로 변화하였고, 발아율은 각각 82±4.9%, 72.5±13.42%, 70.7±8.08%였다. 기건 기간에 따라 수분함량과 발아율은 모두 감소하였으나 처리 모두 70% 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15℃, RH 15%, 4주간 건조처리 한 결과 무게는 4.0714g 감소하였으며 발아율은 73.3±1.15%였고, 건조 후 -18℃, 12주 저장 후발아율은 72.0±8.16%였다. 건조 단독처리, 건조 및 저온 복합처리 결과 수분함...
개불알풀속(Veronica) 8종 종자의 발아 적정온도 구명
최고은 ( Go Eun Choi ) , 김현진 ( Hyun Jin Kim ) , 이하얀 ( Ha Yan Lee ) , ( Balkrishna Ghimire ) , 서강욱 ( Gang Uk Suh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16(총1페이지)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자료부족종) 부산꼬리풀의 종자발아를 이용한 자생지 복원 기반을 구축하고자 부산꼬리풀과 개불알풀속 7종(꼬리풀, 둥근산꼬리풀, 긴산꼬리풀, 큰산꼬리풀, 구와꼬리풀, 산꼬리풀, 섬꼬리풀)의 발아 적정온도를 확인하였다. 발아특성은 정온 5~35℃까지 5℃간격 14시간 광조건에서 배양하여 확인하였다. 종자는 하루 간격으로 관찰하여 유근이 2mm이상 출현한 종자를 기록후 해당 petri dish에서 제거하며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5℃에서는 거의 발아하지 않았으며, 8종 중둥근산꼬리풀, 긴산꼬리풀, 큰산꼬리풀, 구와꼬리풀, 산꼬리풀, 섬꼬리풀은 20~30℃의 넓은 온도대에서 6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꼬리풀 종자의 경우 전체 온도대에서 32% 미만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부산꼬리풀 종자 또한 10~30℃의 각 온도대에서 45, ...
진범( Aconitum pseudolaeve Nakai) 종자의 형태생리적 휴면타파에 전처리가 미치는 영향
최고은 ( Go Eun Choi ) , 김현진 ( Hyun Jin Kim ) , 정미진 ( Mi Jin Jeong ) , ( Balkrishna Ghimire ) , 서강욱 ( Gang Uk Suh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17(총1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 특산식물 진범종자 휴면유형 및 배발달 조건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무처리 종자의 경우 15/6℃, 20/10℃, 25/15℃에서 14.0±2.83, 14.0±2.83, 2.7±4.81%의 낮은 발아율을 나타냈다. 5℃에서 4주간 습윤처리한 결과, 73.3±6.11, 61.3±6.11, 50.7±16.2로 발아율이 향상되었으며 8주 처리시 15/6℃에서 80.0±4.00의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8주간 2주 간격으로 종자에 대한 배의 비율을 관찰한 결과, 5℃ 습윤처리시 0.26에서 0.65으로 증가한데 반해, 25/15℃에서는 0.45로 저조한 생장을 보여 저온습윤처리가 진범종자의 배생장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5℃, 25/15℃조건 500, 1,000ppm 지...
저온처리와 GA3 처리가 여우꼬리풀(Aletris glabra Bureau & Franch)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최고은 ( Go Eun Choi ) , 김현진 ( Hyun Jin Kim ) , 정미진 ( Mi Jin Jeong ) , ( Balkrishna Ghimire ) , 구자정 ( Ja Jung Ku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18(총1페이지)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위기종) 여우꼬리풀은 자생지가 매우 제한되어 있고 개체수도 부족하여 종자 발아촉진을 이용한 현지외 보전전략 수립을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종자의 발아촉진 전처리는 GA3(0, 500, 1,000ppm)처리 및 저온습윤(0, 8, 16주)를 수행하였다. 발아 온도대는 세 가지 변온(15/6℃, 20/10℃, 30/20℃)으로 구성하였으며, 14시간 광조건으로 발아 종료시까지 매일 발아종자를 기록하였다. GA3 처리결과 30/20℃에서 1,000ppm처리 종자의 경우 무처리 0%에서 78±2.83%로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15/6℃에서는 500, 1,000ppm처리시 무처리에 비해 20% 이상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저온처리 대조구의 경우 15/6, 20/10 30/20℃ 각 온도대에서 6...
수분결핍에 따른 식물의 생리적 변화와 내건성 자생식물종 선발에 관한 연구
임현정 ( Hyeon Jeong Im ) , 송현진 ( Hyun Jin Song ) , 김학곤 ( Hak Gon Kim ) , 서영롱 ( Yeong Rong Seo ) , 조호준 ( Ho Jun Cho ) , 양우형 ( Woo Hyeong Yang ) , 정미진 ( Mi Jin Jeong ) , 마호섭 ( Ho Seop Ma ) , 최명석 ( Myung Suk Choi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19(총1페이지)
식물은 건조 등의 스트레스 하에 놓여 있고, 수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내건성 식물의 선발은 biomass 생산과 종보존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식물의 내건성 생리적지표를 이용하여 내건성 식물을 선발하였다. 자생식물 110종 중 발아율이 높은 수종인 26종을 공시수종으로 선발했다. 내건성을 조사하기 위해 균일한 식물체에 무관수 처리하여 고사 소요일을 조사하였다. 식물의 수분스트레스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프롤린 함량을 분석하여 내건성 평가지표로 활용하였다. 수분결핍에 따른 고사소요일을 조사한 결과, 2일째부터 고사하기 시작하여 10일 이후에도 생존하였다. 그 결과 새, 도깨비가지, 긴담배풀, 매듭풀, 비수리, 참느릅나무는 내건성 수종으로 입증되었다. Proline 분석 결과, proline 함량은 선발된 내건성 식물은 건조조건 부여 전과 ...
산양삼 혼입숙성 감식초 섭취에 의한 지질대사 변화
서효빈 ( Hyo Bin Seo ) , 김판기 ( Pan Ki Kim ) , 류승필 ( Sung Pil Ryu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20(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4년근 산양삼을 4년간 숙성된 감식초에 혼입하여 숙성된 산양삼 감식초를 쥐에게 경구투여 함으로서 나타나는 지질대사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산양삼 감식초를 필터에 정제하여 2.5배와 5배로 희석한 후 4주간 섭취시켰다. 집단은 대조군, 산양삼 감식초 2.5배 희석군, 산양삼 감식초 5.0배희석군으로 구분하였다. 분석은 지질대사 관련 단백질 발현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AMPK, PPAR-α, FABP, CPT-1을 분석하였다. 우선 AMPK, PPAR-α, FABP는 대조군에 비하여 산양삼 감식초의 희석 비율과 관계없이 2.5배, 5.0배 희석군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CPT-1은 산양삼 감식초 5.0배 희석군에서 가장 많은 발현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양삼을 감식초에 혼입숙성한 산양삼 감식초는 지질대사를 증가시켜 비만억제에 효과적...
웨이트사이클링시 산양삼 혼입숙성 감식초 섭취에 의한 지질대사 변화
서효빈 ( Hyo Bin Seo ) , 김판기 ( Pan Ki Kim ) , 류승필 ( Sung Pil Ryu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21(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체중의 증량과 감량이 지속되는 웨이트사이클링이 유발되었을 때 4년근 산양삼을 4년간 숙성된 감식초에 혼입하여 숙성된 산양삼 감식초를 쥐에게 경구투여 함으로서 나타나는 지질대사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산양삼 감식초를 필터에 정제하여 2.5배와 5배로 희석한 후 4주간 섭취시켰다. 집단은 일반대조군, 웨이트사이클링 대조군, 산양삼 감식초 2.5배 희석군, 산양삼 감식초 5.0배 희석군으로 구분하였다. 분석은 지질대사 관련 단백질 발현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AMPK, PPAR-α, FABP, CPT-1, UCP-2를 분석하였다. 우선 AMPK, PPAR-α, FABP, CPT-1, UCP-2는 일반대조군, 웨이트 사이클링 대조군에 비하여 산양삼 감식초의 희석비율과 관계없이 2.5배, 5.0배 희석군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체중의 증...
지리적 분포에 따른 식물계절 현상 및 미기후 특성
김영설 ( Young Sol Kim ) , 손호준 ( Ho Jun Son ) , 김남영 ( Nam Young Kim ) , 이학봉 ( Hak Bong Lee ) , 김세창 ( Se Chang Kim ) , 박완근 ( Wan Geun Park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22(총1페이지)
본 연구는 백두대간 권역의 생강나무와 진달래를 대상으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간의 개화 및 개엽시기를 월평균기온과 비교분석하고 수관층의 추이를 관찰하였다. 고도별의 차이를 보이는 진부령 권역의 경우 해발고도가 가장 낮은 제3조사구에서 개화 및 개엽시기가 대체로 빨라지는 경향을 보이며, 해발고도가 높을수록 개화 및 개엽시기가 느려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영동·영서 지역으로 구분한 오대산 권역에서는 제4조사구의 경우 연도별 차이가 크게 없었으나 제6조사구에서 비교적시기가 앞당겨졌다. 개화 및 개엽날짜는 시간이 지날수록 대체적으로 앞당겨지는 경향을 보이며, 2012년 봄철의 이상기온 현상에 영향을 받아 개화 및 개엽시기가 해당 연도 전후와 비교해 앞당겨진것을 관찰하였다. 수관층의 경우에도 2012년에 이상고온 현상으로 전년도에 비해 1.5배의 피복비...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