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462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건조 옥돔의 산화방지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송대진 , 신필현 , 허종화 ( Dae Jin Song , Pyl Hyun Shin , Jong Wha Hur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6] 제9권 제4호, 239~244페이지(총6페이지)
乾燥옥돔의 油脂酸化防止를 目的으로 몇가지 抗酸化 劑處理를 行하고 脂肪의 移動 및 分布 그리고 組織細胞의 變化 等을 組織學的으로 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옥돔 乾燥中 初期段階에서는 皮下脂肪의 一部가 結締組織이나 筋節을 通하여 內部로 浸透하여 들어가나 期間이 길어지면 남어지 脂肪은 外部로 渗出하였다. 皮下脂肪이 없어진 組織은 筋細胞가 서로 密着하여 짐을 볼 수 있었다. 抗酸化劑 處理에 따른 組織上의 效果는 脂肪이 殘存하고 組織에도 變化가 적어 Tenox-Ⅱ와 BHA 處理 때가 가장 좋았다.
한국 남해의 동물성 플랑크톤 생산량 추정
김용술 ( Yong Sool Kim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6] 제9권 제4호, 245~249페이지(총5페이지)
1. 1967∼1973년까지 7개년간 한국 남해에서 국립수산진 흥원이 조사한 동물성 플랑크론 현존량 자료에서 동해역의 동물성 플랑크론 년간 총 생산량을 추정 하였다. 2. 남해역 59,800 ㎢에서 1년동안에 생산되는 동물성 플랑크톤 총량은 약 5.14×10^6∼10.27×10^6ton으로 추정되며, 면적당 평균 생산력은 86∼172ton/㎢/year이다. 3. 동해역에서의 영양단계간 에너지 전환효율 15%, 동물플랑크톤 부터 유용어족까지의 먹이 전환단계를 2로 볼 때, 남해역의 유용어족 잠재 생산력은 1.9∼3.9 ton/㎢/year로 추정된다.
산란기를 전후한 천지천산 은어 , Plecoglossus altivelis 의 비만도와 체장 체중관계
김을배 , 정상철 ( Eul Bae Kim , Sang Chul Chung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6] 제9권 제4호, 251~255페이지(총5페이지)
1. 1967∼1973년까지 7개년간 한국 남해에서 국립수산진 흥원이 조사한 동물성 플랑크론 현존량 자료에서 동해역의 동물성 플랑크론 년간 총 생산량을 추정 하였다. 2. 남해역 59,800 ㎢에서 1년동안에 생산되는 동물성 플랑크톤 총량은 약 5.14×10^6∼10.27×10^6ton으로 추정되며, 면적당 평균 생산력은 86∼172ton/㎢/year이다. 3. 동해역에서의 영양단계간 에너지 전환효율 15%, 동물플랑크톤 부터 유용어족까지의 먹이 전환단계를 2로 볼 때, 남해역의 유용어족 잠재 생산력은 1.9∼3.9 ton/㎢/year로 추정된다.
저동물질사료의 이용에 관한 실험
김인배 ( In Bae Kim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6] 제9권 제4호, 257~259페이지(총3페이지)
잉어를 低密度로 放養하고 同時에 飼料中의 動物性 蛋白性을 줄이는 實驗을 하였다. 水面積 454㎡의 못 3個에 各 못에 平均 81.2g되는 보통잉어 72尾와 平埼 37.8g되는 비단잉어 28尾를 放養 189日間 飼育한 結果, 動物質 20% 飼科의 못에서는 보통잉어가 平均 776.2g, 비단잉어 平均 504.2g, 總平均, 701.1g으로 자라고, 35%區에서는 各各 792.9g, 539.1g, 730.1g, 50%區에서는 各各 983.7g, 630.4g, 887.0g으로 자랐다. 이 實驗에서 1㏊當 生産高가 20%區에서 1,352㎏, 35%區에서 1,495㎏, 50%區에서 1,447㎏였으므로 養魚池에서의 普通生産高의 1/2에 未達되었으며 이 程度의 低密度養魚에서는 飼料蛋白質의 量을 減少시켜서는 안된다는 結論이 나온다....
차넬메기의 산란
김인배 , 조재윤 ( In Bae Kim , Jae Yoon Jo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6] 제9권 제4호, 261~263페이지(총3페이지)
1. 韓國에서 처음으로 1975年 차넬메기의 種苗生産을 爲해 池中産卵을 試圖하였으나 朱敗하였고 1976年 다시 池中産卵을 試圖하고, 또 Pen cage式 産卵을 試圖하면서 腦下垂體 hormone 注射도 하였으나 産卵하지 않았다. 그러나, 展示用으로 水槽에 둔 암컷 4마리, 수컷 1마리중 1쌍이 1976年 7月 産卵하였다. 2. 産卵한 水槽의 條件은 室內에서 循環處過式飼育 裝置로 pH는 7.2∼7.4의 範圍로 雄持되었고 水溫變化는 Table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旬間 平均 19.3℃에서 23.6℃까지 서서히 變化하였다. 3. 産卵에 失敗한 池中에 처음 注入된 물은 地下水로서 室內의 展示州 水槽에 使用된 물과 같은 水源의 물이며, 水溫은 75年에는 旬間 平均 17.2∼29.8℃의 範圍있고 76年에는 19.7∼28.4℃로 産卵에 適當한 範圍內라고 認定되었으나...
치료약품이 잉어에 미치는 영향
전세규 ( Seh Kyu Chun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6] 제9권 제4호, 265~271페이지(총7페이지)
1. 韓國에서 처음으로 1975年 차넬메기의 種苗生産을 爲해 池中産卵을 試圖하였으나 朱敗하였고 1976年 다시 池中産卵을 試圖하고, 또 Pen cage式 産卵을 試圖하면서 腦下垂體 hormone 注射도 하였으나 産卵하지 않았다. 그러나, 展示用으로 水槽에 둔 암컷 4마리, 수컷 1마리중 1쌍이 1976年 7月 産卵하였다. 2. 産卵한 水槽의 條件은 室內에서 循環處過式飼育 裝置로 pH는 7.2∼7.4의 範圍로 雄持되었고 水溫變化는 Table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旬間 平均 19.3℃에서 23.6℃까지 서서히 變化하였다. 3. 産卵에 失敗한 池中에 처음 注入된 물은 地下水로서 室內의 展示州 水槽에 使用된 물과 같은 水源의 물이며, 水溫은 75年에는 旬間 平均 17.2∼29.8℃의 範圍있고 76年에는 19.7∼28.4℃로 産卵에 適當한 範圍內라고 認定되었으나...
황아귀 , Lophius litulon ( Jordan ) 의 자어기의 형태
김용억 ( Yong Uk Kim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6] 제9권 제4호, 273~280페이지(총8페이지)
1976年 6月 20日에 海雲台 冬栢섬 沿岸에서 採集된 황아귀의 仔魚를 材料로 하여 初期生活史에 따른 形態變化 過程中 등지느러미 離棘, 배지느러미, 色素胞 및 消化管의 發適過程과 아가미, 시조 및 齒牙등의 形成過程에 關하여 觀察하였다. 1. 第1등지느러미 第1棘의 原基는 孵化直後인 2.7㎜前後에 생겨나 6.30㎜ 前後에서 棘의 形態로 分化되며, 第2棘은 5.82㎜ 前後에 原基가 나타나고 弟3棘은 6.45㎜ 前後에서 原基가 나타나 分化되는 것같다. 2. 배지느러미는 2.7㎜ 前後에 가슴지느러미의 바로 뒤쪽에서 原基가 나타나고, 처음에는 半圓形으로 솟아나듯 하든 것이 차츰 發達함에 따라 뒤쪽으로 향해 棍棒狀으로 길어지고, 全長 6.35㎜ 前後에서 全長의 1/2 程度의 크기로 發達하며, 가는 두 줄의 지느러미 줄기가 나타난다. 3. 色素胞의 發達...
Venezuela 국 Cocineta 호산 Mangrove oyster 의 채묘시기
류성규 , 조창환 , 류명숙 ( Sung Kyoo Yoo , Chang Hwan Cho , Myung Suk Yoo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6] 제9권 제4호, 281~285페이지(총5페이지)
1976년 2월부터 5월까지 사이에 Venezuela國 서북부에 있는 Cocineta湖産 굴의 採苗時期에 대하여 조사했다. 수분 함량 중 개체간의 수분 함량 범위는 2월에서 부터 5월로 되면서 차차 넓어졌고, 月別 수분 함량의 평균 값은 그 범위가 80.67∼82.25%로서 큰 차가 없었다. 성숙 부유 유생 및 전 부유 유생의 출현수로 부터 채묘 시기로서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시기는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 사이이고 채묘 장소로서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곳은 station 3이었으며 그 다음이 station 4였다.
Trawl 어선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고장권 ( Jang Gweon Go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6] 제9권 제4호, 287~292페이지(총6페이지)
1) A船型은 排水量이 2,400嚬인 경수 KG의 값이 3.40m, 3.70m때 安定狀熊를 나타내었으며 排水量이 1,600嚬 1,900嚬 2,200嚬일 경우는 KG의 값이 3.40m 때 어느程度 安定範圍에 있음이 判定되었다. 2) B船型은 批水量이 2,400嚬인 경우 KG의 값이 3.40m때 만이 어느 程度 安定範圍에 있으나 排水量이 1,300∼2,200嚬일 경우 KG값이 3.40∼4.60m때는 모두 危險範圍에 있음이 判定되었다. 3. A船型은 GM의 값이 2.14m이고 GZ_(max) 1.395m 때 安定範圍에 있고 B船型은 GM의 값이 2.14m이고 GZ_(max) 1.890m때 어느程度 安定範圍에 있음이 判定되었다.
그물감의 강도에 관한 연구 (3) 관통형 그물감의 마디의 강도
김대안 ( Dai An Kim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한국수산과학회지 [1976] 제9권 제4호, 293~298페이지(총6페이지)
관통형 그물감의 강도를 추정하기 위한 기초로서, 그물실의 강도가 관통마디에서 감소하는 기구 및 주름을 주었을 때의 관통마디의 강도를 조사하고, 이들 강도를 매듭의 강도와 비교하였다. 실험에는 vinylidene(mono-f.), polyester(multi-f.) 및 nylon(multi-f.와 spun) 그물감이 사용되었으며, 관통마디의 시료는 이들 그물감을 재단하여 준비하였고, 또한 매듭은 이들 그물감의 다리로 만들어졌다. 실험 결과, 그물실의 강도가 관통마디에서 감소하는 원인은 마디에서의 편자사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마디의 첨단, 즉 마디와 다리와의 경계에 위치한 섬유들이 장력에 의해서 재분포하는데 마찰력만큼 저항을 받게 되고, 따라서 마찰력만큼 강도가 감소하는 것이라고 해석되었다. 그러나, 그 감소의 정...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