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115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환경디자인의 공공적 특성 연구 -서울역 7017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박남진 ( Namjin Par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16] 제11권 제6호, 39~48페이지(총10페이지)
현대사회는 점점 인간, 사회, 경제, 환경의 구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이제 어느 한 공간이나 장소만을 개선함으로써 인간 환경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워졌다. 또한 산업구조의 변화와 장기적 경기침체현상은 우리사회에 재개발보다 재생으로 전환하는 추세를 이끌고 있다. 이 과정에서 폐 공장과 그 주변 그리고 폐 철도나 고가 위와 같은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공공 영역들이 출현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공공장소의 디자인 문제해결은 어느 한 분야의 전문영역으로는 접근하기 어렵다. 기존 조형예술의 범주에서 규모를 중심으로 구분하여 온 실내, 건축, 조경, 도시와 같은 전통적인 구분은 이제 인간의 삶의 터전을 유기적 관점에서 인식하는 환경디자인의 개념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 환경디자인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 이후 환경 문제가 널리 알려지게 되면...
TAG Environmental Design, Publicness, Participatory design, Integrate Design, Sustainable Design, 환경디자인, 공공적 특성, 참여설계, 통합디자인, 지속가능한 디자인
국내외 도시재생 사업의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
신윤재 ( Yoonjae Shin ) , 이소연 ( Soyeon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16] 제11권 제6호, 157~172페이지(총16페이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도시계획의 주제는 `도시재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도시재생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들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에 있어서, 특히 거버넌스에 집중하여 국내외 주요 정책 및 사례를 살펴보는데 있다. 도시재생 관련 사업이 어떠한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집행되는지, 국내외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민관협력에 의한 파트너십의 차원에서 해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연구의 범위는, 시간적으로는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도시재생 거버넌스에 관한 최근 5년간의 동향변화를 파악하여 변화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며, 공간적으로는 한국, 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등 각 국가의 거버넌스 측면과 런던, 파리, 뉴욕, 시애틀, 도쿄 등각 도시의 도시재생 사례를 조사하여 거버넌스와...
TAG Urban Regeneration, Governance of Urban Regeneration, Partnership, Private Communities, People-Participating Process, 도시재생, 도시재생 거버넌스, 파트너십, 민간 커뮤니티, 시민참여 프로세스
오감형 가상현실 콘텐츠 사례연구
차은지 ( Cha Eun-ji ) , 한정엽 ( Han Jeong-yeob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16] 제11권 제5호, 9~17페이지(총9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최급변하는 기술의 발달과 함께 장비의 수준도 점차적으로 높아지며 가상현실이라는 기술이 일부에서만 사용되던 예전과 달리 일반인도 쉽게 접할 수 있을 정도로 보편화되고 다양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기술의 발달은 Experience자의 오감을 자극하여 보다 실제공간과 가상공간의 차이를 느끼지 못하고 가상공간 내에서 원활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는데, 이러한 발전은 아직 초기단계이며 현재 시각과 청각을 활용한 콘텐츠는 많이 등장하였지만 오감을 활용한 콘텐츠는 대중적으로 활성화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오감에 관련한 가상현실 콘텐츠 연구를 통하여 오감 가상현실 콘텐츠의 대중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가상현실에서 Experience자의 감각기관이 가상의 공간속에서 상호작용을...
TAG Five senses, Virtual reality, presence, existence, interaction, 오감, 가상현실, 실재감, 현존감, 상호작용
문화매개공간으로서 장터의 리좀적 공간특성연구
김철중 ( Cheol Joong Kim ) , 유진형 ( Jin Hyung Y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16] 제11권 제5호, 29~38페이지(총10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문화의 세기라 일컫는 21세기에 들어 문화 공간의 중요성은 더욱더 강조 되고 있다. 오늘날 문화공간은 특정 활동만을 담는 고정된 건축적 공간의 형태보다 다양한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유연한 경계로서의 공간형태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을 한국의 전통 장터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한국 전통 장터는 공간의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개개인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진 장소였으며, 생필품 교환 활동과 함께 윷놀이, 사당패놀이 등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이 이루어져 자연스럽게 지역의 정보가 소통하는 문화 매개 공간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터 공간의 특성을 리좀의 관점으로 살펴보고 문화매개공간으로서의 장터의 역할과 방향성을 제시하여, 현대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지역 문화의 단절을 극복하고 지역 공동체를 형성하는 문화 ...
TAG marketplace, rhizome, culture Intermediate Space, community, Shared Value, 장터, 리좀, 문화매개공간, 커뮤니티, 공유가치
패션브랜드 공간의 물성 발현 관계 연구-플래그십 스토어를 중심으로-
김문주 ( Moonju Kim ) , 이재규 ( Jaeg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16] 제11권 제5호, 65~78페이지(총14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최근 브랜드 사이에서 플래그십 스토어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고, 공간을 매개체로서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전달할 때 공간에 사용된 재료의 물성의 발현으로 인해 다양한 이미지나 메시지가 전달되며, 이러한 다양한 의미들은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치부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브랜드 공간에 대한 물성 발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재료에 따른 물성 발현에 대한 구조화이다. 이에 대한 기대효과는 공간을 매개체로서 패션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공감각적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패션 플래그십 스토어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물성 발현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였다. 물성 표현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추출된 키워드로 물...
TAG Physical properties, Brand space, Relationship, Flagship Stores, 물성, 브랜드 공간, 관계성, 플래그십 스토어
국내 프리미엄 푸드 마켓의 터치포인트 특성에 관한 연구
송에스더 ( Esther Song ) , 이재규 ( Jaeg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16] 제11권 제5호, 79~92페이지(총14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서비스산업이 확대되고 역할이 중요해 짐에 따라 우리는 수없이 많은 서비스에 둘러싸여 있다. 서비스는 더 이상 상품을 팔기위한 부차적인 요소가 아니라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을 발생시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인식되기 시작하였으며, 기업들은 소비자와 상호 작용하는 무형의 디자인의 중요성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그 중에서도 식품시장은 일반 소비계층과 고소득계층의 양극화가 심해짐에 따라 높은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함께 제공 받기 원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에서는 이러한 흐름에 맞춰 상품 고급화와 차별화된 서비스 전략의``프리미엄 푸드 마켓``을 선보여 가치소비의 확산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터치포인트 분석을 통해 구성 요소들을 세분화 하고 구조화 하여, 프리미엄 푸드 마켓의 사례연구에 적용 후, ...
TAG Service design, Premium food market, Spatial environment, Interaction, Consumption value, 서비스디자인, 프리미엄 푸드 마켓, 공간적 환경, 상호작용, 소비가치
메디컬 스파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김정신 ( Jungshin Kim ) , 임오연 ( Ohyon Y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16] 제11권 제5호, 93~104페이지(총12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의학과 과학의 발달과 생활환경의 개선으로 인간의 생명이 연장됨에 따라 노화방지, 스트레스 관리 등 예방의학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건강한 생활은 신체와 정신이 함께 균형을 이루면서 건강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파는 이러한 배경에 의해 대중들에게 신체와 정신을 웰빙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 할 수 있는 장소로 인식되어 많이 이용되고 있고, 스파산업의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스파는 인간의 신체와 정신을 수준 높은 웰빙을 목적으로 다양한 전문적인 서비스와 체계적인 관리가 제공되는 곳으로 요구되어 진다. 예방의학적 환경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문적인 예방의학 프로그램과 스파가 통합되어 이루어진 곳이 메디컬 스파이며 메디컬 케어와 웰니스(Wellness) 케어의 통합형태로 의료인에 의한 진단과 처방을 통하여 고객의 ...
TAG Medical spa, Spacial composition, Spac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 Medical spa program, Medical spa space, 메디컬 스파, 공간구성, 공간구성 특성, 메디컬 스파 프로그램, 메디컬 스파 공간
장소기억 기반 문화예술공간의 재생디자인에 관한 연구
안유미 ( Yumi Ahn ) , 김주연 ( Jooyun Kim ) , 백승경 ( Seong Kyung Bac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16] 제11권 제5호, 105~117페이지(총13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사회는 탈산업화시대를 거쳐 지식산업으로 변화하면서 도시 또한 새로운 사회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사회는 신도시 위주의 도시 확장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도시들이 생겨났으며 도시 슬럼화 양상을 띠게 된다. 이와 함께 낙후된 도시 곳곳에는 다양한 유휴 공간들이 생겨났다. 국가는 이러한 유휴 공간을 재생하고자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대부분 장소의 공간적 재활용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소기억을 통해 사람과 장소를 연결시켜주는 매개체로의 역할로써 장소의 의미와 상징을 부여하며 장소 정체성 형성을 위해 장소기억의 특징을 파악하고 공간 재생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가치와 장소기억을 활용한 국내외 문화예술공간의 사례조사를 통해 장소 재생을 위한 장소기억 문화예술공간의 재생 특성을 분석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장소기억 ...
TAG Place Memory, Placeness, Publicness, Culture and Art, Space Revitalization, 장소기억, 장소성, 공공성, 문화예술, 공간재생
국내ㆍ외 사례 분석을 통한 무대조명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송선용 ( Seonyong Song ) , 신동준 ( Dongjun Shin ) ,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16] 제11권 제5호, 119~128페이지(총10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오늘날 문화와 관련된 공연 및 행사가 지역별로 광범위하게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내용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다양한 형식과 주제로 사회적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공연 및 행사에 있어 주된 장소에 대한 공간적 환경은 많은 부분 변화하고 있는데 특히 외부 환경에 설치되는 비상설 무대 형식과 내용적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인 무대조명연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무대조명연출에 의하여 공연 및 행사의 결과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화와 관련된 공연 및 행사의 빈도가 매우 많아지는 상황에서 국내 무대조명 및 무대조명연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하고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가 부족하므로 학문적 측면에서 연구를 통한 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대조명연출에 대한 문헌적 측면의 일반적 고찰과 실무를 통한 실질적인...
TAG Stage lighting, State lighting directing, Non-Permanent Stage, Case study, Lighting effect, 무대조명, 무대조명연출, 비상설무대, 사례연구, 조명효과
NCS 기반 사인디자인 교과목 운영-2년제 전문대학의 환경디자인 전공교육을 중심으로-
이한나 ( Hanna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16] 제11권 제5호, 139~150페이지(총12페이지)
(배경 및 목적)정부는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인재와 교육현장에서 배출되는 인재의 직무능력 간에 괴리를 없애고, 일과 교육, 훈련, 자격을 연계하기 위해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제도를 도입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전문대학들은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표준체계를 토대로 산업체와 공동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NCS 수업 운영 후에는 운영하는 주체의 실정에 맞도록 최초 개발된 교육과정을 보완하고, 그 내용을 반영하여야 내실있는 인재가 양성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초 개발된 교육과정을 운영 후 발생된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무리하거나 미흡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교육내용을 수정·보완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서울소재 2년제 I대학교의 환경디자인전공 학과에서 운영...
TAG NCS, Environmental Design Instruction, Sign Design Instruction, 2 Years College Education, Design Education, 환경디자인교육, 사인디자인교육, 2년제 대학 교육, 디자인교육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