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목재공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373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Wood Science Education in Times of Convergence
김윤수 ( Yoon Soo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3(총1페이지)
한국연구재단 생명과학단 기초연구사업 소개
김희수 ( Heui-soo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3(총1페이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생명과학단은 연구자 중심의 R&D 시스템 혁신, 지식창출의 플랫폼 역할 강화,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인재양성, 연구성과의 사회경제적 영향 확대 목표를 가지고 학술 연구의 건강한 생태계를 조성하여 창의적 연구와 인재양성 지원으로 지식의 진보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나아가 공정하고 전문적인 연구과제 선정, 우수 연구성과 창출, 확산을 통한 국민 만족, 자율과 책임의 연구 문화를 조성하여 기초연구 분야를 활성화하고자 한다. 따라서, 기초연구사업의 개요, 예산 및 지원현황, 중점 추진 방향 및 평가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생명과학분야에 대한 기초연구사업의 활성화로 새로운 지식창출과 인력양성을 통해 국가 경쟁력의 근본원천인 “과학적 기초역량”이 강화되길 기대한다.
목재이용 활성화를 위한 국립산림과학원의 연구개발 현황
이성숙 ( Sung-suk Lee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4(총1페이지)
최근의 기후변화와 코로나19로 인한 위기는 사회 전반에 걸쳐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12월 7일 관계부처 합동 추진전략(안)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산림청은 4개의 정책 방향을 포함하는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을 발표하였다. 4개의 정책 방향 중 하나가 목재와 산림바이오매스 이용을 확대하는 것이다. 기후변화협약에서 탄소저장고로 인정되고 있는 목재의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 체계를 확립하여 국산목재의 이용을 활성화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는 것이다. 즉, 산림의 탄소흡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나무를 심고 가꾸고 수확하고 사용하는 선순환체계 확립이 필요한데 이러한 관점에서 목재이용 활성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은 목재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도시목조화...
목재산업현황 및 한국임업진흥원 목재사업
강승모 ( Kang Sung-mo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4(총1페이지)
최근 우리나라의 목재산업은 건설경기가 침체되고 중국, 말레이시아 등의 외국산 목재자재들에게 가격 경쟁력에서 뒤처지면서 지속적으로 사업규모가 축소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하여 대면접촉이 기피되면서 언택트(Untact)시대를 넘어 온택트(Ontact)시대로 변화되는 시장상황에서 대면접촉위주의 판매가 주를 이루는 목재산업계의 매출타격이 심화되고 있다. 국내대학에서 임산공학과는 졸업생들이 취업할 수 있는 여건이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서 학과의 명칭 변경, 통·폐합, 그리고 학과생 모집 규모 축소등으로 대응하고 졸업생의 취업난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및 플라스틱의 지나친 남용으로 인한 환경파괴가 지속되면서 세계적으로 환경보호를 위한 행동이 강요되고 있다. 최근 정부에서 그린뉴딜과 탄소중립을 국가 주요 정책과제...
목재산업 전문 인력의 역량
김정수 ( Jeongsoo Kim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5(총1페이지)
동화의 글로벌사업장으로의 성장현황 및 목표를 살펴보고, 글로벌 지속 성장을 위한 보드산업의 경쟁력 확보 항목을 분석하고 각 항목의 연구개발 방향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봄. 동화의 글로벌 사업장은 목재 분야에서 한국을 기점으로 말레이시아, 베트남, 호주에 진출하고 있으며, 이와 연관된 화학사업이 말레이시아, 베트남, 핀란드에 진출하였음. 최근에는 2차전지 소재사업으로서 전해액 사업을 시작하여, 중국, 말레이시아, 헝가리에 진출하고 있음. 아울러, 보드산업의 경쟁력 항목으로 크게 원재료, 친환경 성, 고기능성, 원가절감 등에 대해서 연구개발 동향을 간략히 살펴보고, 향후 동화의 방향성을 전망해봄. 이에 글로벌 사업장 운영 및 목재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필요한 대학 전문 인력의 역량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함.
2050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목재산업의 역할
한규성 ( Gyu-seong Han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9(총1페이지)
최근 2050 탄소중립이 미래사회를 위한 거대담론의 중심이 되고 있다. 산림, 임업 및 목재산업 분야에서도 2050 탄소중립을 위해 어떤 역할과 노력을 해야 할 지에 대해 깊은 고민과 성찰이 필요한 시기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산림산업과 목재산업은 ‘착한 산림탄소순환체계’를 지켜 나가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장기화되고 있는 코로나19 사태와 건설경기 침체 등 다양한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국내 목재산업에 불황의 그림자가 점차 짙어지고 있기도 하다. 실제 국산 목재수요의 감소로 입목벌채량이 2018년 546만2000㎥에서 2019년 518만4000㎥로 약 5.1% 감소해 산림산업과 목재산업 모두 힘든 시기를 마주하고 있다.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산림자원을 적기에 벌채하여 자원으로 활용해야 하고, 그 자리에 다시 나무를 심어 산림의 탄소흡수기능이 더...
탄소중립과 목재산업 미래전략
정종근 ( Jong Geun Jeong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9(총1페이지)
최근 미국, 영국, 일본, 캐나다 등 주요 국가에서 탄소중립을 선언함에 따라 세계적인 탄소중립 체제에 돌입하였다. 탄소중립이란 탄소를 배출시킨 만큼 흡수시켜 실질적인 탄소배출을 ‘0’으로 만드는 것이다. 우리나라 정부도 ‘2050 탄소중립 추진 전략’을 발표(‘20.12.07) 하면서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이에 따라 산림청에서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뒷받침하고 국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30년간 30억 그루의 나무심기를 핵심으로 한 2050 산림부문 탄소중립전략안을 발표하였다. 우리나라 장기저탄소발전전략(2050)을 살펴보면 산림의 적절한 관리를 통해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등 국산 목재제품의 활성화를 통해 급변하는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제는 나무를 심고, 가꾸는 ...
나이테를 이용한 울진 소광리 금강송의 고사연도 및 원인 규명
이요섭 ( Yo-sub Lee ) , 전현진 ( Hyeon-jin Jeon ) ,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14(총1페이지)
IPCC(2014)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일수 증가와 온도 상승이 지속적으로 관측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산림 내 수목 생장에 영향을 주어 고사를 발생시키기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내에서도 울진 소광리 금강송의 고사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언급하고 있으나, 고사원인을 밝히기 위한 체계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소광리 금강송 나이테를 이용하여 정확한 고사연도 분석과 함께, 기후요소(온도, 강수량)가 금강송 고사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에 필요한 나이테는 울진 소광리 백병산 일대 집단고사가 발생한 2개의 임분(A임분, B임분)에서 채취하였다. 대상목은 A임분에서 고사한 금강송 5본, B임분에서 고사한 금강송 4본이다. 고사연도 분석에 기준이 되는 표준연대기는 생육목 1본으로 작성...
나이테폭연대기를 이용한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 고사연도 및 생육쇠퇴도 조사
최은비 ( En-bi Choi ) , 김요정 ( Yo-jung Kim ) , 박준희 ( Jun-hui Park ) , 박홍철 ( Jin-won Kim ) , 김진원 ( Hong-chul Park ) ,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14(총1페이지)
분비나무는 국내 멸종위기 고산 침엽수 7종 가운데 한 수종으로, IUCN(국제자연보전연맹)이 관심수종(LC, Least Concern)으로 등록하였다. 고산 침엽수종 100ha 이상 분포지역 가운데 설악산국립공원에는 75% 이상이 분비나무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2004년부터 발표된 여러 연구에 의하면, 현재까지도 설악산 분비나무 자생지 곳곳에서 쇠퇴 및 고사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 내 분비나무 집단 고사가 확인된 세 지역(귀때기청봉, 관모능선, 설악폭포)을 대상으로 나이테분석법을 통해 연구지별 생육 및 고사과정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나이테분석을 위해 각 연구지 내 생육목과 고사목을 최소 10본씩 선정하여 직경 5.15mm 생장추로 생장편을 채취하...
형성층 활동 기간을 활용한 일본잎갈나무 식재 및 벌채 적기 판정
유혜지 ( Hye-ji Yoo ) , 주정덕 ( Jeong-deok Ju ) , 박준희 ( Jun-hui Park ) , 신창섭 ( Chang-seob Shin ) , 엄창득 ( Chang-deuk Eom ) , 서정욱 ( Jeong-wook Seo )  한국목재공학회, 한국목재공학 학술발표논문집(Conference Proceedings) [2021] 제2021권 제1호, 15(총1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조림수종인 일본잎갈나무 형성층 활동 시기를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식재 및 벌채시기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는 충청북도에 위치한 월악산과 미동산이다. 월악산 지역의 일본잎갈나무 형성층 모니터링은 2017년 4월 7일부터 10월 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미동산 지역에서는 4월 7일부터 9월 29일까지 실시되었다. 모니터링 간격은 1주일이며, 형성층 시료 채취는 각 지역에서 5본의 일본잎갈나무를 선발한 후 직경 2mm 미니 생장추(traphor)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형성층 활동 결과 분석에서 상해세포간구 발생으로 정확한 형성층 활동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수목은 제외되었다. 따라서 각 지역에서 4본이 결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형성층 활동 개시일의 경우 월악산 2본(WRLK 02, WRLK 03)과 미동산 3본(MDLK 02,...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