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증진 연구

 1  건강증진 연구-1
 2  건강증진 연구-2
 3  건강증진 연구-3
 4  건강증진 연구-4
 5  건강증진 연구-5
 6  건강증진 연구-6
 7  건강증진 연구-7
 8  건강증진 연구-8
 9  건강증진 연구-9
 10  건강증진 연구-10
 11  건강증진 연구-11
 12  건강증진 연구-12
 13  건강증진 연구-13
 14  건강증진 연구-14
 15  건강증진 연구-15
 16  건강증진 연구-16
 17  건강증진 연구-17
 18  건강증진 연구-18
 19  건강증진 연구-19
 20  건강증진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건강증진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전문간호사의 역할 및 정책
연구(Research)
건강
증진
목 차
전문간호사의 역할과 정책
2
서론
현재의 경향
1
능력 1(Competency 1): 실무에서의 연구결과를 해석하고 사용
2
능력2(Competency 2): 실무에 대한 평가
3
능력1(Competency 3): 협동적인 연구에 참여
4
서 론
전문간호사의 역할과 정책
3
1. 실무에서 연구결과를 활용하고 해석하는 것.
2. 실무를 평가하는 것.
3. 협동연구에 참여하는 것.
-기초적인 단계(fundamemtal level)는 석사학위를 받는 사람에게 기대되는 정도(자신의 실무에 연구
결과를단계로 연구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것).
-확장된 단계(expanded level)는 경험을 통해 습득된 활동과 전문간호실무에 개혁 (initiative)을
주도하는 것이다(예: 근거중심 실무를 수행하기 위해 기관이 메커니즘을 개발하는 것)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ursing(AACN) (2002)에서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 면 석사프로
그램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실무에 변화를 초래하고 연구결과를 비판할 수 있도록 간호사를
준비시켜야 한다고” 했다
AACN 은 석사학위를 가진 간호사는 “연구되어져야 할 실무나 시스템상의 문제를 확인고, 다른 연구
자와 협동하여 새로운 연구를 추진할 수 (2002)있어야 한다”고 했다.
AACN과 National Organization of Practitioner Faculties(NONP)에서 개발된 NP의 능력에 대한 기록
을보면NP는 “실무지침서(practice guideline), 근거중심의 표준(Evidence based standard of care),
과학적 근거에 다라 수행계획을 세워 환자의 질병을 관리해야 한다고 했다(NONPE & AACN).
서 론
전문간호사의 역할과 정책
4
능력
기초적인 수준
확장된 수준
Ⅰ. 실무에 연구
결과를 적용
자신의 실무에 연구결과를 사용하기위해 EBP를 적용하거나 다른 사람이 실무에 연구결과를 적용하도록 돕는 것
연구결과를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 병동, 프로그램, 부서, 혹은 기관단위에서 EBP를 개발하는 것.
Ⅱ. 실무에 대한
평가
개인의 전문적인 실무에 대한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
그룹(APN 구룹이나, 병동단위)이나 시스템(프로그램, 부서) 수준에서 기본적이거나 상급실무와 연관된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디자인하고 수행한다(명심해야 할 것은 이것이 전통적인 결과연구와는 다르다는 것이다).
Ⅲ. 협동적인 연
구에 참여
지식을 생산하는 협동적인 연구에 임상전문가나 자문가로서 기능하는 것
지식을 생산하는 협동적인 연구에서 연구자나 공동연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 하는 것.
연구능력과 수준에 대한 개요
1.현제의 경향
전문간호사의 역할과 정책
5
1) 연구능력과 의료시스템의 경향과 관계
(Interrelationships among Research Competencies and Trends)
능력Ⅰ: 최상의 근거를 해석하고 사용하는 능력은 간호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개발하고 수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불필요한 치료나 서비스는 환자에게 해를 끼치거나 이익을 주지 않으며,
임상가는 확실한 이득을 주지 않은 치료를 처방하거나 제안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IOM, 2001)
능력Ⅱ: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간호사가 부족한 상황에서 전문간호사에게 실무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은 중요하다.
-Health care report card는 질을 평가하기 위해 수집해야 할 자료의 유형에 대해 알려주고
있으며, 조직을 이러한 자료들을 수집해야 하며, 전문간호실무를 평가하는데 활용하여야
한다
-벤치마크 자료, 질 지표, 실무지침서, 임상적 데이터베이스 적용.
능력 Ⅲ:-실무를 이끌어갈 충분한 근거가 존재하지 않거나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효과 증명
-전문가호사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평가
-특정 환경에서 간호사의 부족을 지적하기 위해 정형적인 연구(formal research)가 필요
-저소득층 인구집단에게 가장 효과적인 간호전달방법 선택
-노인 환자들이 자신의 돈으로 약물 구입해야 하는 비용 정도에 관한 연구가 될 것이다.
2.능력1:실무에서 연구결과를 해석하고 사용
전문간호사의 역할과 정책
6
1) 근거중심 실무(Evidence based Practice)
Research Utilization(RU)는 실무, 교육, 관리에 연구결과를 적용하는 것으로(Stetler,
1985) RU라는 말은 197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으나 지금은 EBP에 의해 그
개념이 대치되고 있다.
Evidence based라는 말은 캐다나의 McMaster University Medical School에서
임상적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한 교수-학습전략을 표현하기 위해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Evidence-Based Medicine Working Group, 1992: Guyatt & Rennie,
연구결과를 2002: Sackett, Straus Richardon, Rosenberg, & Haynes, 2000).
Sackett와 그의 동료들의 정의에 따르면 EBP는 3가지 기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①최상의 사용하는 것
②임상적 전문성을 적용하는 것
③환자의 가치와 기대에 대한 평가를 적용하는 것
2.능력1:실무에서 연구결과를 해석하고 사용
전문간호사의 역할과 정책
7
White(1997)는 임상적 문제를 확인하고, 문헌을 찾고, 연구결과를 평가하고, 중재를
선택하는 문제해결의 한 가지 방법이라고 정의
-Brown(1999)은 연구중심의 실무로써 의료인이 연구결과나 종합적인 연구에 기반한
근거를 가지고 환자간호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을 하고, 특정 행위를 수행하며 개별
환자에게 제안을 하는 것으로 정의
-Academic Center Evidence Based Nursing
Website(www.acestar.uthsesa.edu/Goals/terminology1325.html)에서는 “환자의 치료와
관리를 위해 과학적 결과를 찾아내어 평가하고 적용하는 과정이다”라고 했다.
여기에서 다룰 2가지 주제
①RU와 EBP의 차이(Brown, 1999;Jennings & Loan 2001; McGuire & Harwood, 2000)
②EBM, EBN(Evidence-based nursing), EBP(Jennings & Loan, 2001)의 정의
RU와 EBP 둘다 지식을 이용하는 방법들이지만(Hunt, 2002), EBP가 RU보다 향상된 개념
(Jennings & Loan).