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환경생태학회지152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강원도 산지계류 내 유목의 기원과 현존량
김석우 ( Suk Woo Kim ) , 전근우 ( Kun Woo Chun ) , 서정일 ( Jung Il Seo ) , 임영협 ( Young Hyup Lim ) , 남수연 ( Sooyoun Nam ) , 장수진 ( Su Jin Jang ) , 김용석 ( Yong Suk Kim ) , 이재욱 ( Jae Uk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3호, 249~258페이지(총10페이지)
이 연구는 강원도 산림유역 내 수계(총 11개 계류)를 대상으로 유목의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유목의 발생기원 추적과 함께 하천차수별 현존량과 분포형태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산림유역관리기술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1,207개 유목의 개체목 형태를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1) 수간만 있는 것 1,142개(95%) 및 수간과 근주가 함께 있는 것 65개(5%), (2) 자연목 1,015개(84%) 및 벌채목 192개(16%), (3) 침엽수 1,050개(87%) 및 활엽수 157개(13%)로 나타났다. 유목의 현존량(m3/ha)은 1차수 105.4, 2차수 71.3 및 3차수 35.6으로 하류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반면 유목의 총량에 대한 유목군의 비율은 1차수 11%, 2차수 43% ...
TAG 형태, 현존량, 임령, 산림관리, MORPHOLOGICAL FEATURE, IN-STREAM LWD LOAD, STAND AGE, FOREST MANAGEMENT
식재설계에 활용 가능한 식물사회네트워크 시각화 및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산림식생지역을 중심으로 -
이상철 ( Sang-cheol Lee ) , 최송현 ( Song-hyun Choi ) , 조우 ( Woo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3호, 259~270페이지(총12페이지)
식물사회네트워크란 식물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기존의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사회과학에서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을 접목하여 식물사회연결망을 시각화하고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구축 및 분석 과정은 조사구 설정 및 출현수종 조사, 종간결합분석, 소시오그램 작성, 네트워크 구조 및 중심성 분석 순으로 진행된다. 식물사회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해안식생과 내륙식생을 동시에 볼 수 있는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다양한 상관우점식생이 포함되도록 708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출현 수종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출현한 수종은 모두 195종이었으며, 상록수 42종, 낙엽수 151종, 반상록수 2종으로 나탔으며, 전체 출현수종을 중심으로 종간결합분석을 실시하였다. 종간결합 분석 결과, 친화종수는 사스레피나무(47종), 마삭줄(46종), 감태나무(44종),...
TAG 종간결합, 소시오그램,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종 조합, INTERSPECIFIC ASSOCIATION, SOCIOGRAM, CENTRALITY ANALYSIS OF NETWORK, SPECIES COMBINATION
구지도, 칠산도 저어새 유조의 행동권 비교 연구
손석준 ( Seok-jun Son ) , 강정훈 ( Jung-hoon Kang ) , 권인기 ( In-ki Kwon ) , 김달호 ( Dal-ho Kim ) , 이기섭 ( Ki-sup Lee ) , 유정칠 ( Jeong-chil Yoo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2호, 99~105페이지(총7페이지)
철새는 다양한 번식지와 월동지를 이용하며, 특히 멸종위기 종의 번식지와 취식지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종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저어새는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국제적인 멸종위기 종으로 전 세계 번식 개체군의 대부분이 한반도 서해 무인도서에서 번식하며, 대만과 홍콩, 중국 남부 지역, 일본, 제주도 등에서 월동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도 인천 구지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체와 영광 칠산도에서 번식한 저어새 유조 3개체를 대상으로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하여 저어새 유조의 행동권을 분석, 비교하였다. 구지도 저어새 유조 3개체의 경우 북한 황해남도와 강령군 등의 해안지역에서 행동권을 보였으며, 행동권 크기는(Mean±SD) MCP 425.49±116.95 km2, KDE 95% 43.61±18.51 km<...
TAG 갯벌, 번식지, 서식지, 저어새, 행동권, BLACK-FACED SPOONBILLS, BREEDING SITE, HABITAT, HOME RANGE, TIDAL FLAT
한국 온라인 펫샵에서 거래되는 외래 양서파충류 현황
구교성 ( Kyo Soung Koo ) , 박혜린 ( Hye Rin Park ) , 최재혁 ( Jae Hyeok Choi ) , 성하철 ( Ha 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2호, 106~114페이지(총9페이지)
교통수단의 발달과 애완동물 시장의 확장은 외래생물의 국가 간 이동을 증가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게다가 최근 인터넷을 통한 판매는 애완동물 거래를 활성화하는 요인이 된다. 국내의 경우, 외래생물의 수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수입된 외래생물들이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거래되고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야생에서 발견되는 외래생물 대부분이 방생의 결과라는 점을 고려하면, 애완동물의 거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야생으로 유입될 수 있는 잠재적인 외래생물을 파악하는 것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1월 22일에서 2월 10일까지 총 25개 온라인 펫샵을 대상으로 판매되고 있는 외래 양서파충류의 종수, 빈도, 가격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총 677종의 외래 양서파충류가 판매되고 있었으며, 그 중 뱀류이나 도마뱀류를 ...
TAG 외래생물, 인터넷, CITES, 멸종위기종, 생태계교란야생생물, EXOTIC SPECIES, INTERNET, ENDANGERED SPECIES,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가리왕산 지역의 개미 고도별 분포
조경연 ( Kyoung-yeon Cho ) , 김일권 ( Il-kwon Kim ) , 류동표 ( Dong-pyeo Lyu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2호, 115~120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는 생물 다양성의 지표종인 개미류의 시기별 우점종 및 개체군 변동을 살펴보고, 추후 기후변화에 따른 개체군변화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 기간은 2013년 6월부터 9월까지 고도별 조사 지점을 선정하고, 함정트랩을 사용하여 정방형조사법(10m×10m)으로 개미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고도별 조사 결과, 총 3아과 11속 14종 15,466개체가 채집되었다. 낮은 고도(700m)에서 13종 4,548개체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우점종은 일본장다리개미(49.9%)로 나타났고, 중간 고도(900m)에서 8종 9,129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으로 극동혹개미(57.7%)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높은 고도(1,100m)에서 10종 1,789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우점종으로 코토쿠뿔개미(43.3%)가 확인되었다. 고도별로 일본장다리개미,...
TAG 곤충군집, 함정트랩, 기후변화, 개미, INSECT COMMUNITY, PITFALL TRAP, CLIMATE CHANGE, ANT
사방댐이 설치된 산지계곡의 장마 전·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화
안채희 ( Chae-hui An ) , 한중수 ( Jung-soo Han ) , 최준길 ( Jun-kil Choi ) , 이황구 ( Hwang-g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2호, 121~129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설치된 사방댐을 대상으로 장마 전·후의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사방댐에 의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시기는 2019년 3월부터 9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지점은 불투과형 사방댐(전석), 투과형 사방댐(버트리스), 대조지역을 선정하여 사방댐을 기준으로 상류 2지점, 하류 2지점을 조사하였다. 유속은 불투과형, 투과형, 대조지역의 지점에서 대부분 증가하였으며, 불투과형은 St. 3에서 장마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는 장마 이후 대부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투과형과 대조지역의 개체수 감소율은 전석에 비해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EPT 그룹의 종수 및 개체수는 장마 이후 대부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도 분석...
TAG 사방댐, 유속, EPT 그룹, EROSION CONTROL DAM, FLOW VELOCITY, EPT GROUP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곤충상 분석
강승호 ( Seung-ho Kang ) , 홍의정 ( Eui Jeong Hong ) , 박정원 ( Jeong-won Park ) , 정종철 ( Jong-chul Je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2호, 130~141페이지(총12페이지)
우리나라의 국립공원은 자연공원법에 의거하여 5년에 1번씩 자연자원의 조사를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3기 자연자원조사(2010~2018)로 수행된 21개 국립공원의 곤충다양성을 분석하여, 각 국립공원별 곤충 다양성 및 국가 생물다양성 대비전체 국립공원의 곤충다양성을 분석하고, 각 분류군별로 채집되지 못한 소분류군에 대해 분석과 법정보호종에 대한 분석도 함께 수행하였다. 본 3기 자연자원조사를 통해 밝혀진 전체 국립공원의 곤충 종 다양성은 21목 356과 5,584종으로 국가곤충생물다양성 17,848종의 약 31.3%에 해당한다. 분류군별로는 나비목이 2,195종으로 가장 많이 발견되었고, 뒤를 이어 딱정벌레목(1,495종), 벌목(712종) 노린재목(515종) 등의 순이었다. 국립공원별로는 오대산이 1,963종으로 가장 많은 종 수가 조사되었고, 그...
TAG 곤충상, 국립공원, 법정보호종, INSECT-FAUNA, NATIONAL PARK, LEGALLY PROTECTED SPECIES
한강지류 경안천의 어류군집 특성
최광식 ( Kwang-seek Choi ) , 한미숙 ( Mee-sook Han ) , 강동원 ( Dong-won Kang ) , 고명훈 ( Myeong-hun Ko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2호, 142~156페이지(총15페이지)
한강지류 경안천의 어류 군집 특성을 밝히기 위해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48개 지점에서 족대와 투망으로 채집된 어류는 11과 40종이었다. 우점종은 피라미(Zacco platypus, 48.0%), 아우점종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17.7%), 그 다음으로 돌고기(Pungtungia herzi, 6.8%), 참갈겨니(Zacco koreanus, 5.0%), 붕어(Carassius auratus, 4.3%), 긴몰개(Squalidus gracilis majimae, 2.7%), 떡납줄갱이(Rhodeus notatus, 2.5%)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한국고유종은 14종(35.0%)이었고, ...
TAG 어류상, 군집구조, 하천건강성, 외래어종, FISH FAUNA, COMMUNITY STRUCTURE, RIVER HEATH INDEX, EXOTIC SPECIES
사스레피나무 군락의 생태적 특성 및 식생구조 분석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장정은 ( Jung-eun Jang ) , 이상철 ( Sang-cheol Lee ) , 최송현 ( Song-hy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2호, 157~169페이지(총13페이지)
부산광역시 내 사스레피나무를 중심으로 한 생태적 특성 및 식생구조 파악을 위하여 사스레피나무가 출현한 조사구(면적 100m2) 89개를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 및 DCA 분석을 통해 89개의 조사구는 졸참나무-소나무-사스레피나무 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 군락, 곰솔-동백나무 군락으로 총 3개의 군락으로 나뉘었다. 군락 Ⅰ은 졸참나무-소나무-사스레피나무 군락으로 해발고도가 높은 내륙에 주로 분포하며, 교목층에 졸참나무와 소나무가 경쟁관계인 상태에서 아교목층에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하였고 극상 수종 중 하나인 개서어나무가 관목부터 교목층까지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어 향후 낙엽성 참나무류 또는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군락 Ⅰ에서 사스레피나무는 다른 상록활엽수에 비해 ...
TAG Pearson 상관계수, 상록활엽수, TWINSPAN, DC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EVERGREEN BROAD-LEAVED
경관지수를 활용한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 분비나무개체군의 서식지 특성
이호영 ( Ho-young Lee ) , 박홍철 ( Hong-chul Park ) , 이나연 ( Na-yeon Lee ) , 이호 ( H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2호, 170~178페이지(총9페이지)
분비나무 등 국내 아고산대 서식지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분석 사례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에 자생하고 있는 분비나무개체군을 대상으로 식피율 차이에 따른 15가지 경관지수 분석을 통해 서식지 특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평가하고자 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내 자생하고 있는 모든 분비나무 서식지를 대상지로 설정하였다. 설악산 국립공원 내 분비나무군락의 식피율 증·감에 따른 경관생태학적 경향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다만, 식피율 50% 미만의 분비나무 서식지가 전체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만큼 설악산국립공원의 분비나무 서식지는 전반적으로 낮은 피도와 개체밀도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피율 10~50% 구간의 분비나무 서식지는 총 286개의 패치로 파편화되어있어 서식지 연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
TAG 공간정보, 지리정보, 패치, 파편화, SPATIAL, GIS, PATCH, FRAGMENT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