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공업화학회 AND 간행물명 : 공업화학384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수소 분리 응용을 위한 폴리벤즈이미다졸 기반 분리막의 연구 동향
김지현 ( Ji Hyeon Kim ) , 김기현 ( Kihyun Kim¸ ) , 남상용 ( Sang Yong Nam )  한국공업화학회, 공업화학 [2020] 제31권 제5호, 453~466페이지(총14페이지)
에너지 부족 및 환경 오염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잠재적인 해결책으로 수소 경제가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수소 생산은 필수적인 산업공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연소 전 석탄의 가스화 또는 천연가스 개질반응에 의해 생성된 합성가스에서 H2를 정제하는 동시에 CO2를 포집하는 H2/CO2 분리에 수소 분리막을 적용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고온 환경에서 H2에 선택적인 유리질 고분자 막은 CO2 포집 성능의 잠재력을 갖추고 있으며, 에너지 및 비용 면에서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폴리벤즈이미다졸(PBI) 기반 수소 분리막은 고온의 구동 조건에서도 탁월한 화학적·기계적 안정성을 ...
TAG Cross-linked PBI, Hydrogen separation membrane, High temperature gas separation, Polybenzimidazole, PBI membrane
고분자 태양전지를 위한 비공액형 고분자 전해질
라마티아피트리빈티나스룬 ( Rahmatia Fitri Binti Nasrun ) , 사브리나아우파살마 ( Sabrina Aufar Salma ) , 김주현 ( Joo Hyun Kim )  한국공업화학회, 공업화학 [2020] 제31권 제5호, 467~474페이지(총8페이지)
고분자태양전지는 용액공정에 의한 생산이 가능하여, 경량, 저비용, 기계적 유연성 및 고효율과 같은 많은 이점이 있다. 이들은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관심을 끌어왔다. 공액 고분자 전해질(conjugated polymer electrolyte, CPE) 및 비공액 고분자 전해질(non-conjugated polymer electrolyte, NPE) 재료는 기존의 금속 산화물 중간층과 관련된 일반적인 약점(전하 수집능력 저하 및 금속/고분자 계면에서의 상용성 저하 등)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CPE의 합성은 매우 복잡한 합성과정이 필요하며, 대량합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합성이 용이한 NPE를 개발 혹은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NPE를 이용하면 보다 쉽게 단점을 ...
TAG Polymer solar cell, Non-conjugated polyelectrolyte, Interfacial layer, Organic electronics, Photovoltaic device
Cu(II)-Lactic Acid와 Cu(II)-LMWS-Chitosan 착물의 DFP 가수분해반응 연구
계영식 ( Young-sik Kye ) , 정근홍 ( Keunhong Jeong ) , 김동욱 ( Dongwook Kim )  한국공업화학회, 공업화학 [2020] 제31권 제5호, 475~480페이지(총6페이지)
Lactic acid와 키토산을 Cu(II) 이온과 반응시켜 합성한 착물을 사용하여 유기인 유사 독성물질인 DFP (Diisopropyl fluorophosphate)분해반응에 적용하였다. Cu(II)-lactic acid 착물의 경우 homogeneous 상태에서 분해반응 반감기가 37. 1 min으로 분해성능이 우수하였다. 1 kDa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으로 합성한 Cu(II)-LMWS chitosan 착물은 결정화 후에는 용해도가 낮아 heterogeneous 한 상태에서 분해반응이 진행되었으며 그 반감기는 32.9 h이었다. 이 결과는 기존에 연구된 18 kDa 키토산 Cu(II)착물의 분해반응속도보다 약 16배 정도 증가된 것이다. Cu(II)-LMWS chitosan 착...
TAG Hydrolysis, Chitosan, Lactic acid, Diisopropyl fluorophosphate, Chelate
삼척항 표층퇴적물 내 유기물 및 중금속 분포 특성
신우석 ( Woo-seok Shin ) , 김영기 ( Young-kee Kim )  한국공업화학회, 공업화학 [2020] 제31권 제5호, 481~486페이지(총6페이지)
삼척항 내 표층 퇴적물에 대한 지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입도, 유기물 및 중금속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삼척항 퇴적물은 sand, silt, clay가 혼재된 특성을 보였으며, 내항에는 세립질이 우세하였고, 외항에는 조립질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층 퇴적물의 유기물(COD, TOC, IL) 오염정도는 내항이 외항보다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질소 및 총인 농도도 내항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중금속 농도도 외항보다 내항에서 더 높았다(As 제외). 내항 표층 퇴적물의 높은 유기물 농도 및 C/N비로 보아 육상 유래 유기물의 오염 기여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표층 퇴적물의 입도, 이화학적 성분, 중금속 간의 상관성 분석에서 silt-clay는 중금속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유기물 지표와 중금속간의 ...
TAG Surface sediment, Organic contamination, Heavy metals
폴리우레탄과 개질된 질화붕소로 이루어진 난연성 방열 복합체
김민규 ( Min-gyu Kim ) , 이창록 ( Chang-rock Lee ) , 조남주 ( Nam-ju Jo )  한국공업화학회, 공업화학 [2020] 제31권 제5호, 487~494페이지(총8페이지)
기존의 방열필름의 연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oly(tetra methylene glycol) (PTMG), 4,4’-methylenebis(phenyl isocyanate) (MDI)와 유기인이 도입된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개질한 질화붕소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과 개질된 질화붕소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제작하였다. Fourier transform-infrared (FT-IR) 분광 분석을 통해 질화붕소의 개질과 복합체의 합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측정을 통해 개질된 질화붕소의 함량에 따른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변화를 확인하였으며, layser flash analysis (LFA)와 UL94 측정을 통해 열적 특성을 조사하였...
TAG Heat radiating material, Thermal conductivity, Flame retardancy, Polyurethane composite, Modified boron nitride
Adsorptive Removal of Phosphate Ions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Zirconium Fumarate
( Phani B. S. Rallapalli ) , ( Jeong Hyub Ha )  한국공업화학회, 공업화학 [2020] 제31권 제5호, 495~501페이지(총7페이지)
기존의 방열필름의 연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oly(tetra methylene glycol) (PTMG), 4,4’-methylenebis(phenyl isocyanate) (MDI)와 유기인이 도입된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개질한 질화붕소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과 개질된 질화붕소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제작하였다. Fourier transform-infrared (FT-IR) 분광 분석을 통해 질화붕소의 개질과 복합체의 합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측정을 통해 개질된 질화붕소의 함량에 따른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변화를 확인하였으며, layser flash analysis (LFA)와 UL94 측정을 통해 열적 특성을 조사하였...
TAG Eutrophication, Phosphate removal, Metal-organic frameworks, Kinetics, Chemisorption
Comparison between Basic and Inverse Dual Drug and Peptide-coated Stents in a Porcine Restenosis Model
( Eun-jae Jang ) , ( So-youn Lee ) , ( In-ho Bae ) , ( Dae Sung Park ) , ( Myung Ho Jeong ) , ( Jun-kyu Park )  한국공업화학회, 공업화학 [2020] 제31권 제5호, 502~508페이지(총7페이지)
기존의 방열필름의 연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oly(tetra methylene glycol) (PTMG), 4,4’-methylenebis(phenyl isocyanate) (MDI)와 유기인이 도입된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개질한 질화붕소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과 개질된 질화붕소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제작하였다. Fourier transform-infrared (FT-IR) 분광 분석을 통해 질화붕소의 개질과 복합체의 합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측정을 통해 개질된 질화붕소의 함량에 따른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변화를 확인하였으며, layser flash analysis (LFA)와 UL94 측정을 통해 열적 특성을 조사하였...
TAG Dual drug eluting stent, Electro-spinning coating, Peptide, Endothelialization, Restenosis
TiO2 마이크로콘/CNT 복합체의 전기화학적 합성 및 리튬 이온 전지 음극 소재로의 응용
신나현 ( Nahyun Shin ) , 김용태 ( Yong-tae Kim ) , 최진섭 ( Jinsub Choi )  한국공업화학회, 공업화학 [2020] 제31권 제5호, 509~513페이지(총5페이지)
본 연구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재로서 TiO2 마이크로콘/CNT 복합체를 제조하여 배터리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양극산화법을 통해 리튬이온이 저장될 수 있는 넓은 표면적의 나노조각으로 구성된 TiO2 마이크로콘 구조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polarization과 전기 영동법을 통해 CNT를 증착하였다. TiO2 마이크로콘/CNT 복합체 전극은 전기전도도와 리튬이온 전도도가 향상되어 순수한 TiO2 마이크로콘 전극 대비 더 높은 용량과 사이클 안정성을 보였다. 또한 TiO2 마이크로콘/CNT 복합체는 최대 20 C의 높은 전류밀도에서도 우수한 수명특성과 속도유지율을 보였다.
TAG TiO2 microcones, CNT, Anodization, Electrophoretic deposition, Lithium ion batteries
침상 코크스의 피치 코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 탄소계 음극소재의 전기화학적 특성
황진웅 ( Jin Ung Hwang ) , 이종대 ( Jong Dae Lee ) , 임지선 ( Ji Sun Im )  한국공업화학회, 공업화학 [2020] 제31권 제5호, 514~519페이지(총6페이지)
흑연 소재는 높은 구조적 안정성 및 낮은 가격으로 리튬 이차전지 음극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탄소 소재의 낮은 속도 특성을 개선하려는 탄소 코팅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탄소 코팅은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는 CVD 코팅, 용매를 사용하는 습식 코팅, 기계적 충돌에 의한 건식 코팅으로 나뉜다. 본 논문에서는 습식 코팅 공정에서 사용 용매에 따라 탄소 전구체(피치)의 일부만 사용될 수 있는 문제와 용매 제거에 의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자 건식 공정인 고속 분쇄/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리튬 이차전지 음극용 탄소 소재를 제조하였다. 침상 코크스와 피치의 무게비는 8 : 2 wt.%으로 하고, 고속 분쇄/코팅 공정을 이용하여 침상 코크스의 분쇄와 피치의 코팅을 통한 구상화를 진행하였을 때, 침상 코크스의 모서리 면이 피치로 코팅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AG PFO-based pitch, Carbon coating, Rapid crush, coating process, Lithium ion battery
증류공정 내부 온도 예측을 위한 머신 러닝 모델 개발
권혁원 ( Hyukwon Kwon ) , 오광철 ( Kwang Cheol Oh ) , 정용철 ( Yongchul G. Chung ) , 조형태 ( Hyungtae Cho ) , 김정환 ( Junghwan Kim )  한국공업화학회, 공업화학 [2020] 제31권 제5호, 520~525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증류공정의 제품 생산단 온도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모델을 개발하였다. 증류공정의 제어는 제품 생산단의 온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어 제어를 위해 정확한 온도 예측이 필요하다. 증류공정에서 온도는 다양한 변수들과 복잡한 비선형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시계열 데이터의 특성이 있어 이를 예측하기 위해 순환신경망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모델 개발 과정에서 적절한 예측 알고리즘을 선정하기 위해 세 가지 순환신경망 기반 알고리즘과 배치 사이즈 조절하여 제품 생산단 온도를 예측하기 위한 가장 적저한 모델을 선정하였다. LSTM128 모델이 제품 생산단 온도를 예측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모델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모델을 활용하여 실제 공정 운전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RMSE 0.0791, R2 0.924의 성능을 보였다.
TAG Machine learning, Distillation column, LSTM, Prediction model, Adam optimizer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