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화학공학회1779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배위 고분자의 산소 발생 반응 촉매로서의 활용
한국화학공학회  한국화학공학회, NICE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2020] 제38권 제2호, 172(총1페이지)
정부 연구정책 동향
한국화학공학회  한국화학공학회, NICE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2020] 제38권 제2호, 160~171페이지(총12페이지)
격자산소 참여 메커니즘에 기반한 고성능 산소 발생반응용 페로브스카이트 촉매의 합리적 설계
유종석  한국화학공학회, NICE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2020] 제38권 제2호, 154~159페이지(총6페이지)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Fe-Co/mesoHZSM-5 : Effect of Desilication Agent and Iron-cobalt Composition
( Jimmy ) , ( Achmad Roesyadi ) , ( Suprapto ) , ( Firman Kurniawansyah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20] 제58권 제1호, 163~169페이지(총7페이지)
TAG HZSM-5, Mesopore, Impregnation, Fe-Co, Desilication
KEPCO-China Huaneng Post-combustion CO2 Capture Pilot Test and Cost Evaluation
( Ji Hyun Lee ) , ( Nosang Kwak ) , ( Hongwei Niu ) , ( Jinyi Wang ) , ( Shiqing Wang ) , ( Hang Shang ) , ( Shiwang Gao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20] 제58권 제1호, 150~162페이지(총13페이지)
TAG CO2 capture, Cost of CO2 avoided, China, International collaboration
실리카로 코팅된 흑연을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용 흑연/실리콘/피치 복합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이수현 ( Su Hyeon Lee ) , 이종대 ( Jong Dae Lee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20] 제58권 제1호, 142~149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인조흑연의 낮은 이론용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음극소재로서 흑연/실리콘/피치 복합소재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조사하였다. 구형의 인조 흑연 표면을 polyvinylpyrrolidone (PVP) 양친성 물질로 코팅한 후 실리카를 성장시켜 흑연/실리카 소재를 합성하였으며, 석유계 피치 코팅과 마그네슘 열 환원법을 통해 흑연/실리콘/피치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흑연/실리콘/피치 복합소재의 전극은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carboxymethyl cellulose(CMC), polyacrylic acid (PAA) 바인더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다양한 전해액과 첨가제를 이용하여 전지를 조립하였다. 흑연/실리콘/피치 복합소재는 X-ray diffraction (XRD), scanning electron...
TAG Stőber method, Graphite/Silicon/Pitch, Binder, Electrolyte, Lithium ion battery
CO2 레이저 환원법과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VOx/Graphene 복합체 제조 및 전기화학적 성능 평가
박용진 ( Yong-jin Park ) , 김재현 ( Jae-hyun Kim ) , 이규복 ( Kyubock Lee ) , 이승모 ( Seung-mo Lee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20] 제58권 제1호, 135~141페이지(총7페이지)
그래핀은 슈퍼커패시터의 전극소재로서 이상적인 물리적/화학적 물성을 지니고 있지만, 실제 장치에 적용하기에는 그 전기화학적 성능이 충분하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전기 전도성 및 고다공성을 지닌 다층구조의 그래핀을 생성하기 위해, 산화 그래핀을 가정용 레이저 조각기를 사용하여 환원하였다. 제작된 그래핀의 비정전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자층 단위 증착법을 이용하여 의사커패시터 거동을 나타내는 VOx를 균일하게 증착하였다. 이는 XPS 분석을 통해 VOx/그래핀 복합체에서 다양한 상의 VOx를 관찰하였다. VOx/그래핀 복합체는 VOx가 없는 그래핀(~50 F/g)과 비교할 때 상당히 향상된 비정전용량(~189 F/g)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소개한 에너지...
TAG Supercapacitor, Pseudocapacitor, Graphene, Vanadium oxide, Atomic layer deposition
실로퓨트에 의한 아세나프텐 흡착에 관한 등온흡착식, 동역학 및 열역학적 특성
조다님 ( Da-nim Cho ) , 김진현 ( Jin-hyun Kim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20] 제58권 제1호, 127~134페이지(총8페이지)
상용흡착제 실로퓨트에 의한 Taxus chinensis 유래 주요 타르 성분인 아세나프텐의 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초기 아세나프텐 농도, 흡착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흡착 데이터를 Langmuir, Freundlich, Temkin 및 Dubinin-Radushkevich 등온흡착식에 적용한 결과, Langmuir 등온흡착식이 가장 적합하였다. 동역학적 흡착 데이터는 유사 이차 속도식에 가장 잘 따름을 알 수 있었다. 열역학적 파라미터로부터 흡착 공정이 적합하며 비자발적 발열이었다. 등량흡착열은 흡착량에 의존하지 않아 실로퓨트의 표면에너지가 균일함을 알 수 있었다.
TAG Acenaphthene, Sylopute, Adsorption isotherm, Kinetics, Thermodynamics
폴리디메틸실록산 기반 마이크로패턴 채널 시스템을 이용한 단일 세포의 극성 신호에 관한 연구
서정수 ( Jung-soo Suh ) , 이찬빈 ( Chanbin Lee ) , 판이자 ( Yijia Pan ) , 왕잉샤이오 ( Yingxiao Wang ) , 정영미 ( Youngmi Jung ) , 김태진 ( Tae-jin Kim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20] 제58권 제1호, 122~126페이지(총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과 모세관-미세몰딩(MIMIC) 기술을 활용하여 마이크로패턴 채널 시스템을 제작하고, 단일 세포 수준에서 극성화 패턴으로 형성되는 분자 신호를 고해상도 세포 이미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혈소판유래성장인자(PDGF)가 처리된 세포에서는 세포 이동에 중요한 세 종류의 신호인 포스포이노시티드 3-인산화효소(PI3K), Rac 및 액틴(Actin) 신호가 선두(front)영역에서 후미(rear)영역에 비해 강하게 활성화 하는 데 반해, 마이오신 경쇄(MLC) 신호는 비특이적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마이크로패턴의 미세환경에서 세포극성화 신호와 세포 이동과의 상관 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AG Polydimethylsiloxane, Micromolding in capillaries, Micropattern, Cell polarity, Cell imaging
실로퓨트에 의한 Taxus chinensis 유래 7-에피-10-디아세틸파클리탁셀의 흡착에 대한 평형, 등온흡착식, 동역학 및 열역학적 특성
박세훈 ( Sae-hoon Park ) , 김진현 ( Jin-hyun Kim )  한국화학공학회, Korean Chem.Eng.Res.(화학공학) [2020] 제58권 제1호, 113~121페이지(총9페이지)
실로퓨트에 대한 Taxus chinensis 유래 7-에피-10-디아세틸파클리탁셀의 흡착을 회분식 실험에서 연구하였다. 흡착평형 데이터를 Langmuir, Freundlich, Temkin 및 Dubinin-Radushkevich 등온흡착식에 적용한 결과, Langmuir 등온흡착식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흡착 용량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실로퓨트에 대한 7-에피-10-디아세틸파클리탁셀의 흡착은 적합한 물리적 공정이었다. 흡착 데이터는 유사 이차 동역학 모델과 매우 잘 일치하였으며, 경계층 확산과 입자 내 확산은 흡착 과정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로퓨트에 대한 7-에피-10-디아세틸파 클리탁셀 흡착 과정은 발열이며 비자발적이었다. 또한, 등량흡착열은 흡착량에 의존하...
TAG 7-Epi-10-Deacetylpaclitaxel, Sylopute, Adsorption isotherm, Kinetics, Thermodynamic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