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수산과학회지419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 서해산 참조기의 연령과 성장
정상철 ( Sang Chul Chung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0] 제3권 제3호, 154~160페이지(총7페이지)
우리 나라 서해안의 참조기를 대상으로 1967년 6월부터 1968년 5월 사이의 자료에서 체장, 체중 및 인문(鱗紋)조사를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윤문은 연1회 형성되고, 형성 시기는 4∼7월로, Bae(1960)가 발표한 산란기와 일치되고 있다. 2. 윤군(輸群)별 각 윤경 (輸徑)의 평균 성장률은 0.73이었다. 3. 체장(total length)과 인경(鱗徑)과의 관계는 직선 회귀로,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L= 61.350R+50.184 4. 체중과 체장(total length)과의 관계는 지수 곡선으로 다음과 같다. W= 4.298L^(3.227)×10^(-3) 5. Walford의 정차도에 의하여 산출린 이론적인 최대 체장은 347.9㎜이었고,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L_(n+1)=0.6...
보리새우의 섭이와 성장
최상 ( Sang Choe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0] 제3권 제3호, 161~171페이지(총11페이지)
보리새우(Penaeus japonicus Bate)의 攝餌量, 晝間, 夜間 攝餌率과 日間 攝餌率, 餌料의 種類에 따른 攝餌率의 差異, 보리새우의 成長과 餌料의 轉換效率등에 관해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새우의 攝餌率은 水溫範圈 19∼30℃, 體重範圍 1.6∼14.9g에서 水溫이 높을수록, 또 새우의 크기가 작을수록 커지며, 평균 日間 攝餌率은 18∼44%에 달한다. 2. 항상 夜間 攝餌率이 畵間 攝餌率보다 크나, 無底質, 暗狀態 또는 直接光線을 피한 飼育狀態에서는 晝間에도 日間 攝餌率의 22∼37%의 攝餌를 이룩할 수가 있어, 그만큼 보리새우의 成長을 促進시킬 수가 있겠다. 3. 멸치와 바지락의 두가지 餌料에서는 晝夜의 區別없이 멸치를 한층 더 많이 攝取하였으며, 日間 攝餌量중에서 멸치 및 바지락肉의 攝餌率은 각각 12.9%, 10....
비식용해조의 사료효과 증진에 관한 연구 제2보 중추 및 대추의 사료가치시험
박원기 ( Won Ki Park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0] 제3권 제3호, 172~176페이지(총5페이지)
보리새우(Penaeus japonicus Bate)의 攝餌量, 晝間, 夜間 攝餌率과 日間 攝餌率, 餌料의 種類에 따른 攝餌率의 差異, 보리새우의 成長과 餌料의 轉換效率등에 관해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새우의 攝餌率은 水溫範圈 19∼30℃, 體重範圍 1.6∼14.9g에서 水溫이 높을수록, 또 새우의 크기가 작을수록 커지며, 평균 日間 攝餌率은 18∼44%에 달한다. 2. 항상 夜間 攝餌率이 畵間 攝餌率보다 크나, 無底質, 暗狀態 또는 直接光線을 피한 飼育狀態에서는 晝間에도 日間 攝餌率의 22∼37%의 攝餌를 이룩할 수가 있어, 그만큼 보리새우의 成長을 促進시킬 수가 있겠다. 3. 멸치와 바지락의 두가지 餌料에서는 晝夜의 區別없이 멸치를 한층 더 많이 攝取하였으며, 日間 攝餌量중에서 멸치 및 바지락肉의 攝餌率은 각각 12.9%, 10....
전복의 증식에 관한 연구
변충규 ( Choong Kyu Pyen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0] 제3권 제3호, 177~186페이지(총10페이지)
1. 1969년 10월에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를 제료로 하여 간출 자극에 의한 산란 유발 시험을 실시하여 다량의 수정란을 얻을 수 있었으며 수정율은 1차가 약50.0% 2차가 악30.0%였다. 2. 산란시의 수온은 16.0°∼23.0℃ 내외였으며 사육 수온 14.0∼18.8℃ 범위에서 발생 경과 시간은 Torchophore기(담륜자)까지는 약 22시간, Veliger기(피면자)까지는 악 34시간, 부유 유생기까지는 2.5∼3일이 경과되었으며 7일 경과후부터 부착이 시작되어 9일째는 섬모가 없어지면서 부착이 완료되었다. 이어서 주구각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첫 호수공은 110일만에 생겼다. 3. 10월 10일에 산란 부화한 유생의 성장크기는 15일만에 0.40 ㎜로...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 MIERS ) 의 종묘 생산에 관한 연구
변충규 ( Choong Kyu Pyen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0] 제3권 제3호, 187~198페이지(총12페이지)
1970년 7월 11일에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 (Miers)의 인공 부화를 실시하여 조이야 유생으로부터 성체형 꽃게 새끼로 된 후 9회 탈피할 때까지의 성장 과정을 조사하였다. 1. 어미 게의 갑폭(C)과 포란수(E)와의 관계는 E=27.9049C-281.8155의 식으로 표시되었고, 체중 (W)과 포란수 (E)와는 E=0.5682W-116.4606의 관계식으로 표시되었다. 2. 조이야 유생은 수온 21.4∼25.2℃범위에서 5회를 탈피하여 13∼14일만에 메갈로파 유생기로 변태하였고, 조이야 유생기의 1회 탈피 기간은 평균 2∼3일이 소요되었다. 3. 메갈로파 유생의 배갑폭 평균 길이는 1.70 ㎜ 였고, 배갑 후면에서부터 전두극 끝까지의 길이는 평균 ...
한국 남해안의 취송류 계산
장선덕 ( Sun Duck Chang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0] 제3권 제3호, 199~206페이지(총8페이지)
한국 남해 연안 해역의 바람 자료를 사용하여 Palme´n 식에 의해 순별 취송류를 계산하였다. 한국 남해안의 바람의 특성에 관하여도 간단히 언급하였다. 바람의 응력과 취송류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하여는 아직도 해결되어야 할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이 계산 결과는 한국 남해안의 개략적인 취송류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멸치 Vinegar 절임시의 산도와 효소 활성
하봉석 ( Bong Suk Ha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0] 제3권 제4호, 207~212페이지(총6페이지)
멸치절임의 숙성 및 저장 중의 효소 활성 VBN, 세균수, 식염 함유량, 산도, amino-N, pH 그리고 지방의 산가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rotease 활성은 염수 염장 중에는 증가하고 절임 중에는 식초산의 영향으로 감소하고 이후 차차 거의 일정하게 변화하며 이에 따라 amino-N는 대개 증가하여 숙성한다. 2) Lipase 활성은 염수 염장 중에는 감소하며 vinegar의 첨가로 일단 증가하였다가 절임중에는 증감의 일정한 경향을 볼 수 없다. 그리고 산도는 대개 증가하고 있다. 3) VBN와 NaCl 농도는 염수 염장 중에는 급격히 증가하고 절임 중에서는 VBN는 완만한 증가를 하며 Nacl농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4) 세균수는 염수 염장함으로써 줄었다가 다시 증가하며 절임함으로써 급격한 ...
한국 연안의 Vibrio parahaemolyticus 에 관한 연구 1. V . parahaemolyticus 의 분포에 관하여
이원재 , 최위경 , 전세규 ( Won Jae Lee , Wi Kyung Choe , Seh Kyu Chun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0] 제3권 제4호, 213~218페이지(총6페이지)
저자등은 우리 나라의 연안에 있어 V. parahaemolyticus의 분포를 파악하고 나아가서 식중독 원인 구명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해, 남해, 서해등 연안 해역의 해수, 어개류 및 이토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969년 9월부터 11월까지에 걸쳐 인천, 서천, 군산, 목포, 여수, 남해, 충무, 부산, 포항 등지의 해수, 이토, 어류, 패류, 두족류, 갑각류등 모두 517 시료중 56 균주의 V. parahaemolyticus를 분리하였다. 2. 시료별 분포는 이토가 36시료중 6균주, 해수 44 시료중 7균주, 어류 241 시료중 28균주, 두족류 34 시료중 2균주, 갑각류 50 시료중 1균주를 분리하였는데, 전 시료가운데서 이토가 가장 높은 분포율을 나타내었다. 이것을 각 ...
보리새우 Penaeus japonicus Bate 춘계 산란군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
변충규 ( Choong Kyu Pyen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0] 제3권 제4호, 219~227페이지(총9페이지)
1. 거제도 동쪽 연안의 보리새우 어장에서는 5월부터 10월까지 어획이 되고 있으나 성어기 는 6월과 9월에 두번 이루어지고 있다. 2. 능포 지선에 출헐하는 보리새우 암컷의 두흉갑장의 모오드는 5월에는 51∼55㎜, 6월에는 51∼60㎜, 의 것이 약 80%를 차지하게 되며, 7월에는 현저한 모오드는 보이지 인고 41∼50㎜의 소형의 것이 출현하기 시작하고, 8월에는 46∼50㎜의 것이 모오드를 나타내고 있었다. 3. 수컷의 두흉갑장의 모오드는 5월에 는 41∼45㎜, 6월에는 46∼50㎜, 7, 8월에는 다시 41∼45㎜의 것이 나타내고 있었다. 4. 본종은 봄과 가을에 출현하는 2개의 계통군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일부의 군은 혼입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5. 5월에서 8월까지 능포 지선에서 출현하는 보리새우의 ...
제주도 및 낙동강산 은어군의 형태 측정학적 분석
김을배 ( Eul Bae Kim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0] 제3권 제4호, 228~232페이지(총5페이지)
제주도산 은어의 체형이 왜소(倭小)한 것이 종족적 형질에 기인하여 별개의 어군에 속하는 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낙동강산과 형태 측정확적 견지에서 비교 분석하고 검정하였다. 표본은 1968년부터 1969년에 걸쳐 제주도 천지천(天地川)과 낙동강 지류의 밀양천(密陽川)산 은어를 수시로 채집한 것으로서, 체장과 두장이 측정치를 회귀법에 의한 공분산 분석으로 E-분포의 유의성을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1.023(n₁=1, n₂=42)로 양 어군간에 유의성이 인정되며 동일 모집단의 어군으로 볼 수 있었다. 2) 낙동강산과 제주도산의 회귀 계수는 각각 b=0.167라 b=0.185 였으며 이들 양 회귀 계수간의 차에 있어서도 역시 유의성이 검정된다. 3) 결과적으로 제주도산 은어군의 체형이 왜소(倭小)한 것은 종족적 형질에서 기인된 것이 ...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