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AND 간행물명 :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135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낙엽송(Larix kaempferi) 성숙배로부터 부정아 유도를 위한 배지농도, 식물 생장조절물질 및 에틸렌 억제제 효과
김용욱 ( Yong Wook Kim ) , 유경화 ( Kyoung Hwa Yeoo ) , 김지아 ( Jee Ah Kim ) , 문흥규 ( Heung Kyu Moo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23(총1페이지)
낙엽송의 성숙배로부터 최대 부정아 유도는 LP배지에 1.0mg/L zeatin이 첨가된 처리구(76.1%)였으며, 2mm 이상의 신초생장을 위한 효과적인 처리구는 Litvay(LM)배지에 0.5mg/L zeatin(75.2%)을 첨가하거나, 혹은 Quoirin & Lepoivre(LP)배지에 2.0mg/L zeatin(70.2%)에서 각각 나타났다. 배지의 염류함량을 반으로 줄인 부정아 유도 시험에서는 ½LP배지에 1.0(83.3%) 혹은 2.0mg/L(81.7%) zeatin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높은 유도율을 보였으나, 2mm 이상의 신초생장을 위한 효과적인 처리구는 ½LM배지에 1.0mg/L zeatin(66.7%)에서였다. 배지의 염류함량을 반으로 줄인 부정아유도 시험에서는 ...
간척지 저농도액비 처리에 의한 포플러 단벌기 맹아림의 바이오매스 생산
김현철 ( Hyun Chul Kim ) , 배은경 ( Eun Kyung Bae ) , 한심희 ( Sim Hee Ha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24(총1페이지)
본 연구는 간척지 포플러 단벌기 맹아림에 저농도액비를 처리하여 바이오매스 생산 증대에 적합한 포플러 클론을 선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CB액비(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처리에 의한 포플러 클론들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은 SCB액비 처리구 및 무처리구에서 각각 73.6%, 88.8%로 나타나 무처리구의 생존율이 높았으며, SCB액비 처리구 내 포플러클론별 생존율은 미루나무 교잡종 Dorskamp 클론이 100%로 가장 우수하였다. 포플러 클론들의 평균줄기 수는 SCB액비 처리구 및 무처리구에서 각각 13.4개, 10.7개로 나타나 SCB액비 처리구가 25% 높았다. 포플러 클론별 연평균 지상부 바이오매스 생장량을 조사한 ...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 가계별 종자 및 생장 비교
나성준 ( Sung Joon Na ) , 이효신 ( Hyo Shin Lee ) , 한상억 ( Sang Urk Ha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25(총1페이지)
본 연구는 채종원에서 수확된 가계별 종자 특성과 파종 및 이식, 그리고 조림 후 생장량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상수리나무는 8가계, 굴참나무는 5가계를 각각 선정하여 종자의 길이, 폭, 무게 등을 측정하였으며, 각 가계별로 파종 및 이식 성적과 조림 후 3년간의 생장량을 측정하였다. 상수리나무 가계들 중 종자의 길이, 폭, 그리고 무게가 가장 큰 것은 Ya1 가계였지만, 이식 및 조림 후 생장량은 077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Ya1 가계가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굴참나무의 종자크기와 이식 후 생장은 대체적으로 S1 가계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가계간에는 종자의 크기 뿐만 아니라 이식 및 조림 후 생장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자료는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의 초기 생장...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다양성에 대한 산림시업의 영향
이병주 ( Byeng Ju Lee ) , 어수형 ( Soo Hyung E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26(총1페이지)
본 연구는 산림시업에 의한 토양 특성의 변화를 연구하여 지속가능한 산림시업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을 목표로 하여 시행되었다.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샘봉산 선도 산림경영단지의 참나무 혼효림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토양을 채취한 구역은 참나무시들음병 방제를 위해 개벌된 지역으로서, 개벌지와 주변부 미개벌지 각각에서 3지점의 토양 샘플을 채취하였다. 샘플 토양의 이화학적특성 분석을 위해 토양 입도(모래, 미사, 점토), 산도,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양이온치환용량, 치환성양이온(K+, Na+, Ca2+, Mg2+)을 측정하였으며, 개벌지와 미개벌지에 따른 분석 항목별 차이는 유효인산을 제외하고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샘플 토양의 미생물 메타지놈 군집 분석은 토양 미생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하였다. 메타지놈 분석을 통해 파악된 OT...
온도와 CO2 농도 변화에 따른 사스래나무의 생장, 항산화효소 활성 및 MDA 함량변화
김길남 ( Gil Nam Kim ) , 한심희 ( Sim Hee Han ) , 김두현 ( Du Hyun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27(총1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산수종의 하나인 사스래나무를 대상으로 온도와 CO2 농도 증가에 따른 생장 및 항산화효소 활성 변화를 조사 하였다. 온도와 CO2 농도 증가에 따른 수고와 근원경 생장을 측정한 결과, 27℃가 24℃보다 낮은 상대생장율을 보였으며, 온도 조건이 같을 때, CO2 농도가 높은 처리구에서 수고와 근원경의 상대생장율은 뚜렷하게 높았다(p<0.05). 처리에 따른 생장율 변화는 수목의 건중량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잎, 줄기, 뿌리 건중량 및 총 건중량은 온도가 높은 처리구에서 감소하였지만, CO2 농도가 높은 처리구에서는 증가하였다. 특히, 24℃-750ppm 처리구에서 총 건중량은 10.27g으로 가장 높았으며, 27℃-400ppm 처리구에서 총 건중량은 4.21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온도 증가에 따른 항산화효소 활...
희귀,특산식물 미선나무의 분포와 자생지 식생특성 및 토양 분석
이상명 ( Sang Myung Lee ) , 김현숙 ( Hyeon Sook Kim ) , 박관수 ( Gwan Su Park ) , 이상진 ( Sang Jin Lee ) , 이정호 ( Jeong Ho Lee ) , 황용 ( Yong Hwang ) , 이찬희 ( Chan Hee Lee ) , 이채희 ( Chae Hee Lee ) , 김정현 ( Jeong Hyeon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28(총1페이지)
한반도 특산식물인 미선나무의 새로운 용도개발 및 유용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우량개체 선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자생 집단의 분포와 식생환경 및 토양을 분석하였다. 문헌자료 및 표본정보 수집과 현지조사를 통해 분포도를 작성한 결과 미선나무는 천연기념물지정 충북 괴산(추점리, 송덕리, 율지리), 영동(매천리), 전북 변산반도와 자생지 진천, 충주, 옥천, 안동, 의성 등 충청북도와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주로 한반도 중부지방에 집중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생 집단은 주로 해발 75∼121m의 범위에 분포하였으며, 경사는 20∼35°산지나 석회암 지역에 많이 분포하였다. 9개 자생 집단에 대한 식생조사 결과 9개 조사구에서 총 154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평균 출현종수는 35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분꽃나무의 분포와 자생지 식생특성 및 토양분석
이상명 ( Sang Myung Lee ) , 김현숙 ( Hyeon Sook Kim ) , 박관수 ( Gwan Su Park ) , 이상진 ( Sang Jin Lee ) , 이정호 ( Jeong Ho Lee ) , 황용 ( Yong Hwang ) , 이찬희 ( Chan Hee Lee ) , 이채희 ( Chae Hee Lee ) , 김정현 ( Jeong Hyeon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29(총1페이지)
본 연구는 관상용으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분꽃나무의 새로운 용도개발 및 유용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우량개체 선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자생 집단의 분포와 식생환경 및 토양을 분석하였다. 분꽃나무( Viburnum carlesii Hemsl.)는 인동과(Caprifole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서 내한성과 내염성이 강해 산기슭 양지 및 해안가에서도 잘 자란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도시내의 공원수로도 매우 좋다. 열매는 식용한다. 분꽃나무 자생지 16개 조사구의 평균 해발 47∼510m의 범위에 분포하였으며, 경사는 15∼35°이고 평균 출현종수는 40분류군이다. 분꽃나무 자생지의 토양을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 pH는 5.84이고 유효인산은 평균 7.71이며 유기물합량은 평균 5.92% 이었다.
쪽의 함유성분 분석기법을 통한 출원품종의 DUS 시험평가 개발
배태웅 ( Tae Woong Bae ) , 이로영 ( Ro Young Lee ) , 권용락 ( Yong Rak Kwon ) , 김태훈 ( Tae Hoon Kim ) , 조경진 ( Kyung Jin Cho ) , 권오웅 ( Oh Woung Kwo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30(총1페이지)
출원품종의 심사를 위한 재배시험은 산림자원식물의 특성조사요령에 따라 식물의 형태적 표현형 비교를 통해 신규성, 구별성, 균일성, 안정성을 평가하고 있다. 최근 염료 및 기능성 성분에 대한 출원품종이 증가하고 있지만 출원품종의 특정 대사산물의 존재유무 및 함량에 대한 분석기법 적용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쪽의 품종심사를 위한 함유성분 분석기법을 도입하여 DUS특성검정을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출원중인 쪽과 천연쪽을 사용하였고, 특성 검정항목은 농업 생산성, 쪽의 염료인 니람, 니람에 함유된 인디고, 인디고의 전구물질인 인디칸(indoxyl glucoside) 등의 관련대사물질 함량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HPLC-DAD(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diode array detecto...
자생지별 해국 계통의 형태학적 특성연구
이로영 ( Ro Young Lee ) , 배태웅 ( Tae Woong Bae ) , 김태훈 ( Tae Hoon Kim ) , 권용락 ( Yong Rak Gwon ) , 조경진 ( Kyung Jin Cho ) , 권오웅 ( Oh Woung Kwo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31(총1페이지)
해국은 우리나라 및 일본의 해안가에 분포하고 있는 중요한 유전자원 이다. 본 연구는 해국의 재배시험 특성조사 방법 개발을 위하여 국내 자생지에서 수집한 계통별 종자를 이용하여 발생단계별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해국 종자수집 지역은 변산, 영랑동, 동명동 3지역에서 채집하였고, 수집된 종자는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포지에 파종하여 발생시기별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형태적 특성 조사는 종자에서 발아된 유묘로부터 개화기까지 식물체의 높이, 줄기 및 가지 수, 잎의 길이 및 너비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해국은 종자로부터 개화기까지 2년이 소요되었고, 해국 1년생 개체에서 식물체 높이를 비교한 결과 동명동 집단(약 19.5cm)이 영랑동과 변산면 집단들(약 33.0cm) 보다 왜성형질이 나타났다. 잎의 크기는 차엽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나 약 11~20차엽의 경...
서울 용마산 소나무군락의 구과 및 종자 발달 특성
최진영 ( Jin Young Choi ) , 최규성 ( Kyu Seong Choi ) , 송기선 ( Ki Seon Song ) , 윤국상 ( Kook Sang Yoon ) , 성환인 ( Hwan In Sung ) , 김종진 ( Jong Jin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332(총1페이지)
본 연구는 서울 용마산 소나무군락의 구과 및 종자의 발달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남서사면과 북동사면에 분포하고 있는 군락을 대상으로 2013년 3월 9일부터 10월 1일까지 수행되었다. 조사 초기부터 비슷한 생장을 보이던 두 조사지의 구과는 6월 3일 이후 남서사면 소나무의 구과 크기가 빠르게 생장하면서 구과의 길이와 폭에서 차이를 보였지만, 8월 9일경부터는 그 차이가 작아지기 시작하였다. 한편, 10월 1일 마지막조사에서는 남서사면 소나무의 구과 길이가 4.5mm, 북동사면은 4.2mm로 조사되어 서로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종자발달의 경우, 처음에는 비슷한 생장을 보이다가 5월 28일부터 남서사면의 종자가 빠르게 생장하여 6월 24일에는 남서사면의 종자 길이는 4.5mm, 북동사면의 종자 길이는 2.7mm로 조사 기간 중 가장 큰 차이로 기...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