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

 1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1
 2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2
 3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3
 4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4
 5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5
 6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6
 7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7
 8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8
 9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9
 10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10
 11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11
 12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12
 13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13
 14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14
 15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15
 16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16
 17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17
 18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18
 19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19
 20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작업기억 중재 가단 순 언어장애아동의 작업기억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논문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작업기억 중재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작업기억 용량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1
저자: 김신영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출판 년도 2015년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2
CONTENTS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단순언어 장애 아동의 초기 언어발달의 지연은 언어학습 전반에 결함을 가져옴에 따라 읽기장애와 학습장애로까지 연결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정확한 평가와 조기 중재가 필요하다.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
본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작업기억 중재를 실시한 후 단순언어장애 아동에게 표면적으로 나타난 언어문제를 비롯하여 기저의 처리 기제의 결함으로 인한 과제의 저조한 수행력이 향상될 것인가를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Ⅰ 서론 연구 문제
5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작업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가 유의한가?
2. 작업기억 중재에 따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중재 전후 작업기억과 과제 수행력 차이가 유의한가?
3. 작업기억 중재에 따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중재 전후 언어능력의 차이가 유의한가?
Ⅰ 서론 용어 정리
6
단순언어장애
작업기억
작업기억중재
Ⅱ이론적 배경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와 작업기억
7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적 결함을 정보처리의 문제로 접근하는 연구들이 있어 왔는데, 언어는 시청각적으로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이며 따라서 처리속도, 처리용량 등의 결함이 언어적 결함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에 의하면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보이는 다양한 언어적 결함은 언어지식의 결핍과 비효율적인정보처리의 복합적 결과라고 할 수 있다.이와 같은 연구들은 모두 작업기억 이라는 개념을 기저로 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작업기억은 제한된 양의 정보를 순간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하는 인지처리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대표적인 작업기억 모형으로는 Baddeley(1986)의 음운작업기억모형과 Just & Carpenter(1992)의 기능적 작업 기억(functional working memory) 모형을 들 수 있다. Baddeley(2000)의 수정된 작업기억 모형에 따르면, 작업기억은 세 가지 하위체계인 음운루프(phonological loop)와 시공간 스케치 패트(visuospatial sketchpad), 일화적 완충기(episodic buffer)와 이들 하위체계로부터 정보를 받아 처리하는 중앙집행기(central executive)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저장과 처리 기능은 제한된 풀(pool)에서 자원을 공유하는데, 따라서 특정 과제 수행 시 필요한 요구가 과제 수행자의 가능한 작업기억의 자원의 총량을 초과한다면, 저장과 처리 간에 상충관계(trade-off)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저장과 처리의 연합적 기능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과제로는 Gaunlin & Campbell(1994)의 CLPT(Competing Language Processing Task)를 들 수 있다..
Ⅱ이론적 배경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 능력
8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어휘능력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문제는 의미, 음운, 구문 및 형태, 화용론 등 언어영역 전반에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제한된 어휘 발달은 단순언어장애의 전형적인 지표 중의하나로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보고된 바 있다.
특히 낱말찾기 장애(word-finding deficit)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어휘적 특성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보고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로서, 어떤 상황이나 자극에 대해 특정 낱말을 산출하는 데 어려움을 갖는 것을 말한다. 낱말찾기는 이름대기(naming) 과제를 통하여 평가할 수 있는데,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이름대기 과제의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았음을 보고한 선행 연구 결과들이 있다.
즉 낱말찾기 장애는 어휘집의 크기가 작거나 그 안의 낱말들 간 연결고리가 약할 때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어휘집에서 자신이 의도한 낱말을 인출하는 데 제약이 있을 때에도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이름대기 과제인 REVT로 작업기억 중재가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Ⅱ이론적 배경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 능력
9
2.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문장따라말하기 수행력
문장따라말하기 과제(Sentence Repetition Task)는 검사자가 사전에 정해준 문장을 들려준 뒤 피검자가 이를 기억하며 다시 산출해내는 과제로, 언어처리능력을 평가할 수 있으며 특히 구문능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문장따라말하기는 아동의 문법 지식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아동은 검사자가 제시한 문장을 언어처리과정을 거쳐 이해하여 받아들이고 이를 기억한 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언어적 체계에 기초하여 산출하게 된다.
구문발달이 늦거나 구문 결함을 보이는 아동들은 문장따라말하기 과제 수행 시 자신의 문법 지식에 있지 않은 구문의 경우 어순을 바꾸어 문장을 산출하거나 문법형태소를 표현하는 데 어려움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