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물학회 AND 간행물명 :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119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강 하 구 습지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및 섭식
김세화 ( Saywa Kim )  한국환경생물학회,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2017] 제35권 제4호, 566~572페이지(총7페이지)
2015년 10월부터 2016년 7월까지 가을, 겨울, 봄, 여름의 계절별로 한강 하구의 시암, 성동, 공릉천, 산남, 장항습지 등 5개 습지에서 동물플랑크톤 채집을 실시하였다. 25종의 윤충류를 포함하는 총 46종류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다. 기수종은 요각류 2종만이 출현하였고 10월에 성동과 장항습 지에 출현한 15종류가 가장 다양하게 출현한 것이었다. 최대 출현량은 3월에 시암습지에서 윤충류의 대량 출현에 의해 8,000 indiv. L-1로 기록되었다. 3월에는 다른 정점에서도 5,000 indiv. L-1 이상의 높은 출현량이 나타났지만 나머지 기간 중에서 수백 개체의 낮은 밀도가 지속되었다. 종다양성지수는 0.4~1.8 사이에서 변동하였다. 요각류 유생의 장내용물질 분석 결과 미동...
TAG abundance, brackish copepods, food item, diatom frustule
딸기 온실에서 점박이응애의 축차표본조사법 개발
최호정 ( Hojeong Choe ) , 강주완 ( Juwan Kang ) , 정효진 ( Hyojin Jung ) , 최시라 ( Sira Choi ) , 박정준 ( Jung-joon Park )  한국환경생물학회,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2017] 제35권 제4호, 427~436페이지(총10페이지)
두 개의 딸기 온실 (농약살포포장, 천적방사포장)에서 점박이응애 (Tetranychus urticae Koch)의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표본조사법 (Fixed-precision sampling plan)을 개발하였다. 표본추출은 조사구역당 3개엽으로 이루어진 복엽 1줄기를 기준으로 하여 3줄기를 채취하였다. 각 복엽은 Relative net precision (RNP) 값을 비교하기 위해 3개의 서로 다른 단위 (1엽, 2엽, 3엽)로 나뉘어졌다. RNP 값 결과 1엽 단위가 다른 단위들보다 정확도와 효율적인 면에서 우수했다. 공간분포 분석은 Taylor’s power law (TPL)를 이용하였으며, 각 딸기 온실별로 계산된 TPL 계수의 동질성검정에는 공분산분석 (ANCOVA)을 이용하...
TAG fixed-precision-level, relative net precision, ANCOVA, action threshold, RVSP
봄철 논습지를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류의 먹이자원에 관한 연구
남형규 ( Hyung-kyu Nam ) , 김명현 ( Myung-hyun Kim )  한국환경생물학회,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2017] 제35권 제4호, 452~460페이지(총9페이지)
내륙에 위치한 논 습지는 먼 거리를 이동하는 수조류들에게 풍부한 먹이원을 제공하는 중간기착지로, 도요물떼새류들의 보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풍부한 대형저서생물들을 취식하는 도요물떼새류는 중간기착지에 따라 선호하는 먹이원을 쉽게 바꿀 수 있다. 그러므로 중간기착지에서 그들의 실제 먹이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취식지에 서식하는 잠재적 먹이원의 종류와 분포에 대한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서부지역 논을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류의 먹이원을 확인하기 위해 당진군 석문면 난지도리에 위치한 농경지의 잠재적인 먹이원과 실제 먹이원을 확인하였고, 잠재적인 먹이원의 분포가 다양한 벼 재배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잠재적 먹이원은 총 10목 15과 19종의 대형저서생물로 나타났으며, 실제 먹이원은 대형저서생물에서 9목 9과로...
TAG Benthic macroinvertebrates, Farming practices, Prey items, Rice paddy, Waterbirds
New Record of a Marine Algal Species, Ahnfeltiopsis linearis (Phyllophoraceae, Gigartinales), in Korea
( Pil Joon Kang ) , ( Ki Wan Nam )  한국환경생물학회,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2017] 제35권 제4호, 521~525페이지(총5페이지)
내륙에 위치한 논 습지는 먼 거리를 이동하는 수조류들에게 풍부한 먹이원을 제공하는 중간기착지로, 도요물떼새류들의 보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풍부한 대형저서생물들을 취식하는 도요물떼새류는 중간기착지에 따라 선호하는 먹이원을 쉽게 바꿀 수 있다. 그러므로 중간기착지에서 그들의 실제 먹이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취식지에 서식하는 잠재적 먹이원의 종류와 분포에 대한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서부지역 논을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류의 먹이원을 확인하기 위해 당진군 석문면 난지도리에 위치한 농경지의 잠재적인 먹이원과 실제 먹이원을 확인하였고, 잠재적인 먹이원의 분포가 다양한 벼 재배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잠재적 먹이원은 총 10목 15과 19종의 대형저서생물로 나타났으며, 실제 먹이원은 대형저서생물에서 9목 9과로...
TAG the first record, morphology, molecular evidence, rbcL sequence
남해안 6개 도서의 조하대 해조류 군집구조
허진석 ( Jin Suk Heo ) , 유현일 ( Hyun Il Yoo ) , 박은정 ( Eun Jung Park ) , 하동수 ( Dong Soo Ha )  한국환경생물학회,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2017] 제35권 제4호, 595~603페이지(총9페이지)
내륙에 위치한 논 습지는 먼 거리를 이동하는 수조류들에게 풍부한 먹이원을 제공하는 중간기착지로, 도요물떼새류들의 보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풍부한 대형저서생물들을 취식하는 도요물떼새류는 중간기착지에 따라 선호하는 먹이원을 쉽게 바꿀 수 있다. 그러므로 중간기착지에서 그들의 실제 먹이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취식지에 서식하는 잠재적 먹이원의 종류와 분포에 대한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서부지역 논을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류의 먹이원을 확인하기 위해 당진군 석문면 난지도리에 위치한 농경지의 잠재적인 먹이원과 실제 먹이원을 확인하였고, 잠재적인 먹이원의 분포가 다양한 벼 재배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잠재적 먹이원은 총 10목 15과 19종의 대형저서생물로 나타났으며, 실제 먹이원은 대형저서생물에서 9목 9과로...
TAG macroalgal, turbidity and light transmittance, community structure, Southern Islands
벼논에서 양분관리별 탄소의 흡수·배출에 대한 탄소수지 평가
김건엽 ( Gun-yeob Kim ) , 이종식 ( Jong-sik Lee ) , 이선일 ( Sun-il Lee ) , 정현철 ( Hyun-cheol Jeong ) , 최은정 ( Eun-jung Choi ) , 나운성 ( Un-sung Na )  한국환경생물학회,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2017] 제35권 제4호, 715~725페이지(총11페이지)
토양 유기탄소 축적량 변화와 작물의 생태계 탄소 수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농업의 탄소 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 마련을 위하여 2014~2016년 (3년) 벼 재배기간 동안 토양의 유기탄소 축적량과 작물의 생태계 순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 벼 재배지 토양 유기탄소 축적량은 NPK+볏짚퇴비 처리 (3.88 Mg C ha-1)에서 가장 많았고 NPK (화학비료) 처리보다 40.8%, NPK+헤어리베치 처리보다 17.0%의 축적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NPK+볏짚퇴비 처리가 NPK+헤어리베치에 비해 토양 유기탄소 축적량이 높게 나타나 헤어리베치 시용에 비해 볏짚퇴비 시용이 농경지 내 탄소 축적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벼 재배지 생태계 순 생산량은 NPK 처리 (11.31 Mg C ha-1
TAG carbon balance, rice paddy field, GHGs emission
제주도에서의 외래종 돼지풀잎벌레 분포 및 외래종 돼지풀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방제 대상종으로의 활용 가능성
김도성 ( Do-sung Kim ) , 오기석 ( Ki-seok Oh ) , 이영돈 ( Yeong-don Lee ) , 이수영 ( Su-young Lee ) , 이희조 ( Heejo Lee ) , 김현정 ( Hyun-jung Kim ) , 김동언 ( Dong-eon Kim )  한국환경생물학회,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2017] 제35권 제4호, 437~445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외래종 돼지풀잎벌레의 분포와 생태계 교란식물인 돼지풀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야외조사와 최근에 연구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에서 돼지풀잎벌레는 기주식물인 돼지풀이 있는 모든 곳에서 관찰되었으며, 기주식물에 대한 특이성이 매우 강하고, 다화성으로써 온도에 대한 내성과 비행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연구되었다. 돼지풀은 제주특별자치도 전역에 이미 광범위하게 퍼져 있고 점차 서식지를 넓혀 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돼지풀 제거를 위해서 돼지풀잎벌레를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특히 제주도와 같이 천연보호구역이 많고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을 감안하면 돼지풀을 제거하기 위하여 농약이나 직접 제거보다는 돼지풀잎벌레를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TAG exotic species, host plant, invasive alien species
벼멸구 저항성 품종벼에서 벼멸구의 생명표 분석
최낙중 ( Nak Jung Choi ) , 정인홍 ( In-hong Jeong ) , 권덕호 ( Deok Ho Kwon ) , 최만영 ( Man-young Choi ) , 백채훈 ( Chai-hun Baik )  한국환경생물학회,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2017] 제35권 제4호, 526~532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로 유입되어 벼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인 벼멸구의 감수성 및 항충성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품종별 발육기간, 성충 수명, 산자수, 생명표 등을 조사하였다. 벼 품종별 발육실험에서 난기간은 품종에 상관없이 9일 정도로 조사되었고, 전체 약충기간은 품종별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발육단계별 우화율의 경우 Bph1 유전자를 가진 장성 벼가 36%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Bph2 유전자를 가진 친농벼의 경우 우화율이 70%로 가장 높았으며 감수성 품종인 동진 1호는 50%의 우화율을 나타냈다.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품종을 섭식한 벼멸구의 경우 발육기간과의 연관성은 낮지만, 탈피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된다. 벼멸구의 생식과 관련하여 품종에 따라 산란전기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산란기간은 23.1±2.88일로 동진...
TAG developmental period, life table, Nilaparvata lugens Stal, resistant rice variety, survival rate
Evaluation of Cellulolytic Enzyme Production by Indigenous Fungi in Korea
( Hanbyul Lee ) , ( Young Min Lee ) , ( Young Mok Heo ) , ( Jaejung Lee ) , ( Jae-jin Kim )  한국환경생물학회,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2017] 제35권 제4호, 648~653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로 유입되어 벼를 가해하는 주요 해충인 벼멸구의 감수성 및 항충성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품종별 발육기간, 성충 수명, 산자수, 생명표 등을 조사하였다. 벼 품종별 발육실험에서 난기간은 품종에 상관없이 9일 정도로 조사되었고, 전체 약충기간은 품종별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발육단계별 우화율의 경우 Bph1 유전자를 가진 장성 벼가 36%로 가장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Bph2 유전자를 가진 친농벼의 경우 우화율이 70%로 가장 높았으며 감수성 품종인 동진 1호는 50%의 우화율을 나타냈다.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품종을 섭식한 벼멸구의 경우 발육기간과의 연관성은 낮지만, 탈피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된다. 벼멸구의 생식과 관련하여 품종에 따라 산란전기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산란기간은 23.1±2.88일로 동진...
TAG β-glucosidase, bioethanol, cellulase, endo-glucanase, filter paper assay
수질측정망을 이용한 국내 대하천 하구를 통한 총유기탄소 유출량 산정과 비교
박형근 ( Hyung-geun Park ) , 옥기영 ( Giyoung Ock )  한국환경생물학회,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2017] 제35권 제4호, 549~556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질·유량 측정망을 통해 생산된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서남해로 유출되는 우리나라의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탐진강을 대상으로 총유기탄소의 연간 유출량을 정량하여 비교하였으며, 이를 황해를 공유하는 중국의 양쯔강과 황하강의 탄소 유출량과 비교하였다. TOC 농도는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하구 지점의 주단위 자료를 ‘월평균 TOC 농도’로 전환했으며, 유량자료는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장기유출 월유량자료를 활용하여, 월간 TOC flux를 산정한 뒤, 최종적으로 이를 합산하여 강 하구에서 바다로 유출되는 연간 TOC flux를 산출하였다. 월간 TOC flux는 모든 강에서 여름철의 유출량이 높았으며, 겨울철에 낮게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강의 유기탄소 유출 특성이 아시아 몬순 기후의 강우패턴의...
TAG TOC flux, organic carbon, river, national monitoring system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