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만화의 인종차별

 1  디즈니 만화의 인종차별-1
 2  디즈니 만화의 인종차별-2
 3  디즈니 만화의 인종차별-3
 4  디즈니 만화의 인종차별-4
 5  디즈니 만화의 인종차별-5
 6  디즈니 만화의 인종차별-6
 7  디즈니 만화의 인종차별-7
 8  디즈니 만화의 인종차별-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디즈니 만화의 인종차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내재하는 인종차별은 노골적인 표현과 더불어 아프리카 출신 미국인과 다른 피부색의 사람들에 대해 복잡한 표현을 기피하는 은근한 태도로 구체화된다. 그와 동시에 백인의 형상은 중산층의 사회관계와 가치체계, 언어사용 등의 특권적인 표현을 부여하여 보편화시킨다. 대중매체에서 디즈니의 인종차별에 대해 가장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킨 사례 가운데 하나는 1992년에 발표된 이었고, 그런 논란은 1994년 의 발표와 함께 다시 전면적으로 부상했다.
디즈니의 만화 영화 중에는 인종차별에 대한 비판을 받은 작품들이 많다. 그 중 특히 은 중요한 사례이다. 그 이유는 높은 호응을 얻고서 출시된 작품이었고 두 개 부문에서 아카데미상을 받았으며 디즈니가 만든 작품 중에서 가장 성공적인 작품에 속하기 때문이다.
그 영화 서두를 여는 노래 는 명백한 인종차별적 음조로 아랍 문화를 묘사한다. 그 차별적인 노래 가사는 "나는 대륙에서 왔다/ 머나먼 땅에서/ 낙타 대상들이 유랑하는 곳/ 당신의 얼굴이 마음에 안 들면/ 그들은 당신의 귀를 떼가고/ 그곳은 야만적이지만 그래도 집이라네" 이다. 이 영화에서 아랍 문화와 함께 연상되는 정치적 정체성과 지역적 이미지는, 이미 걸프 전쟁을 다룬 미디어의 편파적 보도에 따른 대중의 편견을 확대시켜놓은 것이다. 이런 인종차별적 표현은 일련의 무시무시하고 폭력적이며 잔인한 조연 인물들에 의해 더욱 심화된다.
남부 이슬람 연합회 대변인인 요셉 살렘은 이 영화를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모든 나쁜 놈들은 턱수염을 길렀고 크고 우뚝한 코를 가졌으며 악의에 찬 눈매와 심한 사투리를 쓰고 항상 칼을 휘둘러댄다. 반면에 알라딘은 큰 코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의 코는 작다. 그는 턱수염이나 터번도 없다. 그는 사투리도 쓰지 않는다. 그가 멋있어 보이는 이유는 디즈니 제작자들이 그를 미국 사람처럼 만들었기 때문이다. 내 딸은 이 영화를 보고 자신이 아랍 사람이라는 사실이 창피하다고 말한다" 남부 일리노이 대학의 신문방송학과 교수인 잭 샤인과 에드워즈빌 그리고 라디오 방송인인 케이시 케이즘은 에서 표현된 반(反)아랍적인 주제들에 대해 항의하는 홍보방송 활동을 함께 하고 있다. 초기에는 디즈니의 중역들이 그들의 항의를 무시했으나 시민들의 항의가 거세지자 뒤이어 생산된 비디오와 전세계로 출시되는 영화에서 가사 한 줄만 바꾸는 것으로 대응했다. 그러나 의 인기있는 CD에서는 그 가사를 바꾸지 않았다. 더욱더 중요한 점은 그 영화에서 아랍 이름을 잘못 발음하고 사투리로 인종을 암시하고 실제 아랍어와는 상관없는 말도 안 되는 글자 흉내는 전혀 고쳐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처음 제작을 검토했을 때, 디즈니의 이사들은 가사에 담긴 인종차별적인 암시를 알아채지 못했다. 그 노랫말을 쓴 하워드 애쉬만은 그 본래 가사와 함께 다른 가사도 제시했다고 한다. 그래서 결국 다른 가사에 나오는 "땅은 평평하고 광활한 곳/그리고 태양이 강렬하게 내리쬐는 곳"이 처음 가사의 "당신의 얼굴이 마음에 안 들면/그들은 당신의 귀를 떼가고"를 대신하게 됐다. 그러나 의 새로운 비디오에는 새 가사가 들어 있긴 하지만 "그곳은 야만적이지만 그래도 집이라네"라는 구절은 여전히 바뀌지 않았다. 더욱더 중요한 점은 그 영화에서 아랍 이름을 잘못 발음하고 사투리로 인종을 암시하고 실제 아랍어와는 상관없는 말도 안 되는 글자 흉내는 전혀 고쳐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담겨 있는 인종차별적인 요소는 등장인물들의 사투리와 인종의 의미를 가진 언어 속에서 명백히 드러난다. 예를 들면 에서 "나쁜" 아랍인들은 거세고 심한 외국어 억양을 지니고 있는 반면에, 서구화된 자스민과 알라딘은 미국식 표중영어로 말한다. 이런 묘사에서 보여주는 인종차별적 요소는 당시 디즈니 애니메이션 제작사 사장이었던 피터 슈나이더에게서 비롯됐다. 그는 영화배우 톰 크루즈를 모델로 해서 알라딘을 형상화했다고 말했다.
디즈니의 이러한 인종차별적인 애니메이션의 제작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이나 등에서도 이러한 경향은 다분히 나타난다. 에서 악의 상징인 스카는 선한 사자들보다 털이 검다. 왕족에 속하는 등장인물들은 영국의 귀족적인 말투를 사용한다. 그러나 셴지와 반자이, 즉 혐오스런 하이에나 떼들은 도시의 흑인이나 스페인계 젊은이들의 말투로, 우피 골드버그와 치치 마린의 음성을 이용해 빠르고 시끄럽게 말을 늘어놓는 식으로 묘사한다. 에서 저질 흑인 코미디언처럼 왜소한 빨간 용은 바로 에디 머피의 목소리를 지닌 무슈인 것이다. 무슈는 중국의 신화에는 부적합한, 비굴하면서도 뽐내기 좋아하는 광대이다. 그는 겁이 많고 소심한 성격으로 묘사돼, 대중적인 인종차별주의자들의 상상력을 만족시키는 남부 출신의 흑인 배우 이미지이다. 이러한 인종차별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언어는 , , 에서도 볼 수 있다. 이런 영화에서 백인 중산층을 닮지 않은 인물들은 특이하고 열등하며 무식하고 위협적인 존재라는 암시를 어린이들에게 가르쳐주고 있다.
2.성차별

우리가 좋아하는 인어공주를 재해석 해 본다면 우리가 이제껏 느끼지 못했던 많은 고정관념과 성차별의 정신이 깊이 내재되어 있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전체적인 줄거리를 볼 때 사랑하는 남자를 위해 목소리도 버리면서 그를 찾아 해메지만 결국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묘사하여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는 영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